2019년 6월 30일 일요일

叢書 : line 47.


叢書 :
line 47.







*** 叢書 : line 47.


















* 육신의 낙을 찾아
과학의 돛을 달고
물질 세계를 항해 하는
사공이 있는가 ?






* Is there any sailor
who voyages on sea of the material world
under the sail of science
in search of physical comforts ?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22일 토요일

叢書 : line 46.



叢書 :
line 46.



*** 叢書 : line 46.












* 사람에 있어서
마음이 있음로서 온전 한 사람이 되는 것과 같이,
기쁨에 있어서도
마음의 기쁨이 있음으로서 비로소 몸의 기쁨도 온전 한 것이 되는 것이다.




* Just as a human being with mind become a complete  human,
so as too for the joy,  the joy of the body also become complete
only when the mind is content.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21일 금요일

叢書 : line 45.


叢書 :
line 45.




*** 叢書 : line 45.


 
 
 
 
 
 
 
 
 

* 왕궁의 영화를 버리고 마음의 보금자리를 찾아
정처 없는 구도의 행각을 즐긴 것은
비단 석가뿐이 아닐 것이다.



* The one,
who abandoned the luxuries of royal palace and
become enraptured in the pursuit of way wandered about homeless with joy
while (was) searching for his heart's resting palace
was not only Gautama Buddha.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16일 일요일

총서 : line 44.

叢書 :
line 44.




*** 총서 : line 44.
















* 육신의 낙을 즐기는 속인의 기쁨은 
청빈을 즐기는 도인의 기쁨에 미칠 수 없으리라.








*  The joys of laities who delight in the pleasures of flesh are  nothing compared to the bliss experienced by those who find joy on the path  of enlightenment in the midst of simple poverty.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15일 토요일

叢書 : line 43.




叢書 :
line 43.




*** 叢書 : line 43.






* 과학의 발달이
아무리 안락 한 사회 환경을 이루고
그 속에서 아무리 부귀와 영화를 누린다 한들
그것으로서 어찌
속 사람의 정신적인 욕구까지
근본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 ?





* Although the advance of science may create a  comfortabl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we can enjoy abundant wealth and prosperity,
but those alone can truly gratify  the spiritual desires of the inner self ?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14일 금요일

叢書 : line 42.



叢書 :
line 42.






*** 叢書 : line 42.












* 그러나 인간은  과연
이러한 육신을 중심 한 외적인 조건만으로
완전 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인가 ?


 

* nevertheless

human being could enjoy full happiness with
only upon external conditions
centred on flesh ?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12일 수요일

叢書 : line 41.

叢書 :
line 41.




叢書 : line 41.



* 이러한 길을 지상으로 생각 하고 걸어 온 사람들은,
극도로 발달 된 과학 앞에 굴복 하여
과학의 만능과 물질적인 행복을 자랑 하고 있다.





* Those who believing it to be  the supreme way, walk this path,
knelt  in front of glories of highly developed science,
take pride in its omnipotence and the material comforts it provides.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10일 월요일

福祉 國家는 産業 發展 側面에서도 拒否 할 수 없는 時代的 要求이다.

스웨덴과 獨逸이
주는
未來 敎訓 :

福祉 國家는
産業 發展 側面에서도
拒否 할 수 없는
時代的 要求
이다.




현대중공업 사태, 스웨덴과 독일에서 배울 것: 복지국가
[복지국가SOCIETY] 복지국가에서 배우는 현대중공업 사태의 올바른 해결 방안
현대중공업 사태, 스웨덴과 독일에서 배울 것: 복지국가
최근 언론에 송철호 울산 시장이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에 반대해서 삭발하는 사진이 나오더니, 지난주에는 거제시에서 대우해양조선 노조원들이 "실사 저지"를 외치며 몸에 쇠사슬을 묶고 출입구를 막는 사진이 보였다. 해당 기업 노동자와 그 가족들뿐만 아니라 울산과 거제를 넘어 인접한 부산, 창원, 그리고 경남 지역주민까지 현대중공업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으므로 많은 국민이 불안한 눈으로 사태를 지켜보고 있다. 대체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이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하고 불안하다.

