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 31일 수요일

위대 한 발상의 전환 ! : 21C 왜란에 남북 민족의 공동 대응으로 왜군 격퇴 - 주번 강국과 협력 - 다각 균형 외교 전략의 적극 개발 기회.

 
 
偉大 한 發想의 轉換 ! 
 
21C 倭亂에
南北 民族이 共同 對應하여
倭軍을 擊退시키고,
 
周邊 强國과 協力 하는
多角 均衡 外交 戰略
積極 開發
 
必要 ! 













일본 경제보복 국면을 남북 협력의 시대로 전환시키자
[기고] 유연한, 그러나 원칙 있는 '균형 외교' 전략이 필요하다
2019.07.31 11:24:25

일본 경제보복 국면을 남북 협력의 시대로 전환시키자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구도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장기적으로 살펴볼 때, 일본은 북미 접근을 계기로 북한을 적으로 설정해온 기존의 국가전략을 수정하여 이제 북한을 대체하여 한국을 '새로운 적'으로 설정해가는 과정에 진입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제 일본의 경제보복을 계기로 하여 단순한 수세적 대응만이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으로 현 국면을 활용하는 사고방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감하면서도 절묘한 '베트남식 균형외교'

2011년 10월 11일, 베트남 공산당 응우옌푸쫑 서기장은 중국을 방문하여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이 평화적인 협상과 우호적인 협의를 통해 해상 국경분쟁을 해결한다는 원칙에 합의하였다. 그로부터 닷새 뒤에는 쯔엉떤상 베트남 국가주석이 인도를 방문하여 베트남과 인도 간 정상 회담을 가졌다. 

이러한 베트남의 ‘양다리 정책’에 대하여 중국의 언론 매체들은 베트남의 당 서기가 방중을 통해 남중국해 분쟁을 우호적으로 해결하자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동시에 베트남의 주석은 인도를 방문하여 인도와 합작유전개발에 합의한 것은 전형적인 '뒤통수 치기'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트남은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약속하면서 동시에 고개를 돌려 인도와 남중국해 유전개발협정을 체결하였다. 즉, 베트남은 중국과 인도의 대립 국면을 교묘하게 이용함으로써 자국의 안전보장을 강화하였다. 

다만 베트남 정부의 기관지인 <인민보>는 쫑 서기와 중국 지도자 회견 기사를 톱뉴스에 다루면서 쯔엉 주석의 인도 총리 회견은 그 아래에 배치하고, 회견 장면을 담은 사진도 방중 사진을 두 배의 크기로 다뤘다. 인도에 비하여 중국을 보다 중시하는 인상을 줌으로써 중국의 분노를 감소시키려고 노력하는 태도를 보여준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인도 방문을 통하여 인도의 '동방 확대' 정책과 인도가 유엔 상임이사국으로 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베트남과 인도의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하여 쌍방은 남중국해 분쟁이 무력 사용이나 무력사용 위협이 아니라 관련국 각측의 평화적 방식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한다고 명시하였다. 

이렇게 베트남은 중국과 인도라는 지역 내 강대국을 상대로 그 대립 관계를 절묘하게 이용함으로써 일종의 지역 내 세력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이것이 이른바 '베트남식 균형외교'이다.  

이밖에도 베트남은 중국에 대항하기 위하여 인도 해군에 자국 나짱항을 개방하여 주둔을 제의하는 동시에 러시아로부터 2100톤급 최신형 호위함 딩띠엔호앙 1호와 2호를 넘겨받아 해군함대에 배치했다고 공개하는 등의 다양한 연대 전술을 구사하였다.  
 
과거의 적, 미국과 협력하여 중국에 대항하다 

한편 2010년 8월 8일, 미국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가 베트남의 중동부 항구도시 다낭 부근의 남중국해(중국명 南海)에 도착하였다. 워싱턴 호는 양국 해군이 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하는 합동군사훈련에 참여하기 위하여 방문한 것이다. 

다낭은 베트남의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하나로서 미국은 지난 세기 60년대 베트남 전쟁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이곳에 대규모 미군 기지를 구축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다낭은 중국과 분쟁을 빚고 있는 남중국해 수역에서 베트남이 기점으로 삼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베트남은 지난 1970년대 말 중국과 치열한 국경 전쟁을 벌인 바 있었고, 뿐만 아니라 남중국해에서도 80년대 말 전쟁을 치른 바 있다. 그러한 베트남이 중국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미국 함대를 끌어들여 손을 잡았다. 중국은 설마 베트남이 과거의 원수 미국과 같은 배를 탈 것이라고는 의심하지 않았지만, 반드시 영해 주권을 수호하려는 베트남의 의지는 미국과 한 편이 되어 중국에 대항하는 전략까지 구사했던 것이다. 

미국에 대한 우리의 '경사'는 너무 지나치다

국제관계에서 영원한 것은 없다. 

