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21일 화요일

통일 사상, 윤리론, 가정적 4위 기대의 개념 혼동과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A.   

그리하여 하나님의 사랑은,

a.현실적으로는 가정적 4위 기대 ( 하나님, 부. 모. 자녀의 4위치 )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b.분성적 사랑 ( 또는 분성애 ), 즉 부모의 사랑, 부부의 사랑, 자녀의 사랑으로 나타난다.

 

 

< 통일 사상. P. 391. 상. 2 말 ~ 상. 6 초.  >

 

 

 

B.

~ 이 때 조부모가 있을 때는 그 조부모가 가정에서 하나님을 대신한 위치에 서게 되어서

조부모를 중심으로 父와 母, 그리고 자녀에 의한 가정적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391. 하. 10 중 ~ 7 초.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A.

창조 원리에 의하면

가정적 4위 기대는

 

1. 父母.

2. 夫.

3. 婦.

4. 子女.

 

의 4위 존재로 구성 된다.

 

가정에서 父母의 위치는

祖부모, 曾조부모, 高조부모 .  .  .  .  祖上  .  .  .  하나님을 대신 한 위치이고,

현실적인 가정 내에서는 모두 父母의 위치로 대표 된다.

 

 

 

 

 

B.

위 인용 본문 ( A.a. )는

 

A.a. 현실적으로는 가정적 4위 기대 ( 하나님. 부. 모. 자녀의 4위치 )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 >

 

A.a.현실적으로는 가정적 4위 기대  (하나님)부모. 夫. 婦. 자녀 의 4위치)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 > 

라고 고쳐 설명 해야 원리에 부합하는 설명이 된다.

 

그렇게 설명 되어야

< A.b. >의 설명이

< A.b. 분성적 사랑 ( 또는 분성애 ), 즉 부모의 사랑, 부부의 사랑, 자녀의 사랑으로 나타난다. >

는 설명의 전후 문맥 전개가 원리에 부합 하게 된다.

 

 

 

 

C.

위 인용 본문 

 

< C.  ~ 이 때 조부모가 있을 때는 그 조부모가 가정에서 하나님을 대신한 위치에 서게 되어서

조부모를 중심으로 父와 母, 그리고 자녀에 의한 가정적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 조부모(부모) - 夫 - 婦 - 자녀  >에 의한 가정적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라고 설명 해야 원리에 부합한 설명이 된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은

가정적 4위 기대에 < 夫婦 >가 누락 되었으므로

 

< (조)부모 - 夫 - 婦 - 자녀 >의 가정적 4위 기대로

수정 하여 설명 되어야

 

원리에 부합하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