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19일 토요일

천성경 말씀 편집 식자공의 오류와 원리적인 이해.




1. 천성경 말씀 인용.


천성경 말씀 인용 시작.


. . . 이러한 입장에서 

가. 세계 화 를 해결 하는데 
나. 제일 중심 문제가  

무엇이냐?

신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
확실히 해명 하는 것이
무엇 보다도 중요 한 문제라고
보는 것입니다.


<천성경. P. 939. 좌. 하. 1 처음 ~ 우. 상. 4 끝까지 >


천성경 말씀 인용 종료.





2. 전 후 말씀 문락 전개 개념 고찰.


가. 세계 문화 해결 위한 중심 문제를 언급 ?


중심 문제 를 고찰 하는 마음은

세계 해결을 위한 목적이고,

세계 문화 해결을 위한 것이 

아니다.



나. 하나의 단일 문장에 상호 모순 상충 하는 개념의 단어.

중심 문제 를 고찰 하는 노력은
세계 문제 를 해결 하기 위한 목적이고

세계  문화 를 해결 하려는 목적은
아니다.

동일 문장에서 사용 하는 
전후 단어의 개념 상 
상호 모순 상충 하는 현상을 노출 하여
비원리적인 문장이 된다.




다. 따라서 어휘 개념의 동일성을 치유 해야 한다.


위 인용 가 항의  <문>라는 단어는
< 문 >라는 어휘로 치환 해서
개념의 동일성을 확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개념이다.

위 인용 말씀의 후반부도
모두 < 문>라는 어휘로
부연 설명을 계속 이어 가고 있는 문단이으로 보아서

위 < 문 >의 단어는 식자공의 식자 선별 착오인 것이 확실 시 되고,

< 문>의  어휘로 치환 하여 문단의 개념을 치유 통일 해야 맞다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또는 
세계 문화<에  (내재 한 )  문제>를  해결 . . . .  
세계 문화<의 상충   문제 >를 해결 . . . 
세계 문화 <근본 문제>를 해결  . . . 
이라는 어휘로 보완 해서
위 인용 본문 말씀의 전후 맥락에
모순이나 혼란을 방지 해야 한다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3. 결론.

위 인용 가 항의 단어 <문 >는
< 문제 >로 치환 하여
< 세계 문 를 해결 하는  > . . . 으로
교정 하는 것 옳다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또는 
세계 문화<에  내재 된 문제>를  . . . 
세계 문화<에  상충 되는 문제 >를 . . . 
세계 문화 < 근본 문제 >를 . . . 
로 보완 하는 것이
원리적인 개념이라고 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