트럼프라는 개인 정치가에 북한 문제의 해결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이해하지 못할 바 아니다. 그것이 냉엄한 국제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미국에 대한 우리의 경사가 너무 지나치다는 것 역시 엄연한 사실이다. 

지금 미국의 말에 순종한다고 하여 북한 문제가 풀려나갈 수는 없다. 모든 사람이 알다시피, 트럼프는 싸움꾼이고 협상가이다. 하나를 주면 또 다른 것을 내놓으라는 식이다. 마냥 그의 말을 들어준다 하여 일이 성사되고 협상력이 높아질 리 만무하다. 최근 방한한 존 볼튼은 한일 간 조정을 빌미로 방한하여 불난 집 부채질하는 식으로 우리에게 방위비 올리라는 겁박만 하고 돌아갔다.  

앞에서 언급한  베트남처럼 국제관계를 다변화하고 실리적 접근으로 미국을 물론이고 중국과 러시아 등 주변 국가들과 유연하게, 그러나 원칙을 견지하면서 ‘합종’하고 ‘연횡’하는 ‘균형 외교’를 전개해야 한다. 

일본 경제보복 국면을 남북 협력의 국면으로 전환시켜야

북한이 지금 남측을 보이코트하는 것은 냉전적 사고방식의 관행에 사로잡힌 남측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존재한다. 좀 더 과감해져야 한다. 단지 말로만 약속하고 아무런 후속 조치와 실천도 없는데, 신뢰가 존재하기 어렵다. 한 마디로 현재 남측을 만날 아무런 흥미도 유인도 존재하지 않는 객관 조건이다. 북한에게 흥미와 유인을 제공하고 ‘체면’도 세워줘야 한다. 이제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할 때다. 

일본의 경제보복이라는 이 어이없는 국면에서 남한과 북한이 일본이라는 ‘공동의 적’에 공동으로 대응하여 협력하는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현재의 유엔 국제 제재 결의안에 북한 개인 관광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존의 금강산 관광을 비롯하여, 특히 이산가족의 고향방문을 허용하는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분단된 조국, 도대체 지금 이 지구상 어느 곳에서 자기 가족 생사조차 알지 못하는 이 생지옥과 같은 곳이 달리 존재하는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도 이는 너무도 당연하고 반드시 이뤄져야 할 일이다. 

작은 접근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시작하면 협력의 장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신뢰란 공허한 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과 실천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일본이 한국을 적으로 간주하여 감행하고 있는 오늘의 위기를 전화위복으로 삼아 남과 북이 협력한다면, 일본을 맞서는 그 과정에서 마침내 민족이 하나 되는 그날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平和 訓經 말씀(3代 ) 誤謬와 原理的 理解.




平和 訓經 말씀
(3代 ) 誤謬와
原理的 理解.






1. 3代 : 平和 訓經 引用.


이렇게 참조부모 - 참부모 - 참손자손녀를 중심 삼고 3대가 한 가정에서 영존 하신 하나님을 모시고 사는 천일국 가정을 찾아 세우는 것이 종족 메시아들의 책임이요,평화 대사들의 사명이며, 하나님의 소원인 것을 알아야 합니다.


< 평화 훈경. P. 231. 하. 2 초 ~ P. 232. 상. 2 말. >





2. 引用 本文 分析과 原理的인 3代.



가. 위 引用 本文 分析.


위 引用 本文

家庭 構成員의 代 數는

아래의 分析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4代이다.




1 代 : (참)祖父母.

2 代  : (참)父母.
 
( 3 代 : (참)夫婦. )
 
4 代 : (참)子女.



나. 原理的 3代.




 

原理的인 3代는 ,

 

<  (참)父母 - (참)夫婦 - (참)子女 >로 構成 되는
 
 
家庭的  3代이다.




3. 結論.


위 平和 訓經 引用 本文의 代 數는
 
3 代가 아니고
4 代라는 것이
 
原理的인 理解이다.

叢書 : line 76.



叢書 :
line 76.






*** 叢書 : line 76.



















* 그러므로
기독교의 교리는 이것을 죄 중의 가장 큰 죄로 다루고 있으면서도,
오늘의 기독교 사회가 현세인들이 몰려 가는 이 윤락의 길을 막을 수 없게 되었으니,
이 또한 멀마나 눈물 겨운 실정인가 !






* What a tragic circumstances it is that
in spite of Christian doctrine regards this
as a most severely cardinal sin among all sins,  
today's Christian society can not block this path of  down ruin
which so many people are blindly  rushing in .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30일 화요일

叢書 : line 75.




叢書 :
line 75.





*** 叢書 : line 75.





* 음란이 바로 그것이다.




* That is sexual immorality.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9일 월요일

叢書 : line 74.




叢書 :
line 74.






*** 叢書 : line 74.






* 그러나 인간의 노력으로는 도저히 수습 할 수 없는 사회악이 또 있다.



