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7일 토요일

통일 사상, 인식론, 인식의 과정 (결과 : 사위 기대 ) : 비 원리적 개념의 혼동과 원리적 이해.

통일 사상 인식론 : 인식의 과정(결과 : 4위 기대) 비 원리적 개념의 혼란과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A : 주체와 대상의 수수 작용은 반드시 목적을 중심하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인식이 성립 된다. < 통일 사상, P. 566. 하, 5 초 ~ 4 중. > B : 인식은 지식의 획득이나 증대를 의미 하므로, 수수 작용에 의한 '번식'의 개념에 포함 된다. < 통일 사상, P.566. 상, 3 말 ~ 5 초. > C :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체의 '내용, 형식'과 대상의 '내용, 형식'이 수수 작용을 통하여 조합 함으로서 합성 일체화 해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때에는 自同적 사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 570, 상. 9 초 ~ 11 말. > 2. 위 인용 본문 비판과 원리적 이해. 가. 要約. A. 目的 중심으로 繁植 결과 생성 : 發展적, 動적 사위 기대. ( 위 인용 < 가 및 나 > ). 사위 기대에서 < 目的 >을 중심 하고 수수 작용을 하게 되면 < 獨立體, 繁植體, 新生體 >를 生成하게 되고, 이러한 사위 기대를 < 發展적, 動적 > 사위 기대라고 하는 것이 원리적 개념이다. B. 心情 중심 合成 一體化 결과 발생 : 自同적, 靜적 사위 기대. ( 위 인용 < 다 > ). < 合成 一體化>의 結果를 발생 시키는 사위 기대는 < 心情 > 중심의 < 靜적, 自同적 > 사위 기대라고 하는 것이 원리적인 개념이다. 나. 對比 및 개념 矛盾과 相衝. < 認識 >이라는 < 獨立體, 繁植體, 新生體 >를 生成하는데, 위 인용 < 가 및 나 >의 설명은 < 發展적, 動적 > 사위 기대라고 원리에 부합 되는 원리적 관점으로 설명 하면서, 위 인용 < 다 >의 설명은 < 合成 一體化>의 結果를 발생 시키는 < 心情 > 중심의 < 靜적, 自同적 > 사위 기대라고 설명 하므로 전자는 원리에 부합 되는 원리적 관점의 설명이고 후자는 원리에 위배 되는 비 원리적 관점의 설명이다. 다. 原理적인 이해. < 認識 >의 < 獲得 >이라는 < 獨立體, 繁植體, 新生體 >를 生成하는데, 위 인용 < 가 및 나 >의 설명은 < 目的 > 중심의 < 發展적, 動적 > 사위 기대라고 설명 하므로, 이 설명은 원리에 부합 되는 원리적 관점의 설명이다. 그러나 위 인용 본문 < 다 >의 설명은 위 인용 본문의 < 가 및 나 >와 상충 되는 설명으로서 비 원리적인 설명이다. 3. 結論. < 認識 >의 < 獲得 >이라는 < 獨立體, 繁植體, 新生體 >를 生成하기 위하여서는, 위 인용 < 가 및 나 >의 설명과 같이 < 目的 > 중심의 < 發展적, 動적 > 사위 기대라고 설명 하는 것이, 원리에 부합 되는 원리적 관점의 설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