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 14일 화요일

5·18 광주엔 북한군 아닌 ‘남한 특수군’ 있었다 - 전두환 5월21일 광주 방문 직후 강경진압… 진압 빌미 만들려 남한 특수군이 시민 위장해 공작 !


眞實은 
결코
自身을
辯明 하지 않는다 !​ 







 진상규명과 관련 좋은 보도는 경향신문과 KBS, MBC에서 나왔다. 경향신문은 4월 8~11일까지


는 내용의 비밀문건을 입수해 보도했다. 


KBS는 3월11일 ‘煎 헬기사격 조사관 인터뷰’에서 

1980년 5월20일 이전 

이미 광주에 무장헬기가 파견돼 작전을 진행했고, 

       [영상]5·18광주엔 

북한군 아닌 ‘

남한 특수군’ 

있었다



전두환 

5월21일 광주 방문 직후 

강경진압… 


진압 빌미 만들려

남한 특수군이 

시민 위장해 

공작


미디어오늘 비주얼콘텐츠부 yuk@mediatoday.co.kr 2019년 05월 13일 월요일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393#csidx2eea98d74c6e97faadfb20b840212b3 
진상규명과 관련 좋은 보도는 경향신문과 KBS, MBC에서 나왔다. 경향신문은 4월 8~11일까지 


는 내용의 비밀문건을 입수해 보도했다. KBS는 3월11일 ‘煎 헬기사격 조사관 인터뷰’에서 1980년 5월20일 이전 이미 광주에 무장헬기가 파견돼 작전을 진행했고, 5월22일 이후 헬기 작전 기획을 시행하라는 작전 지침 자료를 확인했다. 
MBC는





…문건 최초 확인’(4월22일) 리포트에서 전두환 당시 계엄사령관이 부마항쟁을 초동 강경진압해야 한다는 결론을 냈다는 문건을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부마항쟁 당시 지휘계통은 지역사단과 2군의 지휘 하에 있었는데 보안사령관인 전두환씨가 이런 결정에 관여했다고 한다. 이는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지휘계통에 없었다는 전두환씨의 주장에 균열을 내는 의미가 있다.
▲ MBC 뉴스 “전두환…‘부마항쟁’ 진압 지휘” 보도 갈무리.
5·18 보도를 5·18기념재단과 함께 모니터링한 조선희 민주언론시민연합 활동가는 “전두환씨 재판을 단순 중계하거나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 망언을 보도하는 데 집중한 언론은 진상규명을 위한 타 언론사의 보도를 가리는 역할을 했다”며 “TV조선은 광주에 간 전두환씨 보도와 관련해 마치 시민들이 경찰과 대치했다는 식으로 ‘아수라장’이라고 보도했는데, 광주 시민들이 얼마나 분노하는지 전혀 공감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조 활동가는 “경향신문 보도를 보면 수송기로 시체를 옮긴 경우가 있었다고 하는데, 행방불명자를 찾는 일이 시작돼야 한다. MBC 보도 가운데 부마 항쟁과 광주를 연결하는 보도를 보면서, 광주민주화운동을 고립된 한 지역의 일처럼 인식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민주화운동을 각 지역의 일로만 한정하지 않고 연결지어 진실을 찾아가는 보도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406#csidxd81a9fc024cf4069bfff2b1ebfd555f 

       [영상]5·18광주엔 북한군 아닌 ‘남한 특수군’ 있었다

전두환 5월21일 광주 방문 직후 강경진압… 진압 빌미 만들려 남한 특수군이 시민 위장해 공작

미디어오늘 비주얼콘텐츠부 yuk@mediatoday.co.kr 2019년 05월 13일 월요일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393#csidxd9c055b84ad7691a7162becb899b23a 

       [영상]5·18광주엔 북한군 아닌 ‘남한 특수군’ 있었다

전두환 5월21일 광주 방문 직후 강경진압… 진압 빌미 만들려 남한 특수군이 시민 위장해 공작

미디어오늘 비주얼콘텐츠부 yuk@mediatoday.co.kr 2019년 05월 13일 월요일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393#csidxd815423de086cb882814d4ff26e25c5 