* But there is another social vice  that human alone efforts can never eradicated.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8일 일요일

21C 倭亂 戰時 敵前 賣國 逆賊 反動 從倭 펜질에 똥가루 휘날리는 土着 倭寇 기레기 여물통에 言論 自由 뼈다귀 쳐물고 개굿 하는 꼬락서니 !


叢書 : line 73.




叢書 :
line 73.





叢書 : line 73.











* 이와 같은 사회적인 비극은
인간의 노력에 따라서는
종식 될 날이 올는지도 모른다.





* There may come a day when
human efforts bring an end to such social evils.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7일 토요일

叢書 : line 72.




叢書 :
line 72.






*** 叢書 : line 72.







* 그 뿐 아니라
온 인류가 한 부모의 후예임을 교리로서 가르치고 또 그와 같이 믿고 있는 기독교 국가의
바로 그 국민들이
다만 피부의 빛깔이 다름을 인 하여 그 형제들과 자리를 같이 할 수 없게 현실은,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실천력을 잃어 버리고
회칠 한 무덤 같이 형식 화 해 버린 현하 기독교의 실상을 드러내고 있는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 Many citizens of Christian nations
who profess this doctrine of teaching
that all humanity descended from the same parents and believing those,
will not sit together with their brothers and sisters because of different skin colours,
has become the typical example a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oday's Christianity
which has lost much of the power to put the words of Jesus into practice,
with lifeless rituals like whitewashed tomb.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6일 금요일

叢書 : line 71.





叢書 :
line 71.






*** 叢書 : line 71.






* 저들의 실천을 능가 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 버렸고
저들의 이론을 극복 할 수 있는 진리를 제시 하지 못 한 기독교는,
저들이 바로 자기의 품 속에서 싹 트고 자라서
그 판도를 세계적으로 넓혀 가는 것을 보면서도 속수무책이니
이 어찌 한심스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





* What a pity it is that
Christianity have lost their ability
to surpass the successes of communism and materialism, and
have failed to present the truth that could conquer their theories , and
have helplessly watched as
these ideologies have budded and (have) thrived in their midst , and
have expanded their influences ( to ) all over the world.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5일 목요일

叢書 : line 70.




叢書 :
line 70.






*** 叢書 : line 70.




* 그리 하여 기독교 사회는 유물 사상의 온상이 되었다.
* 공산 주의는 이 온상에서 좋은 걸음을 흡수 하면서 무럭무럭 자랐다.



* Then Christianity society had become a not bed of materialism.

* And communism had flourished with plenteous fertile in this hot bed.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叢書 : line 69.




叢書 :
line 69.





*** 叢書 : line 69.















* 이렇게 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유물 사상이다.




* Hence, modern materialism was born like this.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4일 수요일

叢書 : line 68.




叢書 :
line 68.











 

*** 叢書 : line 68.
















* 하나님의 사랑을 부르짖고 나선 기독교가
그 구호만을 남긴 에클레시아의 잔해로 돌아 갔을 때,
거기에서 그렇게 무자비한 하나님은 있을 수 없다고 하는
반기가 들렸던 사실은 있을 만 하기도 하다.



* When Christianity though it had professed the love of God,
had degenerated into a dead body of ecclesiastic trailing empty slogans,
then it was only natural
that a banner of rebellion
arguing a merciless God who would allow such a suffering , could not exist,
would be raised.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3일 화요일

叢書 : line 67.










叢書 :
line 67.






*** 叢書 : line 67.






* 그것이 바로 공산 주의다.


* Its name was communism.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2일 월요일

叢書 : line 66.





叢書 :
line 66.






*** 叢書 : line 66.
















* 에클레시아의 사랑이 꺼지고
자본 주의의 재욕의 바람이 유럽의 기독교 사회를 휩쓸어
기아에 허덕이는 수 많은 서민들이 빈민굴에서 아우성을 칠 때,
그들에 대한 구원의 함성은
하늘이 아닌 땅으로부터 들려 왔던 것이다.






*  When the starving masses,
with ecclesiastic love had waned,
and the waves of capitalistic greed had surged across Christian Europe,
had been crying out bitterly in the slums,
the shouting promise for their salvation had come 
from not heaven but from the earth.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1일 일요일

叢書 : line 65.







叢書 :
line 65.





*** 叢書 : line 65.






* 이 무덤 속에서 새로운 생명을 절규 하는 종교 개혁의 봉화는 들렸었으나,
이 불길도 격동 하는 어둠의 물결을 막아 낼 수는 없었다.




* Even though the Reformation had raised high the torch of new life,
its flame could not turn back the sweeping tide of darkness.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을
아래에 게시 한다.
 
 
 

2019년 7월 20일 토요일

羞恥가 무엇인지 모르는 父子 구멍 同壻 신문의 개亡身.






羞恥가 무엇인지
모르는
父子 구멍 同壻
신문 構成員의
亡身. 








