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A. 주체와 대상의 수수 작용은 반드시 目的을 중심하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인식이 성립 된다.
< 통일 사상. P. 566. 하. 5 초 ~ 하. 4 말. >
B.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체의 '내용 형식' 과 대상의 '내용 형식' 이 수수 작용을 통하여 照合하므로서 合性 一體化 해가는 과정이다.
< 통일 사상. P. 570. 상. 9 초 ~ 상. 11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창조 원리에 의한 수수 작용의 일반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수수 작용에는 * 가 : 목적 중심의 발전적 ( 내, 외 ) 사위 기대로서 결과적으로 독립 신생 번식체를 생성 한다. * 나 : 심정 중심의 자동적 ( 내, 외 ) 사위 기대로서 결과적으로 조화롭고 중화적인 합성 일체 를 이룬다.
위 인용 본문 < A : 주체와 대상의 수수 작용은 반드시 目的을 중심하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인식이 성립 된다. > 는 인식의 정의 규정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문장이므로, 인식이라는 새로운 지식 ( 독립 신생 번식체 ) 의 획득, 증대,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사위기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 인용 본문 앞부분에 < 인식을 목적으로 하는 ~ > 이라는 구체적 한정 된 목적을 위한 수수 작용이라는 언급이 있어야 아래와 같이 보다 더 정확한 개념 설명의 문장이 된다.
< << 인식을 목적으로 하는 >> 주체와 대상의 수수 작용은 반드시 目的을 중심하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인식이 성립 된다. >
라고 설명 하는 문장이 되어야 한다.
위 인용 본문
B.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체의 '내용 형식' 과 대상의 '내용 형식' 이 수수 작용을 통하여 照合하므로서 合性 一體化 해가는 과정이다.
의 설명문은 위 인식의 개념 정의에 정면으로 상반 되는 모순의 설명으로서 위 인용 본문 A 와 상충 하고 , 본문 < 4) 결론 ~ > 이하 전체에서 상충의 설명으로 일관되고 있어서 전반적인 수정 가필이 필요해 보인다.
위 인용 본문 < B > 는 아래와 같이 수정 가필 되어야 바른 개념 정의 의 설명이 된다.
<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체의 '내용 형식' 과 대상의 '내용 형식' 이 << 목적 중심의 >> 수수 작용을 통하여 << 독립 신생 번식체를 생성 >> 해가는 과정이다. >
3. 결론.
위 인용 본문은 다음과 같이 수정 가필 되어야 인식론에 있어서의 수수 작용 정의에 보다 더 명확 한 개념 설명이 된다.
< << 인식을 목적으로 하는 >> 주체와 대상의 수수 작용은 반드시 目的을 중심하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인식이 성립 된다. >
<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체의 '내용 형식' 과 대상의 '내용 형식' 이 << 목적 중심의 >> 수수 작용을 통하여 << 독립 신생 번식체를 생성 >> 해가는 과정이다. >
따라서 위 본문의 < 4) 결론 ~ > 부분은 전반적인 수정 가필로 그 개념 설명을 바로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