       [영상]5·18광주엔 북한군 아닌 ‘남한 특수군’ 있었다

전두환 5월21일 광주 방문 직후 강경진압… 진압 빌미 만들려 남한 특수군이 시민 위장해 공작

미디어오늘 비주얼콘텐츠부 yuk@mediatoday.co.kr 2019년 05월 13일 월요일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393#csidxd9c055b84ad7691a7162becb899b23a 




광주 진압에 전두환 각하께서 ‘Good idea’

[아침신문 솎아보기] 광주 진압 관련 모든 회의 참석… 경향신문 군 문서 입수해 1,4,5면에 진상규명 보도

이정호 기자 leejh67@mediatoday.co.kr  2019년 05월 15일 수요일
    





    김용장·허장환 광주회견…

전두환은 왜 광주를 선택했나?



신군부의 철저한 시나리오에 의해 저질러진 학살…
카터도 손 들어 줘


2019.05.14 18:33:33
김용장·허장환 광주회견…전두환은 왜 광주를 선택했나?
5·18 당시 

미 정보단 소속 정보요원이었던 김용장 씨와 

계엄군의 실질적 지휘소 역할을 한 

505보안부대 수사관으로 근무한 

허장환 전 정보요원



이 서울 국회 기자회견에 이어 
14일 항쟁의 현장인 광주에 와서 

기자회견


을 가졌다.

5·18기념재단 대동홀에서 오후 2시부터 진행된 회견에는 언론인들 뿐만아니라 5·18관련자, 일반 시민 등 300여 명의 청중이 운집해 광주시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5·18 당시 미국 정보요원이었던 김용장 씨와 505보안부대 수사관이었던 허장환 씨가 전날 국회 증언에 이어 14일 광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진실 증언에 나섰다. ⓒ프레시안(박호재)

기자회견 시작에 앞서 이철우 기념재단 이사장은 "39년째 5월 그날이 다가서고 있지만 진실규명에 한 걸음도 진척이 없어 5월 영령들 앞에 설 면목이 없었는데, 두 분의 용기 있는 증언 때문에 고개를 들게 됐다"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김용장 씨는 "죄송하고, 미안하다, 광주 얘기 나오면 눈물부터 나온다"며 다소 잠긴 목소리로 말문을 열면서 "사직할 때 기밀 함구 각서를 썼지만 광주의 진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39년째 함구했던 증언에 나섰다"고 말했다.

김용장 씨는 "지금까지 알려진 5·18의 역사는 잘못 쓰였다"고 강조하며 "광주항쟁의 역사를 다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레시안(박호재)

김 씨는 "5·18은 정권 찬탈을 위한 신군부 시나리오에 의해 저질러진 일이다"고 단호하게 규정하며 "대구·부산은 그들 대다수의 고향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대전은 수도권과 가깝다는 점에서 배제됐으며, 광주는 작전을 펴기에 도시 규모도 적당하고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을 내란음모로 엮기 적당한 도시라는 점에서 광주가 선택됐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 씨는 그런 차원에서 "미 정부에 당시 내가 썼던 보고서들을 원본 기록 그대로 보내달라고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김용장 씨는

5·18과 미국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지미 카터가 신군부의 손을 들어주고 지원했다"

고 명쾌하게 선을 그었다. 

김 씨는 "글라이스틴 대사의 왜곡된 보고서가 국무성 라인을 통해 카터에게 전달됐고, 이에 따라 결국 카터가 군부의 손을 들어줬다"고 말했다. 

또 김용장 씨는 

'편의대'라는 선무 공작원이 
항쟁 기간 동안 광주에서 활동했다

는 사실도 증언했다.

김 씨는 

"40여 명이 수송기로 광주전투비행장에 와서 
격납고에 본부를 차렸다. 

당시 자신이 직접 격납고에 가봤는데, 

넝마 옷을 걸친 이상한 차림의 두 사람이 
격납고 밖에서 환담하는 것을 목격했다"

고 말했다. 

당시 505보안부대 수사관이었던 허장환 씨는 "같은 대학 선배이기도 한 피지에 살고있던 김용장 씨를 5·18기념재단 조진태 상임 이사와 함께 직접 찾아가 모셔왔다"고 말하며 "21일 전두환이 광주에 내려와 사살 명령을 내렸다"고 거듭 강조했다. 

허장완 씨는 당시 상사가 

"사령관이 왔다 갔다. 
발포가 있을 것이다. 