한 구멍에
부자가 동시에 ㅈ을 세워
부자 구멍 동서가 된
신문 사주 부자는
망신도 수치도 모르고
그 구성원들은 매국 나발을 앞장 세워 전진 하는도다.
지면 발행 사기 부수의
50 % ~ 60 % 를
당일에 폐지 수집소에 팔아 넘겨
중동과 동남아에서
밑닦게로 쓰고 버리는
현실을 감추고

자본 권력 아부에 앞 다투며
친일 매국 놀이에 구성원들
개땀 흘린다.













100살 된 조선일보 오욕의 친일 행각

By
 
pressian.com
4 min
1920년 3월 5일에 창간된 조선일보는 '쇠는 나이’로 치면 올해로 꼭 100살이다. 같은 해 4월 1일에 첫 호를 펴낸 동아일보보다 27일이 앞섰으니 현존하는 인쇄매체 중에서는 '최고령'이다. 조선일보는 이런 역사는 물론이고 '현재 최고의 발행부수와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 때문에 스스로 '1등 신문'이라고 부른다. 과연 그런가? 한국사회에서 '1등 신문'이라고 자랑하려면 민족 구성원들의 최대 염원인 통일에 이바지하고 민주사회를 건설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그와 정반대 길로 치달아 왔다. 그러면서도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지, 정권의 운명까지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듯이 '안하무인' 격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최근 조선일보는 대한민국 주권자 대다수의 여론을 등지고 일본의 무분별한 '경제 보복'을 두둔하는 듯한 기사와 논설로 시민단체들과 전문가들의 호된 비판을 받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대법원이 지난해 10월, 일제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청구 소송 피해자들(조선인)의 손을 들어준 일이다. "강제징용은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1965년 한·일 정부 간 청구권협정이 있었더라도 개인별 위자료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일본의 과거 야만적 '식민 지배'에 대해 사과를 하기는커녕 신군국주의로 치닫고 있는 총리 아베 신조는 그 판결이 '국제법 상식'에 어긋난다면서 피고인 미쓰비시중공업이 배상을 할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에 대해 '경제 보복'을 가하기 시작했다. 특이한 사실은 한국의 극우정치세력과 수구언론이 그런 '논지'에 동조한 것이었다.
대표적 언론은 조선일보이다. 조선일보는 지난 13일자 사설('일 계산된 홀대 말려들지 말고 냉정하게 대처해야')에서 "모든 일을 사전에 계획하고 준비하는 일본의 특성상 이번 홀대 행위도 의도하는 것이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흥분하면 일본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냉정하고 차분하게 대처해야 하는데' "우리 사회 일부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일으키려는 것도 득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보다 앞서 지난 4일자 사설은 "이번 사태는 강제징용자 배상을 둘러싼 외교 갈등 때문에 빚어진 정부 발 폭탄"이라며 사태의 책임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씌웠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자유언론실천재단, 민족문제연구소 등 16개 언론·시민단체들은 지난 16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의 어안을 더욱 벙벙하게 만드는 것은 이 사건에 대한 일부 언론들의 보도태도"라며 "특히, 조선일보는 부당한 일본의 경제보복을 극복하고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보호해야 할 국면에서 도대체 어느 나라 신문인지 우리 눈을 의심케 하는 보도들을 쏟아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에서는 이런 지적도 나왔다. "더 황당한 것은 이런 조선일보의 보도가 조선일보 일본어판을 통해서 일본에 소개되는 것은 물론이고 한국 정부를 비판하고 일본 측을 두둔하는 댓글까지 일본어로 번역해 제공함으로써 일본인들에게 전달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일본의 반한감정을 증폭시켜서 한·일 관계를 악화시킨 책임이 조선일보에 있는 것 아닌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조선일보와 '궁합'이 척척 들어맞는 듯한 자유한국당은 지난 2일 "일본 무역 보복 조치, 수출 7개월 연속 마이너스, '경제 폭망'은 문재인 정부가 자초한 일이다"라는 제목의 논평을 냈고, 그 당 원내대표 나경원은 지난 4일 국회 연설에서 "감상적 민족주의, 닫힌 민족주의에만 젖어 감정 외교, 갈등 외교로 한·일 관계를 파탄 냈다"고 주장했다. 그러니 '토착 왜구'라는 소리까지 듣는 것 아닐까?

조선일보의 친일 행각은 역사가 오래고 뿌리가 깊다. 대표적인 사례를 몇 가지 들어보겠다. 1919년의 3·1혁명에 화들짝 놀란 일제 조선총독부가 사탕 발림처럼 발표한 '문화정책'에 따라 1920년에 창간된 조선일보의 중심은 대지주계급과 예속자본가들의 친일단체인 대정친목회와 유정회 등의 핵심 인물들이었다. 조선일보는 1934년 11월 11일자 석간 1면 기사('대원수 폐하 대본영에 나가시다')에서 일본 왕의 움직임을 이렇게 보도했다. "천황 폐하께서는 11일부터 거행할 올해 육군특별대연습을 어통재(御統裁)하시기 위하여 10일 동경어발 일로 대본영에 나가시다." 일본 왕의 생일인 '천장절'(1939년 4월 29일)을 맞아 조선일보가 조간 1면 머리에 올린 사설('봉축 천장가절')은 과연 이것이 우리 민족의 한 사람이 쓴 것인지 의심하게 만든다.