현대중공업 사태의 원인과 경과

조선 산업이 어려워 진 것은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다. 국제적 경기 침체로 선박 발주가 줄어든 것과 국내 인건비 상승으로 중국을 넘어 인도와 동남아의 값싼 조선업체들에 비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뒤쳐진 것, 세계 1등부터 5등까지 싹쓸이 하던 국내 조선업체들이 고부가가치 선박을 저가로 수주하면서 출혈 경쟁을 벌여 온 것, 그리고 조선 산업을 주도해왔던 특정 재벌의 경영과 소유의 문제점 등이 겹쳤다.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당시 시작했어야 할 기업 구조조정을 '시장이 최선'이라고 방치해두고 있다가 일을 키워서 오늘의 사태를 초래한 책임도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조선 산업이 어려워지자, 이미 STX와 소규모 조선소들은 문을 닫거나 외국에 팔렸고, 기업들은 각자도생의 방법을 찾아 구조조정을 해 왔다. 현대중공업도 위기 타계 전략으로 2016년도에 분사 카드를 내놓았다. 거대한 몸집을 6개로 나눠 조선 부문과 비조선 사업 부문을 분리해 각각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우선, 전기전자는 현대일렉트릭 앤 에너지로, 건설장비는 현대건설기계로, 로봇산업은 현대로보틱스 등으로 분할하고, 현대중공업은 조선·해양·엔진 부분을 묶어 존속법인 현대중공업으로 독립시키는 등 4개의 사업부를 수평적 형태의 회사로 인적 분할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는 그 일환으로 주채권자인 산업은행이 주도해서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KOSE)을 두고, 그 아래에 지금 울산에 있는 선박 제조 부분인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그리고 기업 결합 승인 후엔 대우조선해양까지 실제로 선박을 만드는 4개의 회사를 자회사로 두는 체제로 전환하려 한다.

노조는 물적 분할 주주총회를 저지하기 위해 주총 장소였던 울산 동구 한마음회관을 5일간 점거하는 등 강력히 반발했다. 주총 당일인 6월 3일 노조의 반발로 주총 장소 진입이 불가능하자 현대중공업 측은 장소를 울산 남구 울산대학교 체육관으로 변경해서 주총을 열었다. 이 과정에서 몸싸움이 벌어졌고, 기물 파손과 폭력으로 인해 양쪽의 고소 고발이 이어지기도 했다. 또 주주총회에서 법인 분할을 의결한 현대중공업은 대우해양조선을 인수합병하기 위한 절차의 하나로 각종 설비 등 유형 자산의 현황과 작업 공정률 등 자산과 시설을 파악해야 했다. 이를 위해 대우해양조선을 방문한 실사단의 출입을 인수합병을 반대하는 대우해양조선 노조와 지역주민이 온몸으로 저지하는 반대 투쟁을 벌였다.

물적 분할을 추진하는 쪽은 대우해양조선을 현대중공업 아래로 합병해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려고 하나, 그 결과 단일 기업으로는 회사가 너무 커져서 국제적으로 특정 업체가 한 산업분야에 과도한 점유율을 가지는 경우 소위 말하는 '공정거래법'과 같은 해당국의 "기업결합심사"에 저촉이 될 우려가 있어 현대중공업 분사를 통해 기업의 크기를 줄여야 살아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반대하는 쪽에서는 역으로 한국해양조선으로 합병되면 21.2%의 시장 점유율이 되면서 법인 분할을 해도 기업결합심사 통과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해당사자들 간의 대립과 갈등의 주요 내용

