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11일 토요일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무형이다 : 원리 강론 개념 오류와 원리적 이해.

 

 

1.  원리 강론과 성서 인용.

 

 

 

 

 

 

 

* A. 원리 강론.

 

무형으로 계시는 하나님의 신성을 ~

 

 

<  원리 강론.  42쇄.  2006.  P. 21.  하.  3 초 ~ 하. 3  중.  >

 

 

 

 

 

*  B. 원리 강론.

 

무형의 내적 성상이 원인이 되어 ~

 

( < 무형의 내적 성상 ~ > 이라는 표현의 설명은

원리 강론 전체와 통일 사상 전체에

일반적으로 반복 하여 설명 되는 어구이다 : 필자 )

 

 

< 원리 강론.  42쇄.  2006.  P. 24.  상.  11 초 ~ 11 중.  >

 

 

 

 

* C. 원리 강론.

 

존재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그 외형과 내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는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42쇄. 2006. P.23.  하.  10 초 ~ 하.  6 중.   >

 

 

 

 

 

 

 

 

* D. 원리 강론.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된 것이다.

 

 

< 원리 강론.  42쇄. 2006.  P. 25.  하. 1 중 ~  P. 26.  상. 2 말.  >

 

 

 

 

 

* E.    성서 인용.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2.  위 인용 본문 분석과 원리적 이해.

 

 

 

가. 위 인용 본문 요약.

 

 

a. 위 인용 A 와 B.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무형이다.

 

 

 

b.  위 인용 C. D. E.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유형이다.

 

 

 

c.  모순 상충  되는 개념.

 

위 a ( 무형 )와 b ( 유형 )는 

상호 모순 상충 되는 개념의 설명 표현이다.

 

 

 

나.  원리 강론 전후 설명과 성서의 내용이 상충.

 

원리 강론 A. B. 의 설명 (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무형 )이, 그 이후의

원리 강론 C. D. 및 성서 E. (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유형 )와 모순 상충 하고 있다.

 

 

 

 

다.  위 인용 A 와 B 는 비 원리적 표현.

 

위 인용 A 와  B 의 설명, 

< 하나님과 내적 성상 은 무형 >이라는 표현은

비 원리적이며 반 성서적인 표현이다.

 

 

 

 

라.  위 인용 C. D. E. 는 원리적 관점의 표현.

 

 

위 인용 C. D. E. 의 설명, 

< 하나님과 내적 성상 은 유형 >이라는 표현은

원리와 성서에 부합 하는 표현이다.

 

 

 

 

 

3. 결론.

 

 

하나님과 내적 성상은 유형이다. >라는 표현의 설명이

 

원리에 부합 하는

원리적이며 성서적인 관점의 설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