"광명이 동천에 충일하고 생생한 기력이 모토(牟土)에 편만하여 있다. (···) 춘풍이 신록에 빛나는 이 청상한 계절에 제하여 만민일체로 천장의 가절을 봉축하는 것은 해마다 경하의 염을 새롭게 하고 감격의 정을 깊이 하는 바 있다."(참고로 말하면, 동아일보도 조선일보와 비슷한 길을 걸었다.)

최근 조선일보의 친일 행태가 노골적으로 드러나자 지난 17일 한 '커뮤니티'에 '조선일보 광고 불매운동'을 제창하는 글이 올랐다. 조선일보 보도가 일본 측 주장의 근거로 쓰이는 등 그 신문이 일본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1일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는 '일본 극우 여론전에 이용되고 있는 가짜뉴스 근원지 조선일보 폐간 및 TV조선 설립허가 취소'라는 제안이 올랐다. 19일 현재 참여 인원은 5만1천명을 넘었다.

조선일보를 응징하거나 폐간하자는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데도 그 신문 사주와 종사자들은 오래 전에 이미 '안티조선 운동을 가볍게 이겨낸 바 있다'며 대수롭지 않다는 표정을 하고 있을까? 




















구한말 개화파의 우(愚)를 다시 범할 수 없다
[기고] '반성' 없는 日, 과거를 반복하겠다는 건가
2019.07.19 11:27:03
구한말 개화파의 우(愚)를 다시 범할 수 없다
'주변사태법'에서 '중요영향사태법'까지, 세계 어디서든 군사 활동을 할 수 있게 된 일본

일본이 1997년에 제정한 '주변사태법'은 본래 한반도 주변의 유사시 미군을 후방 지원한다는 내용으로서 일본 방어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뒤 개정을 거듭해 마침내 2016년에는 법률 명칭까지 '중요영향사태법'으로 바꿨고 "그대로 방치하면 일본의 평화와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사태"의 경우, 일본이 모두 개입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군' 대신 '외국군'으로, '후방지역지원'은 '후방지원'으로 대체해 아예 지리 지역의 개념을 삭제함으로써 세계 어느 곳에서든 군사 활동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이제 일본 정부 마음대로 세계 어느 곳에서든 군사 활동이 가능하다는 대외적 선포였다. 목표 지점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다가가는 일본의 끈질김은 여기서도 유감없이 재연됐다.

극우만의 '소통'으로 극우의 절정을 맞은 일본 정치

일본에도 깨어있는 시민들이 적지 않지만 왜곡된 선거제도 등으로 인해 자민당 일당 독주가 계속돼왔다. 더구나 최근 일본 정치를 지배해온 우익 이데올로기의 배후에는 '일본회의(日本會議)'가 있다. 

'일본회의'는 1997년 퇴역장교들이 결성한 극우단체 "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와 신도(神道) 종교단체인 "일본을 지키는 회(會)"를 통합해 만든 조직이다. '일본회의'는 난징학살은 "시민으로 둔갑한 중국인 병사들 수백 명이 죽은 것일 뿐"이라고 조작하고(이 부분은 최근 우리 '광주 5·18'에 시민으로 변장한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궤변과 몹시 닮아있다), '위안부'에 대해서도 부인할 수 없는 많은 증거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의 희망으로 매춘부가 돼 병사들을 즐겁게 해 돈을 벌고자 했다"고 날조하고 있다. 

야당 정치세력과 시민세력이 미약한 조건에서 정부와 극우세력에 대한 견제와 비판 역시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수십 년 동안 자기들만의 '소통' 속에서 지금 일본 정치는 극우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제2의 정한론

현재 일본 국회의원 중 40%가 '일본회의 국회의원 간담회' 소속이다. 극우적 사고방식을 가진 정치세력들만 존재하는 객관적 조건은 이들의 정세판단을 오도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섬나라로서 그들의 시선은 역사적으로 항상 대륙, 특히 한반도를 지향했다. 메이지유신 시기에 풍미했던 정한론(征韓論)이 부활할 토양은 이미 충분하다. 일본의 이러한 극단적 경향성과 행동을 사전에 저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길은 우리의 강력한 의지와 실제적 힘의 표출이다. 