지금의 사태는 모두 조선 산업을 구조조정해서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치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데 따른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노조와 지역 주민의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노조는 법인 분할을 할 경우 울산에 남게 되는 선박 제조 회사인 현대중공업이 부실해진다고 주장한다. 법인 분할 후 알짜 자산과 현금은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이 가져가고 현대중공업은 껍데기만 남는다는 것이다. 분할 후 한국조선해양 자산은 11조3000억 원, 부채는 1600억 원으로 부채가 거의 없게 되는데 비해, 울산에 남게 되는 현대중공업은 자산 13조2000억 원, 부채가 7조 원의 상태가 돼, 대부분의 부채를 떠안게 된다. 분할 전 현대중공업 부채비율은 62.1%였는데, 분할 후 한국해양조선의 부채비율은 1.5%로 낮아지고 현대중공업의 부채비율은 115.8%로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 사측과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달리 설명한다. 현대중공업의 부채 7조 원 중 3조1000억 원은 선수금과 충당부채인데, 선수금은 선박 수주 시 받는 일종의 계약금으로 회계 상의 부채로 분류될 뿐이지 실제로는 현금 형태이며, 충당부채 역시 선박 인수 거부 등 혹시 모를 부실에 대비해 쌓아둔 것이므로 아무 문제없이 공정이 진행되면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중공업의 실제 부채는 4조 원에 불과하다는 것이 현대중공업 사측과 산업은행 측의 주장이다.

다른 문제도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법인 분할 후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게 되면 중복 업무가 통합될 것이고, 불필요하거나 수익성이 낮은 사업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현대중공업이 알짜배기인 지주회사와 분할되면서 부채를 떠안게 되면, 기존의 근로조건과 성과급, 그리고 복리후생 등이 악화할 것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인도의 타타자동차에 인수되었던 쌍용자동차나, GM에 인수되었던 군산 대우자동차 등의 사례로 볼 때, 기존의 지적 재산권과 상표권 등이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으로 넘어가 현대중공업의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이는 곧 직원 임금 손실로 이어지리라는 우려는 기우가 아닐 수도 있다.

지난 2016년 현대중공업의 구조조정을 위한 분사로 현대중공업 터보기계 분사에 이어 지게차 부문, 태양광사업 부문, 로봇사업 부문 등 총 3개 부문의 분사를 추진했을 때도 노조는 이번과 마찬가지로 당시에도 고용 우려 때문에 분사를 반대했다.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으로 손꼽히는 '현대중공업 직원' 신분에서 자회사 직원이나 관계사 직원 신분으로 바뀔 경우 연봉이나 처우 등에서 변화 혹은 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지역 주민과 지역 정치인의 우려도 노조의 고민과 다르지 않다. 현대자동차와 더불어 울산에서 가장 큰 기업의 하나인 현대중공업이 물적 분할되면, 서울에 본사를 둔 한국조선해양이 실질적으로 본사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서 울산은 단지 생산기지로서의 역할밖에 못하리라는 우려로 울산 지역이 반발하고 있다. 또 현대중공업 직원과 가족, 그리고 관계 회사 노동자가 울산 시민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물적 분할에 따른 고용불안과 노동조건 저하는 울산 지역경제의 침체로 이어지리라는 예상이 팽배하다. 이미 중소 조선소 폐업으로 지역경제가 주저앉은 전북 군산과 경남 고성의 사례를 볼 때, 이런 우려가 현실화할 개연성이 큰 것도 사실이다.

울산에서 민주당 출신의 송철호 시장이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을 막기 위해 삭발 투쟁을 하고 있고, 다수가 자유한국당인 지역 국회의원들이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과 본사 이전 문제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절대성을 주장하고 정부 개입의 최소화를 주장하던 자유한국당 의원마저 "산업은행이 지역과 산업을 고려하는 등 자기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한 탓이 크다"고 말하면서 산업은행에 주채권자로서의 역할보다도 지역 경제를 고려한 역할을 해 달라는 기존의 입장과 다른 주장을 했다. 심지어 현대중공업의 제2대 주주인 국민연금기금이 주주 의결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노조의 주장에 동조하는 정치인도 나오고 있다.

