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 I.
그리하여 하나님의 사랑은,
현실적으로는 A.가정적 4위 기대 ( A1. 하나님, A2. 부, A3. 모, A4. 자녀의 4 위치 )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B. 分性的 사랑 ( 分性愛 ), 즉 B1.부모의 사랑, B2.부부의 사랑, B3.자녀의 사랑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하나님을 중심하고 볼 때, 부모나 부부 자녀는 모두 하나님의 대상이 된다.
B1. 부모는 하나님의 제 1대상이 되고,
B2. 부부는 하나님의 제 2대상이 되고,
B3. 자녀는 하나님의 제 3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중심한
B1. 부모의 사랑, B2. 부부의 사랑, B3.자녀의 사랑을 합쳐서
B. 三對象 사랑이라고 한다.
< 통일 사상. P. 391. 상. 2 말 ~ 상. 10 말. >
* II.
그 때 하나님을 중심으로 하여
A2. 父(夫)와 A3. 母( 婦 아내 ), 그리고 자녀라는 네 위치에서
상술 한 바와 같이 < 가정적 4위 기대 >가 형성 되는데,
이 때 祖父母가 있을 때는 그 조부모가 가정에서 하나님을 대신하는 위치에 서게 되어서
조부모를 중심으로 父와 母, 그리고 자녀에 의한 < 가정적 4위 기대 > 가 형성 된다.
~ ~ ~ ~ ~ ~ ~
즉 祖父母는 父, 母, 子女를 그 대상으로 대하고,
父는 祖父母, 母(妻), 자녀를 그 대상으로 대한다. 그리고
母는 조부모, 父( 夫 ), 자녀를 ,
자녀는 조부모, 부. 모를 각각 그 대상으로 대한다.
< 통일 사상. P. 391. 하. 12 중 ~ 하. 2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창조 원리에 의하면
가정적 4위 기대는
* 하나님.
* 부모 ( 父母 ).
* 부부 ( 夫婦 ).
* 자녀 ( 子女 ).
~ 의 4 위치의 사랑의 관계를 형성 하는 상태를 말 한다.
하나님을 중심으로 3대상 사랑은 다음과 같다.
< 하나님의 제 1대상 사랑 >은 < 부모의 사랑 B1 >,
< 하나님의 제 2대상 사랑 >은 < 부부의 사랑 B2 >,
< 하나님의 제 3대상 사랑 >은 < 자녀의 사랑 B3 >이다.
그런데 위 인용 본문에서의 오류는
붉은 색의 글씨로 표시 한 바와 같으며,
그 이유는 다음에서 설명 한다.
위 인용 본문 * I 에서,
< 하나님의 제 1대상 사랑 B1 > 은 < 父母의 사랑 > 이다. 결코
< 부 의 사랑 A2 > 과 < 모 의 사랑 A3 > 이 아니다. 즉
< 부 의 사랑 A2 > 과 < 모 의 사랑 A3 > 이 나뉘어
각각의 별도 독립 된 대상의 위치를 점유 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 하나님의 제 1대상 사랑 >은 < 부모의 사랑 B1 > 이다.
< 부모의 사랑이 합하여 하나의 독립 된 ( 하나님의 제 1대상 사랑 ) 대상의 위치 를 점유 한다. >
( 어느 한 분이 육신을 벗어서 두 분 중의 한 분만 남았더라도, < 하나님의 제 1대상의 사랑 >의 대상 위치를 점유 하게 된다.
부모 두 분이 육적 지상 세계에 생존 하신다면, 두 분이 합하여 < 하나님의 제 1대상의 사랑 >의 대상 위치를 점유 한다.
< 父 의 사랑 A2 > 과 < 母 의 사랑 A3 > 이 나뉘어 각각의 별도 독립 대상 위치를 점유 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
3. 결론.
위 인용 본문 * I 에서,
< 현실적으로는 A.가정적 4위 기대 ( A1. 하나님, A2. 부, A3. 모, A4. 자녀의 4 위치 )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 > 는
< 현실적으로는 A.가정적 4위 기대 ( A1. 하나님, A2. 부모, A3. 부부, A4. 자녀의 4 위치 )를 통하여 나뉘어져서 ~ > 로
수정 하여 창조 원리 < 가정적 4위 기대 > 개념과 부합 되게 기술해야 한다.
또한 위 인용 본문 * II 에서,
< 그 때 하나님을 중심으로 하여
A2. 父(夫)와 A3. 母( 婦 아내 ), 그리고 자녀라는 네 위치에서
상술 한 바와 같이 < 가정적 4위 기대 >가 형성 되는데, > ~ 는
<그 때 하나님을 중심으로 하여
A2. ( 父 母 )와 A3. ( 夫 婦 ), 그리고 자녀라는 네 위치에서
상술 한 바와 같이 < 가정적 4위 기대 >가 형성 되는데, > 로 수정하여야
창조 원리의 < 가정적 4위 기대 > 개념에 부합 하는 설명이 된다.
또한 위 인용 본문 * II 에서
< 조부모를 중심으로 父와 母, 그리고 자녀에 의한 < 가정적 4위 기대 > 가 형성 된다. > 는
< 조부모를 중심으로 父母 와 , 夫婦, 그리고 자녀에 의한 < 가정적 4위 기대 > 가 형성 된다. > 로 수정 하여야
창조 원리적인 < 가정적 4위 기대 >의 개념에 부합하는 설명이 되며,
그리고
< 父는 祖父母, 母(妻), 자녀를 그 대상으로 대한다. 그리고
母는 조부모, 父( 夫 ), 자녀를 ,
자녀는 조부모, 부. 모를 각각 그 대상으로 대한다. > 는
< 父母는 祖父母, 夫婦, 자녀를 그 대상으로 대한다. 그리고
夫婦는 조부모, 父母, 자녀를 ,
자녀는 조부모, 부모, 부부를 각각 그 대상으로 대한다. > 로 수정 하여야
창조 원리적 < 삼대상의 사랑 > 개념에 부합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