실제 일본이 근대 이후 견지해왔던 이른바 '탈아입구(脫亞入歐)', 즉 아시아를 넘어 유럽인 된다는 사고방식은 여전히 일본의 주류사상으로 관성화돼 있다. 역사적으로 일본이 유일하게 군사적으로 패배했던 나라는 바로 미국이다. 단 한 번도 중국에게 군사적으로 패배한 적이 없었고, 세계 최강이었던 몽골의 공격도 '가미가제(神風)'의 덕을 보았든 어쨌든 결국 방어에 성공했다. 그렇게 때문에 유일하게 패배를 안긴 미국에게는 한 없이 저자세를 보이는 반면 아시아 국가들은 깔보면서 아시아의 맹주로 자처하고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의 추억을 반추한다. 

향후 한국이나 중국이 전쟁에서 일본을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거나 아니면 경제력으로 일본이 현저하게 압도당하는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반성'하고 '책임'을 지는 일본의 모습을 우리는 결코 볼 수 없을 것이다. 

구한말 개화파의 우(愚)를 다시 범할 수 없다

구한말 일본은 운양호(운요호)를 강화해협으로 침입시켜 조선군의 포격을 '유도', 이를 빌미로 대규모 공격을 가하고 결국 강화도조약을 체결했다. 이는 한반도 침략의 서곡으로서 일본 제국주의는 이후 차근차근 조선 병탄의 수순을 밟아간다. 을사늑약과 한일병합의 과정에서의 일본의 기만성과 교활함은 다시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일본은 중국에서도 1931년 중국 동북 지역 유조구(柳條溝)에서 관동군의 자작극이었던 만주 철도선 폭파사건을 명분으로 삼아 만주사변을 일으켰고 이후 베이징 부근의 노구교(蘆溝橋) 사건을 일으켜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핑계거리와 빌미를 만들고 자기 책임은 결코 인정하지 않으면서 억지논리를 펴는 것은 그들의 '전가의 보도'이다. 

과거에 대한 '반성'이 없다는 것은 다시 이전의 상황이 조성되면 과거의 행위를 그대로 반복하겠다는 의사 표시다. 예를 들어, 최근 독도 주변에서 발생한 초계기 사건에서도 이러한 그들의 관성을 여실히 목도할 수 있었다. 

당시 한국 측의 대응에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국내 일부의 논리도 있었는데, 그 논리의 타당성 여부와 관계없이 일본은 철저히 그것을 자기 합리화와 명분 쌓기에 유감없이 활용한다.

구한말 조선의 개화파들도 적지 않은 경우 스스로 진심을 다해 조선의 개화를 추구했겠지만, 종국적으로는 그들의 의지와 진정성과 무관하게 일본 침략의 수단과 도구로 활용되고 전락될 수밖에 없었다. 



















3.1운동 100주년에 벌어진 일본의 경제도발
[현안진단] 수렁에 빠진 한일관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019.07.19 14:24:33
3.1운동 100주년에 벌어진 일본의 경제도발
3.1운동 100주년에 벌어진 일본의 경제도발

올해는 일제 식민지 지배에 항거해 100만 명이 넘는 민중들이 독립을 외친 3.1운동이 일어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독립을 외친 수천 명의 우리 민중들을 총칼로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이를 계기로 중국으로 망명한 애국지사들이 그 해 4월 11일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1절 기념사에서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계기로 새로운 100년을 내다보는 신한반도체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올해는 아키히토 일왕이 31년 간의 재위를 마치고 새로운 일왕이 등장해 '레이와(令和)'라는 연호를 가진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선포한 해이기도 하다. 나루히토 일왕이 1960년생, 아베 총리가 1954년생으로 일왕과 총리가 모두 전후 세대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국민들은 일본이 과거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의 과오를 되돌아보면서 한일 간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한국의 주력상품인 반도체 제조에 들어가는 3개 핵심소재에 대해 수출규제에 착수한 데 이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 국가에서 제외하려는 등 본격적인 경제보복 조치에 나서고 있다. 이것은 총칼 대신 경제를 앞세워 제2의 침략을 감행하는 것과 진배없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고 일본도 새 일왕이 즉위한 의미 있는 해에 일본 정부가 자숙은커녕 또다시 경제보복조치라는 공격을 가해온 것은 한일 양국관계의 미래를 파괴하고 양국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 만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로자 강제동원 문제의 본질은 한일합방의 합법성 여부

일본의 아베 정부는 처음에 경제보복조치의 이유로 일제의 노동자 강제동원에 대한 우리 대법원 판결이 낳은 신뢰관계의 훼손을 내걸었다. 하지만 그런 이유라면 일본을 상대로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시 우리에게 승산이 높다. 그렇다 보니 일본 정부는 다시 한국에 수출한 일본산 전략물자가 북한으로 들어가는 등 무역관리가 제대로 안 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근거 없는 얘기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오히려 일본이 대북 제재품목을 북한으로 여러 차례 반출했으며 이란 등 친북국가들에게 대량살상무기 물자를 밀수출한 게 밝혀져 일본 측 주장이 허구임이 드러났다. 이처럼 일본은 자신들의 경제보복조치가 WTO 규정에 위반되고 사실과도 맞지 않자 그 이유를 두고 이리저리 말을 바꾸고 있다.