복지국가에서 배우는 바람직한 산업 구조조정 방안들

우선 현안으로 떠올랐고, 지역 주민과 노동조합의 반대로 법인 분할이나 인수합병 등의 과정이 차질을 빚게 되었기 때문에 당장 급해진 사측과 노조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장과 지역 정치인까지 나서 현대중공업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 중앙 정부도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이 굳이 서울로 이전하지 않아도 되도록 중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울산과 거제에 걸쳐 진행되는 현대중공업의 갈등이 끝이 아니라는 데 있다. 이번 사태를 봉합해도 유사한 사례는 계속 발생할 것이기에 이번 일을 계기로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주력 5대 산업으로 손꼽히던 조선 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통신과 반도체, 제철과 철광, 정유와 유기화학 산업 등이 모두 정도와 시기의 차이는 있겠지만 위기를 맞고 있고, 변화의 전환점에 서 있다. 그런 측면에서 현대중공업 사태는 대규모 산업 구조조정이 요구되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하겠다. 다른 나라 사례를 통해 우리가 찾아야 할 길을 확인해야 한다. 

첫째,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것은 조선업의 세계적인 메카였던 스웨덴 말뫼시의 경험이다. 스웨덴의 말뫼는 그 나라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인데, 우리나라의 울산과 거제를 합한 정도의 최대 조선 산업 도시였다. 12세기부터 오랫동안 항구 도시로 명성을 이어가던 곳이었으나 1990년대 조선업이 쇠락하면서 말뫼의 세계적인 조선업체인 코쿰스가 문을 닫게 되었다. 당시 말뫼의 상징이었던 골리앗 크레인이 2003년 현대중공업에 단돈 1달러에 팔리자, 골리앗 크레인이 한국으로 실려 가던 날 많은 말뫼 시민이 그 장면을 눈물로 지켜봤다고 한다.

당시 스웨덴 정부와 말뫼시는 조선 산업의 국제경쟁력이 떨어지자, 회사가 도산하기 전부터 오랫동안 시간을 들여 지난한 협상과정을 통해 노-사-정 합의를 이루었다. 그리고 15년이 지나서 말뫼를 상징하던 골리앗 크레인 자리에는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터닝 토르소(Turning Torso)가 자리 잡게 되었고, 과거 대형 조선소가 있었던 장소에는 현재 의학, 바이오, 정보기술(IT) 분야에 걸친 여러 첨단기술 기업의 유럽 본사가 자리를 잡고 있다. 과학, 기술, 연구, 학술의 도시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말뫼는 더는 낙후되고 녹슨 조선 산업의 유적지가 아니다. 이제 아름다운 수변 공간, 친환경적 주거단지를 보기 위해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FP)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는 등 최첨단 연구 중심의 쾌적한 도시로 발전했다.

이 같은 변화는 스웨덴 정부가 당시 노동자에게 해고된 후에도 평소 받던 임금의 80%를 2년 동안 지급했고, 자녀 교육이나 부모님 돌봄과 지역 주민의 노후소득 보장, 그리고 해고된 노동자의 재취업과 재교육까지 책임졌기에 가능했다. 말뫼가 이렇게 변화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정부와 기업과 노동자 간의 성실한 협상 노력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는 스웨덴의 복지국가 정책이 있었다.

시장의 원리에 따라 망하는 것이 당연한 경쟁력 없는 기업이 노동자의 버티기와 정부의 수혈 정책으로 좀비 기업으로 살아남아 연명하게 되면, 그 만큼 산업적 대응 속도가 느려지고, 경제적 비효율이 누적된다. 좀비 기업의 의미 없는 연명을 위해 국가 경제 전체의 경쟁력이 추락한다는 것인데, 이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보편적 복지와 적극적 복지를 통해 보육, 교육, 의료, 주거, 노후소득 보장과 각종 돌봄, 그리고 일자리까지 국가가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복지국가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럴 때라야 산업과 기업의 즉시 구조조정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혁신적 경제성장과 함께 노동생산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기업이 망하는 것은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한 자본이 손해를 보는 데 그쳐야지, 노동자에게 피해가 가는 일이 아니어야 한다.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어도 노동자의 삶이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아야 하고, 유능한 경영자가 새로운 산업과 분야로 옮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합리적인 변화와 효율적인 선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세금을 더 내더라도 그런 복지국가 시스템이 유리함을 자본가도 알아야 한다.

