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 思想, 價値論, 追求가치와 實現가치 개념 혼동에 관한 고찰. >
1. 통일 사상 및 원리 강론 인용.
* 따라서 욕망에는
전체 목적을 달성하려는 욕망과
개체 목적을 달성하려는 욕망이
있게 된다.
전자를 가치 실현욕이라 하고
후자를 가치 추구욕이라 한다.
< 통일 사상. P. 297. 상. 3 말 ~ 상. 6 초. >
* 가치 실현욕에 의해서 실현코자 하는 가치 또는 실현 된 가치가 '실현 가치' 요,
가치 추구욕에 의해서 추구코자 하는 가치 또는 추구 된 가치가 '추구 가치' 이다.
< 통일 사상. P. 297. 하. 10 말 ~ 하. 8 초. >
* 그리고
성상적인 목적은 전체를 위한 것이고,
형상적인 목적은 그 자체를 위한 것이어서 ~ . . .
< 원리 강론. 2006. 42쇄. P.45. 상. 8 초 ~ 상. 9 중. >
2. 위 인용 본문의 개념에 관한 창조 원리적 이해.
존재의 목적에 과한 설명에 있어서
원리 강론의 창조 원리에서는
* 성상 ( 영인체의 주체인 생심 ) 적인 목적 : 전체를 위한 목적.
* 형상 ( 육신의 주체인 육심 ) 적인 목적 : 개체 자체를 위한 목적 ~
~ 이라고 분명하게 정의 하고 있다.
그런데
통일 사상에서 원 저자는
* 성상적인 목적에도 전체를 위한 목적과 개체 자체를 위한 목적이 포함 되어 있고,
* 형상적인 목적에도 전체를 위한 목적과 개체 자체를 위한 목적이 포함 되어 있다고
설명 하고 있다고 설명 하여
원리 강론의 창조 원리적인 개념 정의에 반하고 있다.
본 필자는
원 저자의 심령에 혼동을 유도 하는 유인이 되는 개념으로서
* 실현 가치와
* 추구 가치의 두 개념이
원 저자 심령 속의
개념 혼동의 유발 원인이 되고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즉
* 성상적인 가치 ( 전체 목적 가치 ) 속에도
추구 가치 ( 자체 가치 : 형상적 가치 )와 실현 가치 ( 전체 가치 : 성상적 가치 )를 포함 하고,
* 형상적인 가치 ( 자체 가치 ) 속에도
추구 가치 ( 자체 가치 : 형상적 가치 ) 와 실현 가치 ( 전체 가치 : 성상적 가치 ) 를 포함 한다고
설명 하는 관점에
개념 돈동의 유발 원인이 존재 한다고 생각 한다.
통일 사상 원 저자는
* 실현 가치는 전체 목적 (성상적 ) 인 가치이고,
* 추구 가치는 자체 목적 ( 형상적 )인 가치이다고
정의 한다.
그리고 바로 다음에
* 성상적 ( 전체 가치 ) 가치 속에
실현 가치 ( 전체 가치 ) 와 추구 가치 ( 자체 가치 ) 를 포함 한다고 설명 하고,
* 형상적 ( 자체 가치 ) 가치 속에도
실현 가치 ( 전체 가치 )와 추구 가치 ( 자체 가치 ) 를 포함 한다고 설명 하여
통일 사상 원 저자의 심령은
개념의 중복 순환론 모순의 오류에 진입 하고 있다.
* < 추구 : 追求 > 의 개념과
* < 실현 : 實現 >의 개념에 관한
명확 한 정의가 되어 있지 아니 한 원인이
위 모든 오류 발생 유발 원인이 되고 있다.
* < 추구 > 의 사전적 개념은 < 어디까지든지 뒤쫓아 구함, 근본을 캐어 들어 가며 구함. > 으로서
정해진 < 목적 > 의 성취를 향하여 주변 환경을 개척해 가는 동적 과정적인 모습을 묘사 하는 어구이다.
* < 실현 > 의 사전적 개념은 < 실제로 나타남, 실제로 나타냄. > 으로서
정해진 < 목적 > 을 성취 하는 과정을 완료 한 후, 그 정해진 목적이 실제로 나타난 현상, 즉 목적 달성의 상태이다.
위 개념을 본 가치론의 Issue 에 적용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목적 < 가치 추구 > 의 과정적인 노정을 모두 완료 한 후에 < 추구 가치 >,
목적 가치가 현실적으로 실현 되어 나타난 상태가 < 실현 가치 > 의 개념이라고 할 것이다.
즉
< 추구 가치 >와 < 실현 가치 >는 횡적 병렬적 대등 개념이 아니고,
종적으로 수직적인 보완 개념이라는 것이 명확해 졌다.
< 추구 가치 > 와 < 실현 가치 > 는 독립 된 가치가 될 수 없다.
전자는 목표 가치 실현을 추구 하여 환경을 개척해 나가는 과정적인 노정을 묘사 하는 개념이고,
후자는 그 목표 추구의 과정적인 노정을 완료 후 그 목표를 성취 하여 현실로 나타난 상황을 묘사 하는 개념이다.
이 불필요 한 개념어의 등장이
통일 사상 원 저자의 두뇌를 혼동과 혼란의 상태로 유인 한
오류 유발의 원인 되었다는 것을 증명 하였다.
3. 결론.
위 가치론 혼란의 Issue는
원리 강론의 창조 원리에서 설명 하는 개념인
* < 성상적 가치는 전체 가치 >
* < 형상적 가치는 자체 가치 >의
명확하고 깨끗한 개념어로 귀환해야
해결 되는 Issue 인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