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9일 토요일
통일 사상, 예술론, Motive 설명 혼동.
統一 思想,
藝術論,
Motive 說明 混同.
1. 統一 思想 藝術論 引用.
가. 예술 작품의 창작에는 먼저
창작의 동기 즉 모티브 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 . .
< 통일 사상. P. 430. 상. 10 초 ~ 11 초. >
나. 그 때의 감동이 모티브이며 . . .
< 통일 사상. P. 하. 6 중 ~ 6 말. >
다. 즉, 먼저 창조의 동기로서 모티브가 있게 된다.
< 통일 사상. P. 431. 상. 3 초 ~ 3 말. >
라. 즉 예술가는 모티브(目的)를 중심으로 하여 ~
< 통일 사상. P. 431. 상. 13 초 ~ 13 말. >
마. 로댕의 모티브는 ~ 강한 衝擊 이었음에 틀림 없다.
< 통일 사상. P. 432. 상. 6 중 ~ 8 중 . >
바. 작가의 모티브(目的),
< 통일 사상. P. 435. 상. 6 초. >
< 통일 사상. P. 436. 하. 5 초. >
< 통일 사상. P. 438. 상. 6 초. >
< 통일 사상. P. 438. 상. 9 초. >
2. 위 인용 본문의 분석.
위 인용 본문은
모티브< Motive >의 설명에
다음과 같이 두 종류의 수식어로 묘사 되고 있다.
A. 모티브( Motive ) 는 < 동기, 감동, 충격 >이다.
( 위 인용 가, 나, 다, 마. )
B. 모티브 ( Motive ) 는 < 목적 >이다.
( 위 인용 라,바. )
그러나
예술가의 창작 과정에 있어서의
< 동기, 감동, 충격 >과 < 목적 >은
다음의 예문에서 보듯이
그 시차적 단계에서 명확히 구별 된다.
< 예술 작품의 창작에는 먼저 창작의 동기 즉 모티브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그 모티브에 따라서 일정한 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창작 목적이 세워진다. 다음에
그 목적에 따라서 주제 (테마 : Theme )가 세워지고 또 ( 주제와 부합 되는 )구상이 세워진다. >
< 통일 사상. P. 430. 상. 10 초 ~ 하. 10 중. >
따라서
Motive 설명으로
< 동기, 감동, 충격 >과
< 목적 >은
주체와 대상의 관계 또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
1차적 단계와 2차적 단계 등과 같이
분명 한 시차적 단계의 구별 되는 개념의 작업 과정이다.
그러나 통일 사상 저자는
Motive( 주제 ) 설명에서
대부분에서 < 동기, 감동, 충격 >등으로 설명하면서
가끔 < 목적 >으로 혼동하여 설명 하는 경우가 있다.
3. 결론.
통일 사상 저자는
예술가의 창작 과정에 관한
정신 작용 단계 설명에서
< Motive > 를
대부분에서 < 동기, 감동, 충격 >등으로 설명하면서
가끔 < 목적 >으로 혼동하여 설명 하는 경우가 있다.
차후 중판 시에
위 착오를 수정한 후
개정 신판으로 편집 해야 할 것이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