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2박 3일간의 방북 여정은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백두산을 동반 등반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지난 4월 27일 '북녘 땅을 밟아 백두산에 가고 싶다'던 문 대통령의 바람에 김 위원장이 화답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전 6시 39분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에서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복도에서 박수로 환송하는 영빈관 직원들 한 명, 한 명과 차례로 악수하고 공항으로 가는 차에 올라탔다. 문 대통령이 가는 길에는 평양 시민들이 거리에 늘어서 꽃과 한반도기를 들고 "조국 통일"을 연호했다. 문 대통령은 차 안에서 손을 밖으로 내밀며 평양 시민들에게 작별 인사했다. 이어 평양 순안공항에서 배웅을 나간 평양 시민들은 문 대통령에게 "평화, 번영"이라고 외쳤다.
문 대통령 부부는 오전 7시 27분 평양 순안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발해 오전 8시 20분에 백두산 근처에 있는 삼지연공항에 도착했다. 미리 삼지연공항에 도착해 대기하던 김정은 위원장 부부는 비행기에서 내리는 문 대통령 부부를 영접했다. 군악대, 의장대, 시민들이 문 대통령에게 공항 환영식을 했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삼지연공항에서 내린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차량과 궤도차량으로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오를 예정이다. 날씨가 좋으면 두 정상은 삭도 케이블카를 타고 천지연도 둘러볼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4.27 판문점 정상회담 만찬 때 "내가 오래 전부터 이루지 못한 꿈이 바로 백두산과 개마고원을 트래킹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가 퇴임하면 백두산과 개마고원 여행권 한 장 보내주시겠습니까? 하지만 나에게만 주어지는 특혜가 아닌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그런 날이 오기를 기원한다"고 말해 좌중이 숙연해졌었다. (☞관련 기사 : 文대통령 "11년 전 노무현 대통령 모습이 떠올라")
김정은 위원장은 이 말을 기억해뒀다가 전날인 19일에 백두산 방문을 제안했고, 문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백두산 일정이 확정됐다. 공식 제안은 전날에 들어왔지만, 양국 사이에 백두산 방문에 대한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평양 방문 첫날인 지난 18일 비행기에서 내리기 전에 "나는 백두산에 가되 중국이 아닌 북쪽으로 올라가겠다고 그동안 공언해왔다"며 "중국 동포가 백두산으로 나를 여러 번 초청했지만 내가 했던 말 때문에 늘 사양했었는데, 그 말을 괜히 했나 보다 하고 후회하곤 했다"는 소회를 밝히며 백두산 등반을 예고했다.
두 정상이 백두산에 오른 모습은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의 백미로 꼽혔던 '도보 다리' 회담에 이은 상징성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4.27 회담 당시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백두산에 여행갈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합의 사항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은 2007년 10.4 선언에서 "남과 북은 백두산 관광을 실시하며 이를 위해 백두산-서울 직항로를 개설"하기로 합의했었다.
11년 전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위원장이 합의한 '백두산-서울 직항로'의 종착지가 바로 백두산 근처에 있는 군용 공항인 삼지연공항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11년 만에 '백두산 여행'을 위해 내릴 공항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2박 3일간의 방북 여정은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백두산을 동반 등반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지난 4월 27일 '북녘 땅을 밟아 백두산에 가고 싶다'던 문 대통령의 바람에 김 위원장이 화답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전 6시 39분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에서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복도에서 박수로 환송하는 영빈관 직원들 한 명, 한 명과 차례로 악수하고 공항으로 가는 차에 올라탔다. 문 대통령이 가는 길에는 평양 시민들이 거리에 늘어서 꽃과 한반도기를 들고 "조국 통일"을 연호했다. 문 대통령은 차 안에서 손을 밖으로 내밀며 평양 시민들에게 작별 인사했다. 이어 평양 순안공항에서 배웅을 나간 평양 시민들은 문 대통령에게 "평화, 번영"이라고 외쳤다.
문 대통령 부부는 오전 7시 27분 평양 순안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발해 오전 8시 20분에 백두산 근처에 있는 삼지연공항에 도착했다. 미리 삼지연공항에 도착해 대기하던 김정은 위원장 부부는 비행기에서 내리는 문 대통령 부부를 영접했다. 군악대, 의장대, 시민들이 문 대통령에게 공항 환영식을 했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삼지연공항에서 내린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차량과 궤도차량으로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오를 예정이다. 날씨가 좋으면 두 정상은 삭도 케이블카를 타고 천지연도 둘러볼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4.27 판문점 정상회담 만찬 때 "내가 오래 전부터 이루지 못한 꿈이 바로 백두산과 개마고원을 트래킹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가 퇴임하면 백두산과 개마고원 여행권 한 장 보내주시겠습니까? 하지만 나에게만 주어지는 특혜가 아닌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그런 날이 오기를 기원한다"고 말해 좌중이 숙연해졌었다. (☞관련 기사 : 文대통령 "11년 전 노무현 대통령 모습이 떠올라")
김정은 위원장은 이 말을 기억해뒀다가 전날인 19일에 백두산 방문을 제안했고, 문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백두산 일정이 확정됐다. 공식 제안은 전날에 들어왔지만, 양국 사이에 백두산 방문에 대한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평양 방문 첫날인 지난 18일 비행기에서 내리기 전에 "나는 백두산에 가되 중국이 아닌 북쪽으로 올라가겠다고 그동안 공언해왔다"며 "중국 동포가 백두산으로 나를 여러 번 초청했지만 내가 했던 말 때문에 늘 사양했었는데, 그 말을 괜히 했나 보다 하고 후회하곤 했다"는 소회를 밝히며 백두산 등반을 예고했다.