둘째, 노동자와 지역 사회 입장에서 이들이 적극적으로 기업 경영에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와 구조를 만들었던 독일 폭스바겐의 사례다. 폭스바겐은 독일 니더작센 주의 폭스버르크 시에 있는 세계 1위의 자동차 회사다. 폭스바겐의 승용차 계열은 지주회사 및 대중 자동차 제조사인 폭스바겐(Volkswagen)을 중심으로 영국의 벤틀리(Bentley), 프랑스의 부가티(Bugatti), 그리고 폭스바겐의 형제 기업이었던 포르쉐(Porsche)로 구성된다. 폭스바겐의 상용차 계열에는 폭스바겐 상용차(Volkswagen Nutzfahrzeuge, VWN)와 스웨덴의 만(Man) 자동차, 덤프트럭으로 유명한 스웨덴의 스카니아(Scania), 그리고 독일의 아우디(Audi)와 이탈리아의 람보르기니(Lamborghini) 등이 있다.

거대한 폭스바겐 회사가 자리 잡은 니더작센 주에는 폭스바겐 자동차 회사의 주식을 일정 이상 보유해야 한다는 법이 있다. 실제로 폭스바겐사는 설립자인 포르쉐-피에히 가문이 주식의 50%를 가지고 있지만, 소재지인 니더작센 주가 20%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준 공기업이기도 하다.

폭스버르크 시민 다수가 폭스바겐 자동차 회사의 노동자와 그 가족이고 회사가 자리 잡고 있는 니더작센 주의 주력 산업이 자동차와 관련한 산업이기 때문에 폭스바겐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매우 크다. 따라서 노동자의 경영 참여를 법제화하고 있는 독일 연방법에 더해, 2중 안전장치의 하나로 주 정부가 자동차 회사의 주식 일부를 보유했다. 자동차 회사의 분사나 이전, 해외 공장 건설 등이 지역 경제와 지역 주민의 삶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논리에 따라 노동자의 경영 참여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경영 참여가 보장되도록 지배구조를 통해 법적인 뒷받침을 구체화한 것이다.

현대중공업 주식의 약 10%를 보유하고 있는 2대 주주는 국민연금 기금을 비롯한 공적연금이다. 우리나라도 당장은 어렵겠지만, 독일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국민연금이 가진 지분을 일정 정도 울산시가 매입하는 방식으로 현대중공업의 공익성과 공공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우해양조선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투입한 10조 원이 넘는 공적 자금은 국민이 낸 세금을 기초로 만들어졌다. 산업은행이 가진 채권을 거제시가 매입하거나, 경상남도에서 일정 부분 인수해 주식으로 전환 출자하는 방법을 통해 대우해양조선의 합리적인 발전과 거제 시민의 삶이 같이 보장되고, 조선 산업 합리화를 통한 중장기적인 생존 보장과 지역 경제 발전이 상호 연동되는 방법도 중장기적으로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는 기존 주력 5대 산업을 정리하면서 새로운 산업 국가로 나아가야 하는 전환기에 서 있다. 기존 산업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정리하면서 새로운 바이오나 의약산업 등을 육성하는 전략이 부분별로 모색돼야 하겠지만, 그런 변화를 가능케 하는 기업지배 구조의 변화와 정부 시스템 변화도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 기업을 자유로운 시장에 방치해 두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고, 국민경제에서도 효율적이지 않음이 이미 유럽의 많은 나라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거대 주력 산업에 정부 차원의 개입이나 지분 참여 등을 보장하는 복지국가 입장에서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세계 경제의 변화에 따라 기존 산업은 언제나 변화할 수 있고, 또 적절하게 변화해야 한다. 산업 구조조정은 합리적인 경제적 선택의 결과로써 필요한 부분이다. 산업 구조조정 시 문을 닫는 업체도 생기고 노동자가 해고되는 문제도 발생하는데, 지금 우리나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고가 곧 살인"이 되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상황에서는 꼭 필요한 신기술의 도입이나 산업과 기업의 합리적 구조조정조차 불가능하다. 이제 복지국가는 산업 발전의 측면에서도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가 되었다. 

