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성경 인용.
A. 타락하지 않았더라면 ( 하나님을 ) 언제나 볼 수 있고, 부르면 곧 나타나도록 되어 있었을 것입니다.
< 천성경. P.46. 우. 상. 3 초 ~ 우. 상. 5 초. >
B. 하나님이 a. 보이기를 바라는 것은 b. 망령 된 행위입니다.
< 천성경. P.45. 좌. 하.16 중 ~ 하. 15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위 인용 본문의 요약.
A. 하나님을 볼 수 있다 (타락 하지 아니 했다면 ~ ). B. 하나님은 볼 수 없다.
위 인용 본문을 비교 하자면, A. 와 B. 는 상충 된 개념으로 모순 된 설명이 된다.
위 인용 본문을 원리적으로 이해 한다면 다음과 같다.
위 인용 본문 A.는 타락 하지 아니한 본연의 인간은 영적 감각 기관의 정상적 작동으로 인하여 영적 존재이신 하나님과 영적 세계와 기타 영적 존재를 자연스럽게 볼 수 있다는 것이 창조 원리의 가르침이므로 원리적인 설명이 된다.
위 인용 B.는 타락으로 인하여 인간의 영적 감각 기관이 작동 불능으로 되어 하나님과 영적 세계와 영적 존재를 인지 할 수 없게 되었으므로, 위 B. 인용 본문도 타락 인간이 복귀 완성 되어 영적 감각 기관이 모두 원상으로 복귀 된 후 정상적인 작동이 될 때까지 과정적이고 잠정적으로 임시 하나님을 볼 수 없게 되었다는 말씀도 타락론의 가르침에 부합 하는 원리적인 설명이 된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 A. B. 모두
타락 하지 아니 한 인간의 상태와 타락 한 인간의 상태를 설명 하므로,
원리에 부합 하는 설명이 된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