두 정상이 백두산에 오른 모습은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의 백미로 꼽혔던 '도보 다리' 회담에 이은 상징성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4.27 회담 당시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백두산에 여행갈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합의 사항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은 2007년 10.4 선언에서 "남과 북은 백두산 관광을 실시하며 이를 위해 백두산-서울 직항로를 개설"하기로 합의했었다.
11년 전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위원장이 합의한 '백두산-서울 직항로'의 종착지가 바로 백두산 근처에 있는 군용 공항인 삼지연공항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11년 만에 '백두산 여행'을 위해 내릴 공항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전 6시 39분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에서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복도에서 박수로 환송하는 영빈관 직원들 한 명, 한 명과 차례로 악수하고 공항으로 가는 차에 올라탔다. 문 대통령이 가는 길에는 평양 시민들이 거리에 늘어서 꽃과 한반도기를 들고 "조국 통일"을 연호했다. 문 대통령은 차 안에서 손을 밖으로 내밀며 평양 시민들에게 작별 인사했다. 이어 평양 순안공항에서 배웅을 나간 평양 시민들은 문 대통령에게 "평화, 번영"이라고 외쳤다.
문 대통령 부부는 오전 7시 27분 평양 순안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발해 오전 8시 20분에 백두산 근처에 있는 삼지연공항에 도착했다. 미리 삼지연공항에 도착해 대기하던 김정은 위원장 부부는 비행기에서 내리는 문 대통령 부부를 영접했다. 군악대, 의장대, 시민들이 문 대통령에게 공항 환영식을 했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백두산으로 출발했다.
삼지연공항에서 내린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차량과 궤도차량으로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오를 예정이다. 날씨가 좋으면 두 정상은 삭도 케이블카를 타고 천지연도 둘러볼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4.27 판문점 정상회담 만찬 때 "내가 오래 전부터 이루지 못한 꿈이 바로 백두산과 개마고원을 트래킹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제가 퇴임하면 백두산과 개마고원 여행권 한 장 보내주시겠습니까? 하지만 나에게만 주어지는 특혜가 아닌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그런 날이 오기를 기원한다"고 말해 좌중이 숙연해졌었다. (☞관련 기사 : 文대통령 "11년 전 노무현 대통령 모습이 떠올라")
김정은 위원장은 이 말을 기억해뒀다가 전날인 19일에 백두산 방문을 제안했고, 문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백두산 일정이 확정됐다. 공식 제안은 전날에 들어왔지만, 양국 사이에 백두산 방문에 대한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평양 방문 첫날인 지난 18일 비행기에서 내리기 전에 "나는 백두산에 가되 중국이 아닌 북쪽으로 올라가겠다고 그동안 공언해왔다"며 "중국 동포가 백두산으로 나를 여러 번 초청했지만 내가 했던 말 때문에 늘 사양했었는데, 그 말을 괜히 했나 보다 하고 후회하곤 했다"는 소회를 밝히며 백두산 등반을 예고했다.
두 정상이 백두산에 오른 모습은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의 백미로 꼽혔던 '도보 다리' 회담에 이은 상징성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4.27 회담 당시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백두산에 여행갈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합의 사항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은 2007년 10.4 선언에서 "남과 북은 백두산 관광을 실시하며 이를 위해 백두산-서울 직항로를 개설"하기로 합의했었다.
11년 전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위원장이 합의한 '백두산-서울 직항로'의 종착지가 바로 백두산 근처에 있는 군용 공항인 삼지연공항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11년 만에 '백두산 여행'을 위해 내릴 공항이다.
문재인-김정은, 함께 백두산 올라간다
문재인 대통령 이미 두차례나 “백두산 북한 통해 가고 싶다”고 밝혀와
정민경 기자 mink@mediatoday.co.kr 2018년 09월 19일 수요일
평양 남북정상회담 3일째인 20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백두산에 함께 등반한다.
19일 평양 메인프레스센터에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 3일째인 내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백두산 방문을 함께 하기로 했다”며 “백두산 방문은 김정은의 위원장 제안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여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의 백두산 방문은 20일 아침 일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백두산의 모습. @pixabay |
또한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가는 중인 18일 오전에도 대통령 전용기에서 “백두산에 가긴가되 중국이 아닌 북쪽으로 올라가겠다고 그동안 공언했다”며 “중국 동포가 백두산으로 나를 여러번 초청했지만 내가 했던 그말 때문에 늘 사양했는데 그 말을 괜히 했나보다 하고 후회하곤 했다”고 전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