▲ 기업 사회를 위해서도 복지국가는 필수다. 지난 달 31일 오후 현대중공업 노조가 점거 농성을 마치고 돌아간 울산시 동구 한마음회관 체육관 바닥에 노조의 머리띠가 떨어져 있다. 한마음회관은 기존에 현대중공업 주주총회가 열릴 장소였다. ⓒ연합뉴스

2019년 6월 9일 일요일

叢書 : line 40.


叢書 :
line 40.




*** 叢書 : line 40.







* 첫째는
물질로 된 이 결과의 세계에서
인생의 근본 문제를 해결 하려는
길이다.



 


*   First,
people have searched for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life
within the resultant world of material.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6일 목요일

叢書 : line 39.

 
叢書 :
line 39.




*** 叢書 : line 39.










* 인생의 실제에 있어서
인간이 밟아 온 과정을
두 가지로 대별 하여 (본다면,) 볼 수 있다.




* We can discern that
there are two broad courses in the search for solutions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human life.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叢書 : line 38.

 
 
叢書 :
line 38.
 
 
 
 
 
 
 
 
 
***  叢書 : line 38.
 
 
 
 
 
 
 
 
 
 
 
 
*  그러므로 인간이 이 무지로부터 완전히 해방 되어 가지고
본심의 욕망이 지향 하는 선한 방향으로만 나아가
영원 한 행복을 누리기 위하여는,
종교와 과학이 통일 된 하나의 과제로서 해결 되어
내외 양면의 진리가 상통 하게 되지 않으면 안 된다.
 
 
 
 
 
 
 
* In order for human being completely liberated  from ignorance and solely living in good in accord with the desires of the original mind, eventually the way of religion and the way of science should be integrated through they resolve problems by undertaking in one united subject and the two aspects of truth, internal and external, should be developed in full consonance.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6월 5일 수요일

讀者를 부끄러움으로 고개 숙이게 하는 知慧로우며 고운 글.

 
知慧롭고 아름다운
便紙글.





선생님들께: 용서가 최고의 교육입니다
[학부모님께 보내는 편지] <42> 10. 용서하고 칭찬해야 (1)
2019.06.05 09:12:04

선생님들께: 용서가 최고의 교육입니다

졸업생이 어색한 미소를 머금으면서 다가왔다. 
군 입대 전에도 몇 차례 찾아왔던, 3학년 담임 맡았던 제자였다. 
고3 어느 날, 핸드폰을 만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빼앗았더니 
가방을 주섬주섬 싸서는 교실을 나가버렸고, 
불렀음에도 들은 채 않고 사라졌던 제자였다. 
아이들도 다 보고 있던 상황, 담임인 나를 당황하게 만들었던, 
교사의 권위와 자존심, 교권을 완전히 짓밟아버렸던, 
내 교직생활에서 가장 황당함을 주었던 사건의 주인공이었다. 
참았다. 부모님께 전화하지도 않았다. 
다음날, 잘못을 시인하며 고개를 떨어뜨렸고 
다시는 그런 무례한 행동 하지 않겠노라 약속한 것으로 
두 손 꼭 잡아주면서 깨끗하게 용서하고 마무리하였다. 
반성문도 쓰게 하지 않았다. 
군 입대 전 찾아왔을 때, 그때의 용서가 고마웠다 하였고 
그때의 용서에 힘입어 대학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장학금까지 받았노라 자랑하였다. 

체벌은 물론 기합 한 번 주지 않은 지 5~6년이 지났다.
매스컴에서는 아이들 때문에 선생님들의 스트레스가 심하다 하는데
나도 그렇지만 우리학교 동료 선생님들도
아이들에게 스트레스 별로 받은 것 같지 않다.
아이들이 착하기도 하지만 
이해와 용서와 기다림의 결과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너나없이 어리석고 실수한다 생각하여 
이해해주고 용서해주고 또 용서해주면,
용서는 또 다른 용서를 낳고, 그래서 
관계가 좋아지고 더불어 행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것이다.    

