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요일

통일 사상, 인식론, 사위기대의 형성 - 성상적 형상적 창조 목적 - 개념 오류 고찰.

 

 

1. 통일 사상 및 원리 강론 인용.

 

 

 

 

 

A. 원리 강론 인용.

 

그리고

성상적인 목적은 전체를 위한 것이고,

형상적인 목적은 그 자체를 위한 것이어서 ~  .  .  .   

 

< 원리 강론.  P. 45.  상. 8 초 ~ 상. 9 중.   >

 

 

 

B. 통일 사상 인용.

 

창조 목적 ( 피조 목적 )에는 성상적 목적과 형상적 목적이 있으며, 

이 각각의 목적에는 다시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이 있다.

 

< 통일 사상.  P. 567.  상.  7 말 ~ 상. 9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요약 비교 및 모순 상충 고찰.

 

 

 

 

A. 원리 강론 요약 : 

 

* 성상적 목적 : 전체를 위한 목적.

* 형상적 목적 :  자체를 위한 목적.

 

 

 

B. 통일 사상 요약.

 

* 성상적 목적과 형상적 목적 모두 

각각의 목적에 다시

전체적 목적과 개체적 목적이 있다.

 

 

 

C.  위 두 요약의 대비.

 

원리 강론의 개념에 의하면

전체 목적은 성상적 목적이고

자체 목적은 형상적 목적이다.

 

그런데 

통일 사상은

성상 목적과 형상 목적에도 다시 각각

전체 목적과 개체 ( 자체 ) 목적이 있다고 설명 한다.

 

 

 

D.  모순 상충.

 

통일 사상의 개념에는

전체 ( 성상 ) 목적에 또 다시 전체 ( 성상 ) 목적과 개체 ( 자체 : 형상 ) 목적이 있다 하고,

개체 ( 형상 ) 목적에 또 다시 전체 ( 성상 ) 목적과 개체 ( 자체 : 형상 ) 목적이 있다고 한다.

 

 

 

E. 비판적 이해.

 

원리 강론을 기준으로 하여

 

통일 사상은 

성상 목적 속에, 성상과 형상이 있고,

형상 목적 속에 성상과 형상이 있다고 

설명 하고 있다.

 

 

 

 

 

3. 결론.

 

 

통일 사상에서 제시 하는 개념 설명은

 

순환론적 이론 전개이면서

동어 반복 혼용의 개념 설명이 되어

 

원리 강론의 개념과

상호 모순 되고 상충 되는 개념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