그렇다면 최근 한일 갈등의 직접 원인이 된 일제의 근로자 강제동원 문제란 무엇인가? 2003년 일본 최고재판소는 한국인 근로자 강제동원의 피해배상에 대해 한일 양국이 맺은 청구권협정에 의해 개인에게 배상할 책임이 없다고 판결하였다. 그러자 피해자들은 한국에서 다시 재판을 청구해, 2012년 5월 24일 대법원의 파기환송에 따라 2013년 서울고등법원이 피해자 1인당 1억 원씩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에 일본기업이 불복하면서 대법원으로 올라가 5년 2개월만인 2018년 10월 30일에 대법원이 확정 판결했다.

여기서 쟁점은 일본 재판의 효력을 인정할 것인가 하는 것과 현 일본기업이 일제 때의 전범기업을 계승했는가, 청구권 시효는 유효한가 하는 문제다. 2012년 5월 24일 대법원은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을 합법으로 보고 있는 일본재판부의 판결이 대한민국 헌법의 취지에 어긋나며, 현 일본기업(일본제철, 미쓰비시 등)은 일제 때의 전범기업을 승계한다고 볼 수 있다고 명시했다. 또한 한일합방 및 한일기본조약이 공개되지 않아 불가피하게 피해자들이 청구권을 행사하지 못한 것이라 청구권 시효인 10년 기한도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결하였다.

이 문제의 본질은 한일합방의 합법성을 둘러싼 이견이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한일합방이 합법이기에 배상이 필요 없다는 입장인 반면, 우리 대법원은 한일합방이 불법이므로 한국인 근로자 강제동원도 불법이고 따라서 일본 전범기업들이 직접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면서 대일 청구권 자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일본전범기업들이 배상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일 정부 모두 '개인청구권은 소멸하지 않았다'는 데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 다만, 일본은 한국 정부에 청구권 자금을 주어 이미 해결했으므로 한국 정부가 나서서 노동자 강제동원에 대해 배상하라는 것이고, 한국은 전범기업과 피해자 간의 문제로 개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와중에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 양승태 대법원장이 2012년 대법원 판결을 뒤집기 위해 한국인노동자 강제동원 소송을 지연시키고 사건을 대법원 전원합의체로 넘긴 것이 드러났다. 이것은 박근혜 정부가 박정희 정부 때 체결된 한일기본조약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을 막고 위안부 문제 합의를 성사시키기 위해 벌인 불법적 담합행위였다. 2018년에 이르러 결국 대법원은 일본 전범기업들이 피해자에게 배상하라고 최종 판결한 것이다.

일본이 경제보복조치에 나선 연유

일본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박근혜 정부와 달리 대법원 판결에 개입하지 않은 데 대해 강하게 불만을 갖고 있다. 이제라도 우리 정부가 개입해서 일본제철, 미쓰비시 등 한국 내 일본전범기업의 자산압류를 막아달라고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일본의 경제보복조치에 굴복해 우리 대법원 판결을 무시한다면, 우리 정부 스스로 사법권을 훼손하는 것일 뿐 아니라 한일합방이 합법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는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을 인정하는 셈이 된다.

문재인 정부는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해 위안부나 노동자 강제동원 문제와 같은 과거사 문제와 외교안보‧경제 현안을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취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이러한 접근법을 거부하고 과거사에 대한 우리 측의 처리방식을 구실 삼아 경제보복조치를 감행해 온 것이다. 어떻게든 진지한 반성 없이 과거사 문제를 덮어버리려는 몰염치한 태도다.

아베 현 정권이 갖고 있는 우리 정부에 대한 불만은 이해할 측면이 없지는 않다.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명분으로 추진해온 일본의 재무장이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으로 도전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일본 패싱'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방사능오염 우려가 있는 일본 몇 개 지방의 수산물 금수조치에 대해 WTO에 한국 정부를 제소했다가 패배했고, 일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성과도 남·북·미 판문점 회동으로 외교적 성과가 묻혀버렸다.

일본의 보복조치는 2012년 5월 대법원의 파기환송 때부터 시작됐다. 일본 외무성은 홈페이지에 한국을 '기본가치를 공유하는 이웃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로 표현을 바꾸었다. 2015년 2월에는 만기가 도래하자 통화스와프를 종료시켰다. 지난해 10월 대법원의 판결이 나오자 본격적으로 한국에 대한 보복조치를 준비했다. 지난해 11월 이미 반도체 세척용 불산의 한국 수출을 제한했고, 올해 1월 23일 발생한 우리 해군 대조영함에 대한 일본자위대 해상초계기의 저공 위협비행도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7월 21일의 참의원 선거에서 보수표 결집도 할 겸 G20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로 경제보복조치의 타이밍을 정한 것이다. 앞으로 일본 정부는 참의원 선거 이후 상황을 보아가며 중의원도 해산해 새로 선거를 치룬 뒤, 내년 도쿄 하계올림픽 열기가 고조됐을 때 국민투표에 부쳐 개헌안을 통과시키려는 구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일 갈등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일본의 경제보복조치는 총칼만 들지 않았지 우리나라를 굴복시키려는 사실상의 침략으로 볼 수 있다. 지금 일본이 원하는 것은 1965년 한일기본조약의 불평등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우리에게 더 이상 불평등관계는 용납될 수 없다. 우리 정부는, 아니 우리 국민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과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며 상생의 관계를 맺으며 잘 지내고 싶지만, 단기적인 경제이익을 위해 국가와 민족의 자존심을 팽개칠 수는 없다.