젊었을 때는 작은 잘못에도 신경질 내고 폭언에 체벌까지 하였는데  
'해님과 바람' 이야기를 곱씹으면서 깨달음을 내 것으로 만들었고
이후에 아이들에게 따뜻한 미소로 다가가기 시작하였다.
용서를 시작하자 용서가 쉬운 일이 되었고 
그 용서가 평화와 미소를 가져오기 시작하였다.   
교육은 폭력 앞에 순종하는 척하도록 가르치는 데 있지 않고 
미봉책으로 넘어가는 데 있는 것 아니라 
마음이 바뀌도록 해야 한다 생각하기 시작하였고
내일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오늘의 행복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 
내일을 위해 오늘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상대방 뿐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서도 
용서하고 또 용서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공부는 긴장된 상태가 아닌 
즐겁고 이완된 상태일 때 더 잘 된다는 생각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철부지 교사 시절, 종아리에 피가 보일 때까지 체벌하여 
학부모 항의를 받은 적도 있었다. 
일벌백계(一罰百戒)보다 나은 교육은 없다 생각하였고 
대학입시를 위해서 하는 체벌과 폭언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다가 우연히 
"가장 나쁜 감정은 질투, 가장 무서운 죄는 두려움, 
가장 무서운 사기꾼은 자신을 속이는 자, 
가장 큰 실수는 포기해 버리는 것. 
가장 어리석은 일은 남의 결점만 찾아내는 것. 
가장 심각한 파산은 의욕을 상실해 버리는 것. 
그러나 가장 좋은 선물은 용서"
라는 프랭크 크레인의 가르침을 만났다. 이후 
용서를 가르침이 그 어떤 교육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아울러 말로써 가르치는 것보다 행동으로 가르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고 교육적이라는 생각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어찌 용서가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겠는가? 
특히 교육 현장에서는 일벌백계(一罰百戒)가 최선 아니겠는가? 
잘못을 범하면 그에 상응하는 처벌받음을 경험케 해 
다시는 그런 잘못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교육 아니겠는가?

그런데 아니었다. 이상하게 아니었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것처럼 
용서를 심었더니 용서가 나오고 
처벌을 심었더니 분노와 미움과 비뚤어짐이 나왔다. 
용서는 행복과 평화를 만들었고
그 행복과 평화가 에너지를 만들었지만
처벌은 분노와 화를 만들었고 
그 분노와 화는 평화와 행복을 깨부수는 결과를 낳았다.   

최소 교육 현장과 가정에서만큼은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 아닌 
사랑과 이해와 존중과 포용과 용서가 정답임을 
교단을 떠날 나이가 되어서야 깨닫는다. 
그래서다. 하루에도 몇 번씩 
아이들의 실수와 잘못에 미소 지어주면서 
'괜찮아, 실수하지 않고 사는 사람 누구 있더냐?' 
'학창 시절 어리석지 않은 사람 누구 있더냐?' 
'내가 용서한 것처럼 너희도 다른 사람을 용서하라' 
를 중얼거리는 것이. 
 


