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1일 목요일

원리 강론 말씀의 개념 정리를 위한 원리적 보완.

원리 강론 말씀의 槪念 整理를 위한 원리적 補完. 1. 원리 강론 인용.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자신을 성장케 하는 원리의 힘보다도 더욱 강한 그 어떠한 힘이 그와 목적을 달리 하여 부딪쳐 올 때는 타락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원리 강론. P. 89. 하. 5 말 ~ 2 초. > 2. 위 인용 본문의 문리적 해석과 비 원리적 개념. 가. 문리적 해석. 위 인용 본문의 문리적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인간은 ~ . . . ~ 타락 될 수밖에 없다. > 나. 원리적 오류. 인간을 원리적인 두 상태로 구분 할 수 있다. A. 인간이 미완성기 즉 성장 기간 (간접 주관권)에서 아직 성장 하고 있을 때. B. 인간이 완성 한 이후 직접 주관권에 위치 하는 상태. 위 두 상태의 인간 위치 중에서 인간이 타락 가능성이 있는 때에는 < A >의 미완성기, 간접 주관권, 성장 기간에 위치 할 때에만 미 완성 인간이 타락 가능성이 있는 것이 원리적 관점이다. < B >의 < 직접 주관권 >에 위치 하는 완성 인간은 절대로 타락 될 수 없다는 것이 원리리적 관점이다. 다. 원리적 보완. 따라서 위 인용 본문은 인간 타락의 가능성에 관한 개념이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원리적인 보완 문구가 필요 하다. 즉 < 미 완성기의 인간, 미 완성 상태의 인간, 간접 주관권 내에 위치 하는 인간 > 등의 문구를 다음과 같이 인용 본문 처음 < 인간 > 앞에 삽입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원리적 요구이다. <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자신을 성장케 하는 원리의 힘보다도 더욱 강한 그 어떠한 힘이 그와 목적을 달리 하여 부딪쳐 올 때는 타락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위 인용 본문 앞에, < 미 완성기의, 미 완성 상태의, 간접 주관권에 위치 하는 > 등의 보완 문구가 필요 하다는 것이 원리적 요구이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의 < 인간 > 앞에 < 미 완성기의 ~, 성장 기간에 있는 ~, 간접 주관권에 위치 하는 ~ >등의 문구가 필요 하다. <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자신을 성장케 하는 원리의 힘보다도 더욱 강한 그 어떠한 힘이 그와 목적을 달리 하여 부딪쳐 올 때는 타락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를 < 이와 마찬가지로 미 완성기의 인간도 자신을 성장케 하는 원리의 힘보다도 더욱 강한 그 어떠한 힘이 그와 목적을 달리 하여 부딪쳐 올 때는 타락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라고 원리적인 보완 문구가 필요 하다는 것이 원리적인 요청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