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5일 목요일
통일 사상, 인식론 : 인식의 과정. 도표의 비 원리적 혼란과 원리적 이해.
통일 사상
인식론 : 인식의 과정
도표의 비 원리적 혼란과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가. 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4위 기대 (그림 9-2).
* 중심 : 目的.
* 결과 : 감성적 인식像.
* 命名 : 외적 自同적 사위 기대의 형성.
나.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4위 기대 (그림 9-3 ).
* 중심 : 目的.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自同적 사위 기대 형성.
다. 理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4위 기대 ( 그림 9-4 ).
* 중심 : 目的.
* 결과 : 새로운 知識.
* 命名 : 내적 發展적 사위 기대.
2. 위 인용 도표 사위 기대 분석과 원리적 이해.
가. 요약.
A. 중심 : 目的 ( 모두 동일 ).
B. 결과.
a. 自同적 사위 기대 ( 위 인용 가. 나. ).
b. 發展적 사위 기대 ( 위 인용 다. ).
나. 批判.
위 인용 도표 모두
그 중심으로 < 目的 >을 가지고 수수 작용 하는데,
그 결과도 모두 동일 한 것이
원리적인 설명이나,
앞의 두 도표는 < 자同적 > 사위 기대이고
뒤의 마지막 도표는 < 發展적 사위 기대 >라고
설명 하고 있다.
사위 기대가
그 중심으로 동일 한 < 목표 >인데도
그 결과와 < 사위 기대 命名 > 은
두 가지의 반대로 설명 되고 있어서
이는 비 원리적인 결과의 설명이다.
다. 원리적 이해.
인식론의 과정으로서 수수 작용을 하는 사위 기대는
< 인식 >이라는 독립, 신생, 번식체를 생성 하는 작용이므로,
그 중심으로는 < 목표 >를 가지고,
그 결과는 발전적 ( 動적 ) 사위 기대가 되는 것이
원리적인 이해이다.
3. 結론.
통일 사상 저자는
사위 기대의 개념 정립에 있어서,
動적, 發展적 사위 기대와
靜적, 自同적 사위 기대의
개념 구분에
착오를 원인으로 한
혼동을 전제로 하여
통일 사상을 저술 한 것이로
보인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