수능 앞둔 학생은 여행 가야 한다
[학부모님께 보내는 편지] <41> 9. 여행 떠나보내고 고생하도록 도와야
2019.06.04 15:42:44

수능 앞둔 학생은 여행 가야 한다

고3 진급을 앞둔 1월에 
아들은 일본에서 진행된 한일 청소년 교류 캠프에 다녀왔다. 
청소년 단체에서 실시하는 12일 일정의 국제교류캠프였는데
대학입시와는 관련 없는 '연수'라는 이름의 여행이었다.  
처음 참가 권유를 받았을 때, 아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재차 권유하였지만, 
고3인데, 수능이 10개월밖에 남지 않았는데 
무슨 캠프냐며 펄쩍 뛰었다. 
그러나 내 생각은 달랐다.    
"10개월은 짧지 않다. 
공부만 할라치면 지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아무리 시간이 없을지라도 밥은 먹어야 하는 것처럼, 
아무리 할 일이 많을지라도 잠은 자야 하는 것처럼, 
아무리 해야 할 공부가 많다 하더라도 쉼은 있어야 한다. 
여행보다 더 효율 좋은 쉼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수능 10개월을 남겨둔 지금, 캠프 여행, 떠나야 한다. 
아빠가 거의 매일, 밤 10시까지 학교에 머물면서 
가르치고 책 보고 글 쓰는 생활을 할 수 있는 에너지는 
대학시절 그 누구보다 열심히 싸돌아다니며 놀았던 덕분이고 
방학이면 짐 싸서 훌쩍 떠났던 여행이 가져다준 반대급부다. 
누구보다 열심히 생활하도록 도와준 원동력은 여행이다."

고맙게도 아내는 내 의견에 고개 끄덕여주었고 
아들도 자신의 고집을 꺾은 후 캠프를 위해 현관문을 나섰다.
12일 동안 일본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강의 듣고 토론하고 
견학하고 관광하고, 민박하고 친구 사귀고 스키도 탔단다. 
맛있는 음식 먹으며 새로 사귄 친구들과 마냥 행복하였단다. 
지금까지 삶 중 가장 신나고 재미있었던 시간이었단다. 
그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분명히. 분명히
전교에서 가장 열심히 공부한 학생이라고 소문난 것이. 
성적 급상승하여 마지막 시험에서 전교 1등까지 한 것이. 
한 문제 더 맞췄다면 수능 전 영역 1등급 받을 수 있었던 것이. 
대학 2학년 여름방학 때 40일간 유럽 배낭여행 다녀왔고
시간 날 때마다 인도 스페인 일본 등을 여행하였다.   
대학에서 공부 즐겁게 열심히 할 수 있었던 것도 
직장에서도 즐겁고 신나게 일할 수 있는 것도
여행이 가져다 준 에너지 때문이라고 나도 아들도 믿고 있다.
여행 떠나야 여행이 행복임을 알 수 있게 되고 
또 다른 여행을 위해 열심히 생활해야 함을 깨닫게 된다. 
세상이 넓다는 사실도 알게 되고 
자신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인정하게 되며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할 것인가도 깨닫게 된다.
책상 앞에서보다 10배 이상 성숙 가능하다.  

세상을 알 수 있고 부모 사랑 이해할 수 있으며 
가족의 소중함도 깨닫게 된다. 
세상살이 녹록치 않다는 사실도 알게 되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도 깨닫게 된다. 
고생하면서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이해 키울 수 있고 
그 이해력으로 공부 효율성 키울 수 있다. 
쓴 맛 단 맛 경험한 아이가 공부 잘할 수 있다. 
고생해보아야 공부가 쉬운 일이라는 사실 알게 되어 
공부를 어려운 일이나 하기 싫은 일로 여기지 않게 된다. 
열심히 땀 흘리면 행복할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도 
진정으로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자녀가 고생하는 모습 보지 않으려는 부모들이 많다. 
그 고생이, 그 고민이, 그 갈등이 
자녀를 성장시킨다는 사실, 모르지 않으면서도 
우선 당장 마음이 아프다는 이유로, 
사랑이라는 이름 가져다 붙이면서 
자녀들이 고민하고 땀 흘리는 것 방해한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공부할 시간 빼앗긴다는 이유로 
땀 흘리지 말라 하면서 자녀 대신하여 땀 흘려준다. 
이보다 더 큰 실수 없는데.  
자녀가 땀 흘리는 모습, 머리 쥐어짜는 모습, 좌충우돌하는 모습 
기쁜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현명한 부모인데. 
땀 흘리고 머리 쥐어짜고 좌충우돌하는 모습 뒤에 서서 
환한 미소 지을 수 있어야 훌륭한 부모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