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7일 화요일

원리 강론, 말씀 ( 무형의 하나님 ) 개념 혼동과 원리적이해.

 

 

1. 원리 강론 인용.

 

 

 

A. 원리 강론.

 

 

무형으로 계시는 하나님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 것인가 ?

 

 

< 원리 강론. 2006. 42쇄.  P.21.  하.  3 초 ~ 2 초.  >

 

 

 

 

 

B. 원리 강론.

 


​그리고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은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9 초 ~ 하. 6 중.  >

 

 

 

 

 

 

 C.  원리 강론.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1 중 ~ P. 24. 상.2 말.   >

 

 

 

 

 

 

 

D.  성서 인용.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2. 위 인용 성구 (원리 강론 A )  원리적 이해. 

 

 

 

 

 

가.  위 인용 성구 요약.

 

 

 

A.  위 원리 강론 A.

 

하나님은 무형.

 

 

B. 위 원리 강론 B, C 와 위 인용 D ( 성서 ).

 

하나님은 유형.

 

 

 

 

 

 

나.  상호 모순 상충.

 

 

원리 강론 인용 A. 는

하나님의 실체를 < 무형 >이라고 단정 하고 있다.

 

그러나 원리 강론 인용 B. C. 및 성서는

하나님의 실체를 < 유형 >이라고 증명 하고 있다.

 

 

 

 

 

 

다.  원리적 이해.

 

 

영적 세계에도 < 형상과 모양 및 모든 모양 응應형形 가능성 >이 존재 한다.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위 성구와 마찬가지로

 

영적 세계에 존재 하는 주체이신 하나님으로부터서 사람과 만물까지도 모두

형상, 모양, 모든 형상 응應형形 가능성이 존재 한다.

 

 

영적 실체이신 하나님을 

무형이라고 표현 하고

마음(의 근본 바탕인 영인체 )을 

무형이라고 표현 하는것은,

 

복귀 과정의 타락 인간의 영적 오관이 작동 불능이 되어

영적 실체 세계 자체를 인지 할 수 없기 때문에

 

영계를 무형의 세계라고 인지 하는 관점에서

설명 하여 무형의 세계라고 표현 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형태, 모양이 없는 것은

영적 세계에서나 육적 세계에 없다.

 

복귀 과정 타락 인간의 영적 오관이 작동 불능 되어

영적 오관 작동 회복 할 때까지

과정적이고 잠정적으로 인지 할 수 없다는 현상을 두고

 

하나님과 모든 영적 실체 세계에

선험적으로 형상, 모양이 없다고 단정 하는 것은

 

비 원리적인 이해에서 비롯 된 

비 원리적인 설명의 표현이다.

 

 

 

 

 

 

3. 결론.

 

 

 

복귀 과정 타락 인간의 영적 오관이 작동 불능 되어

영적 오관 작동 회복 할 때까지

과정적이고 잠정적으로 인지 할 수 없다는 현상을 두고

 

하나님과 모든 영적 실체 세계에

선험적으로 형상, 모양이 없다고 단정 하는 것은

 

비 원리적인 이해에서 비롯 된 

비 원리적인 설명의 표현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