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6일 화요일

통일 사상, 인식론, 인식의 주체와 대상(인간 주체와 만물 대상)의 원리적 이해.

 統一 思想 認識論 認識의 主體와 對象 ( 人間 主體와 萬物 對象)의 原理的 이해. ​ ​ ​ ​ ​ ​ ​ ​1. 統一 思想 인용. 이것은 주체(인간)가 지닌 요소와 대상 (만물)이 지닌 요소와의 종합에 의해 인식이 이루어짐을 뜻 한다. < 통일 사상. P. 549. 하. 1 중 ~ P.550. 상. 2 초. > ​ ​ ​ 2. 統一 認識論의 原理的 이해. ​ ​ ​ 가. 통일 인식론 설명 방법. 통일 인식론의 설명에 있어서, 위 인용문부터서 종료 시까지 통일 사상 저자는 인식의 주체를 < 인간 >만으로 설정 하여 설명 하고 있으며, 인식의 대상을 < 만물 >만으로 설정 하여 설명 하고 있다. ​ ​ 나. 인식 主體의 擴張. 인식의 주체는 인간만이 아니라 하나님과, 영인체, 천사, 만물까지도 인식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 관점이다. 하나님의 섭리 경륜을 위하여 하나님이 인간과 천사를 포함 한 삼라 만상을 인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이해 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인식의 주체가 하나님이 되실 수 있고, 그 외에 천사나 만물도 하나님의 섭리 완성을 협조 하고 상대 기준 조성과 상호 협조하는 관계 형성을 위하여 인식의 필요성이 제기 될 수 있으므로 이 때에도 천사나 만물 세계는 인식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 관점이다. ​ ​ ​ 다. 認識 對象의 擴張. ​ ​위 < 나항 >의 각 경우에 인식의 주체가 달라질 때마다 인식의 대상도 또한 그에 상응 하여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 즉 하나님이 인식의 주체 위치에 존재 할 때에는 천사 세계나, 인간 세계와 만물 세계와 하나님의 구상의 개념들이 인식의 대상이 된다고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또 인간과 천사나 만물이 인식의 주체 위치에 존재 할 때에도 하나님( 하나님의 구상 )과 인간 ( 인간의 구상 ) 또는 천사나 만물 세계가 인식의 대상의 위치에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 원리적 관점이다. ​ ​ ​ 라. 인식 主體에 따른 認識 方法의 差異. ​ ​ ​ 창조 원리에 의하면 ​ 하나님뿐만 아니라 인간과 천사 세계와 만물 세계도 자체 내에서 성상과 형상, 양성과 음성이 주체와 대상의 내적 관계를 형성 하여 내적 4위 기대를 조성 하여 스스로의 존재를 유지, 활동 하며, 외적으로도 4위 기대를 조성 하여 상대방과 조화로운 통일적인 공존의 세계를 유지 하고 발전 하고 있다. 따라서, 비록 그 개념어는 각기 다른 명칭으로 사용 하여 설명이 되어진다고 할 수 있어도 인식 과정의 작용 방법은 모두 공통적으로 유사 하다고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 ​ ​ ​ 3. 結論. 통일 사상에서 인식 과정에 관한 설명 중에 인식의 주체를 오직 < 인간 >만으로 설정 하고, 인식의 대상을 오직 < 만물 >만으로 설정 하여 인식 성립의 과정을 설명 하고 있으나, 이는 인식에 관한 代表的인 例를 들어 그 주체와 대상으로 人間과 萬物을 치환 하여 설명 한 것일 뿐이고, 인식 발생의 전체적인 설명은 아니다고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