사복 차림으로 시내에 나갈 일이 많은 수사관들은 조심하라

는 얘길 들었다"고 말했다. 

허 씨는 

광주국군통합병원에서 
시신 처리를 했다는 증언이 
사실

임을 거듭 밝혔다.


▲기자회견 중 쉬는 시간을 활용해 기자들과 얘길 나누고있는 허장환 전 505보안대 수사관 ⓒ프레시안(박호재)

허 씨는 자신이 처리 반은 아니었지만

"가매장한 시신을 
다시 수습해 
통합병원에서 화장했으며, 

유골은 
광주 인근에 다시 매장했으며, 
시신 일부는 
해양 투기를 했다"

고 증언했다. 

당시 통합병원장의 시신처리는 없었다는 언급에 대해서도 허 씨는 "5·18 후 훈포장이 있었다. 당시 통합병원장이 서열 네 번째인 큰 훈장을 받았다"고 말해 자신의 말이 사실임을 강조했다. 

또 허 씨는 

"편의대라는 선무 공작이 
분명히 있었다"

고 김용장 씨의 증언에 힘을 실으면서 


당시 탈취된 APC 장갑차는 
군부대에 납품할 예정인 
신형 장갑차였다"

고 설명한 후 "

그 장갑차를 운전할 수 있는 광주시민은 한 사람도 없었을 것이다. 

유언비어 유포, 
무기 탈취 등 
일들이 

광주 진압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사 선무 공작에 의해 
행된 일이다"

고 증언했다. 

이날 회견은 기자들과 청중들의 질문이 이어지며 3시간 이상 진행됐으며, 두 사람의 증언을 지켜본 시민들은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5·18의 역사가 새롭게 쓰여야 한다는 점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일 한국에 온 김용장 씨는 18일 '5·18 39주기 기념식'에 참석한 뒤 피지로 돌아갈 것으로 전해졌으며 허장환 전 505보안대 수사관도 김 씨와 전 일정을 함께 할 예정이다.


진상규명과 관련 좋은 보도는 경향신문과 KBS, MBC에서 나왔다. 경향신문은 4월 8~11일까지 ‘5·18 기간 계엄군이 공군 수송기로 시체를 운반했다’는 내용의 비밀문건을 입수해 보도했다. KBS는 3월11일 ‘煎 헬기사격 조사관 인터뷰’에서 1980년 5월20일 이전 이미 광주에 무장헬기가 파견돼 작전을 진행했고, 5월22일 이후 헬기 작전 기획을 시행하라는 작전 지침 자료를 확인했다. 
MBC는 ‘전두환, 부마항쟁 진압 지휘했다…문건 최초 확인’(4월22일) 리포트에서 전두환 당시 계엄사령관이 부마항쟁을 초동 강경진압해야 한다는 결론을 냈다는 문건을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부마항쟁 당시 지휘계통은 지역사단과 2군의 지휘 하에 있었는데 보안사령관인 전두환씨가 이런 결정에 관여했다고 한다. 이는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지휘계통에 없었다는 전두환씨의 주장에 균열을 내는 의미가 있다.
▲ MBC 뉴스 “전두환…‘부마항쟁’ 진압 지휘” 보도 갈무리.
5·18 보도를 5·18기념재단과 함께 모니터링한 조선희 민주언론시민연합 활동가는 “전두환씨 재판을 단순 중계하거나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 망언을 보도하는 데 집중한 언론은 진상규명을 위한 타 언론사의 보도를 가리는 역할을 했다”며 “TV조선은 광주에 간 전두환씨 보도와 관련해 마치 시민들이 경찰과 대치했다는 식으로 ‘아수라장’이라고 보도했는데, 광주 시민들이 얼마나 분노하는지 전혀 공감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조 활동가는 “경향신문 보도를 보면 수송기로 시체를 옮긴 경우가 있었다고 하는데, 행방불명자를 찾는 일이 시작돼야 한다. MBC 보도 가운데 부마 항쟁과 광주를 연결하는 보도를 보면서, 광주민주화운동을 고립된 한 지역의 일처럼 인식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민주화운동을 각 지역의 일로만 한정하지 않고 연결지어 진실을 찾아가는 보도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8406#csidxd81a9fc024cf4069bfff2b1ebfd555f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