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그런데 이 原力도 실은
원상 내의 수수 작용, 즉 성상과 형상의 수수 작용에 의해서 형성 된
신생체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 하자면
성상 내의 심정의 충동력과 형상 내의 전에너지 ( Pre-Energy)와의
수수 작용에 의해서 형성 된 새로운 힘이 원력 ( Prime Force ) 이다.
< 통일 사상. P. 64. 상. 1 초 ~ 상. 5 초.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原相 ( Original Image : 하나님의 屬性에 관한 이론 )에는
機能적 측면인 神性과
構造적 측면인 神相으로 구분 한다.
신상은
本性相과 本形狀 ( Pre-Energy : 前-Energy )으로 나뉘고,
본성상은 내적 성상과 내적 형상으로 나뉘며,
본형상 ( Pre-Energy : 前-Energy) 은 성상적 부분과 형상적 부분으로 나뉜다.
본형상(Pre-Energy : 前-Energy )의 성상적 부분은
꼴, 모양, 형식, 규정성, 무한응형성 등을 포함 하고
본형상의 형상적 부분은
質料, 素材, 材料 등을 포함 한다.
原力 ( Prime Force )는
본형상 ( Pre-Energy : 前-Enegy )의
성상적 부분과 형상적 부분이
수수 작용 하여 생성시키는 신생체로서
原力 ( Prime Force ) 이라고 한다.
그러나 위 인용 본문은
본형상 내의 前-Energy ( Pre-Energy )와
본성상 내의 심정적 충동력이
수수 작용 하여 생성시킨
새로운 힘이 原力 ( Prime-Force )
이라고 설명 하고 있다.
위 인용 본문 중에서
< 前-Energy, Pre-Energy > 자체가 본형상이다.
즉 < 본형상 내의 前-Energy ( Pre-Energy ) >라는 설명은
비 원리적인 표현이다.
또한 위 인용 본문 중에서
본형상 ( 前-Energy, Pre-Energy ) 과
본성상 내의 심정적 충동력이
직접 수수 작용 하는 것
이라는 표현의 설명은
비 원리적인 설명이다.
본형상 ( Pre-Energy : 前-Energy ) 내의
성상적 부분과
형상적 부분이
수수 작용 하여 생성시킨 독립 신생체가
原力 ( Prime Force )이다는 것이
원리에 부합 하는 표현의 설명이다.
3. 결론.
본형상 ( Pre-Enegy : 前-Energy ) 내의
성상적 부분과
형상적 부분이
수수 작용 하여 생성시킨 독립 신생체가
原力 ( Prime Force )이다는 것이
원리에 부합 하는 설명의 표현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