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30일 월요일
천성경 말씀 ( 편집 오류 : 효자 )의 원리적 이해.
천성경 말씀( 孝子 )의
원리적 이해.
1. 천성경 인용.
그러니까, 나라의 충신은 나라의 효자를 말 합니다.
세계의 충신은 누구냐? 세계의 성인이 뭐냐 하면,
전부 세계의 효자를 말 하는 것입니다.
하늘땅의 성자가 무냐?
하늘땅의 효자를 말 하는 것입니다.
효자라는, 아들이라는 존재는 존재 가치가 없습니다.
(1996. 11. 11. )
< 천성경. P. 2085. 좌. 하. 10 중 ~ 하. 3 말. >
2. 위 인용 본문 요약 및 분석.
가. 요약.
A. 나라의 충신은 나라의 효자.
B. 세계의 성인은 세계의 효자.
C. 하늘땅의 성자는 하늘땅의 효자.
나. 위 본문의 문리적 해석.
< 효자라는, 아들이라는 존재는 존재 가치가 없습니다. >
< 충신, 성인, 성자 > 는 모두 다 < 효자 >라고 그 전단락의 문장에서 설명이 되었는데
마지막 문장에서 < 효자라는, 아들이라는 존재는 존재 가치가 없습니다. > 라고
그 전의 모든 설명을 부정 해 버렸다.
따라서
위 인용 본문은 그 < 전반부 및 중반부 : 효자 개념 강조 >의 말씀과 < 마지막 말씀 : 효자 개념 부정 >은
상호 모순 되어 그 개념이 상충 하고 있다.
다. 모순 되는 개념의 상충 하는 설명.
마지막 문장의
< 효자라는(a), 아들이라는 존재는 존재 가치가 없습니다.(b) >에서,
a : < 효자라는 > 의 주어와
b : < 아들이라는 >의 주어 사이에
다른 무슨 말씀이 존재 하는데
편집 과정에서 누락 되었다고 생각 한다.
라. 원리적 이해.
< 효자의 도리를 다 하지 못 하여, 효자의 자격이 없는,
단순히 아들만의 존재로서는 그 존재 가치가 없다. >는 말씀으로 이해 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3. 結論.
위 인용 문장의 문리적 해석만으로서는
그 개념의 상호 모순으로 상충 되는 설명이므로,
위의 분석과 같이
< 효자라는 . . . > 과 < 그 이후의 말씀 > 사이에
< 효자의 도리를 다 하지 못 하여, 효자의 자격이 없는 . . . >의 개념을 보유 한
다른 말씀이 보충 되어야,
전후 문맥의 전개에
개념과 모순의 상충이
원리적인 관점으로 해결 된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