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민국
Passport 의
Syntax Diagram.
아래에
대한 민국 Passport의
전면 영어 문장을
Syntax Diagram한다.
Syntax Diagram이
아무런 설명이나 통보 없이
임으로 block 처리 되어서
표시가 되지 아니 하므로,
왜
Blog의 글 중에서 일부
(가장 중요 한 핵심 개념 부분)이
필자에게
아무런 근거 제시나
통보 또는
의견 제시의 기회 . . . 등을
박탈 하고
임의 Block 처리 되는지
흥미롭게 지켜 보고 있는
중이다.
이 글 뿐만이 아니라
이 Google Blog의 다른 글 중에서도
Syntax Diagram만을
임으로 Block 처리 하고 있으므로,
(참고로,
필자의
Naver Blog: < The North Star >와
Naver Café: < 원리 강론(The Divine Principle) through Syntax > 및
<Daum Café : The Divine Principle(원리 강론) focused on Syntax >에서는
<Daum Café : The Divine Principle(원리 강론) focused on Syntax >에서는
Syntax Diagram block 처리가 없이 그대로 게시 되고 있다. )
위 Block 처리 임의 조치가,
< Cyber Property:
사이버 저작권법>
사이버 저작권법>
침해인지의 여부를
예의 검토 중에 있다.
본 Syntax Diagram은
필자가 30여 년 전에 도해 한 것으로서
혹시 그 동안에 영어 어휘나 구절이 변경 되었을 수도 있으나
Principle Frame of Diagram은
변하지 않았으므로
독자 스스로 변화에 맞추어
다시 도해 할 수 있으리라.
주 문장의 본동사인 <requests>는 <5형식> 문장을 만들면서,
두 개의 목적 보어<to permit> & < to afford >를 가지고,
< to permit >는 다시 < 5 형식 문>을 만들고,
< to afford >는 <4 형식 문>을 만든다.
< whom>은< request>의 목적어 < all those >를 선행사로 받고,
뒤 따르는 종절(형용사 절)의 <목적어>로 직능을 가진다.
<to afford >와 < very possible > 사이에
<괄호>로 < for him or her >를 도해 삽입 한 부분은
필자가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첨가 한 부사구이다.
< to afford ~ >는
< 제 4형식> 문장을 만든다.
<a national ~ of Korea >는
< the bearer >와
동격구이다.
위 문장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복합 문으로서
주문장은 < 5 형식 문>으로
두 개의 <to-infinitive 목적 보어를 가지고,
두 개의 <to-infinitive 목적 보어를 가지고,
첫 번 목적보어는 또 다시 < 5 형식 문 >을 만들고,
두 번째 목적 보어는 < 4 형식 문>으로 구성 되었다.
이 다음에는
New Zealand Passport와
Australia Passport의
Syntax Diagram을
게시 할 생각이다.
독자가
동 서양의 3개국 Passport Syntax Diagram을 비교 연구 해 보면
각국 최고 지성의 총집합이 모여서 작성 한
Passport 영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