일본의 경제도발에 대해 우리 정부는 중장기 대책과 함께 단기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일본의 도발이 이미 2012년 대법원 파기환송 때부터 시작됐음에도 정부에서 사전대책 마련에 미흡했다는 점은 유감이다. 하지만 이제라도 정부, 기업, 국민이 합심하여 지혜를 모으고 대책을 마련하여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먼저, 중장기적으로는 일본에서 수입하는 첨단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아울러 수입선을 다변화하여 탈일본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고 연구개발 인프라를 조성해 기업들이 국산화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막대한 대일적자를 보고 있으면서도 오히려 일본이 큰소리치는 역설적 무역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다음, 일본의 보복조치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하다.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해서 일본 정부가 취한 경제보복조치의 부당성을 널리 알려야 한다. 지난번 일본 후쿠시마현 인근 바다에서 잡힌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에 대해 WTO가 우리의 손을 들어준 바 있다. G20 정상회담에서 자유무역을 강조한 아베가 비경제적인 이유로 자유무역체제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 우리 정부가 취할 대응조치의 정당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 

일본제품의 불매운동도 의미가 있다. 불매운동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던 유니클로가 닷새 만에 사과했다. 일본산 수입맥주의 판매량도 급감했다. 이처럼 일본상품 불매운동이 일본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는 못하더라도 개별기업에게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일본의 부당한 처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정부의 대일 정책에 힘을 실어 줄 수 있다.

아베 내각에게 가장 효과적인 압박수단은 우리 국민들이 일본여행을 자제하는 것이다. 일본관광청의 '2019년 일본관광백서'에 따르면, 작년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중에 한국인이 두 번째로 많은 753만 명이고 55억 달러를 사용하였으며 지방여행객이 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일본여행을 자제한다면 아베의 정치적 기반인 중소도시와 농촌 유권자들을 흔들어놓을 수 있다. 

내년 8월 도쿄 하계올림픽이 열리고, 일본 정부는 관광객 4000만 명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의 25%를 차지하는 한국 관광객이 일본을 가지 않는다면 경제적으로뿐만 아니라 올림픽 분위기에도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직접적인 대응 외에도 국제여론을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움직여야 한다. 미국의 중재에 매달릴 필요는 없지만, 일본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국제여론을 움직이기 위해서라도 미국의 국익에 입각해 우리의 입장을 이해시켜야 한다. 특히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다면 이는 일본이 한국을 더 이상 안보협력 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고 선언하는 것이고, 그럴 경우 더 이상 한일정보보호협정(GSOMIA)을 유지할 필요성도 없게 될 것이라는 점을 인식시켜 주는 것도 가능하다.

그럼에도 한일 간의 대화는 계속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일본이 우리 정부의 투트랙 외교를 수용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이번에 일본이 취한 조치가 과거사 해결과정에서 나온 것인 만큼, 일본 정부가 경제보복조치를 스스로 철회해 외교안보를 경제와 분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특사의 상호 교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일방적으로 우리 측이 특사단 파견을 제안했다가 일본 측이 거부하거나, 우리 측만 가고 일본 측이 오지 않을 경우 국내 여론이 악화되어 외교적 해결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물밑접촉을 통한 사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 정부는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타협안의 마련에도 노력해야 한다. 한일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긋고 있어 타협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정부가 한국 내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압류자산의 현금화 대신에 해당 일본기업과 전후 일본 식민지배상금으로 혜택을 본 한국기업이 1:1로 자금을 갹출해 피해자들에게 배상해 주자는 합리적 대안을 내놨지만, 일본정부는 일언지하에 거절한 바 있다. 

조심스럽지만 대법원의 판결 취지에 부합하면서도 일본과 타협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어떤 경우든 한국 정부가 배상에 참여하면 대법원 판결을 부정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판결이 난 37명에 대해서는 한일 기업들이 1:1로 배상해 주되,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피해자들에게는 소송취하를 조건으로 한국 측 수혜기업이 대신 배상해 주는 수정안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이 최선책은 아니지만, 현재와 같은 한일갈등을 외교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동아시아에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를 내다보며 공존공영의 길로 나아가야 하며, 더 이상 과거사 문제라는 갈등의 구조 속에 갇혀서는 안 된다. 이번 갈등의 표출이 양국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협력모델을 찾는 반면교사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