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SG 인용.
* 아담과 해와의 실체 결혼식은 하나님의 결혼식이라는 것입니다.
< CSG. P. 828. 좌. 상. 13 중 ~ 상. 14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 하나님은 절대 신령의 본체 ( 絶對 神靈 本體 : The Absolute Spirit Original Embodiment ) 이시고 절대 진리의 본체 ( 절대 眞理 본체 : The Absolute Truth Original Embodiment ) 이시다.
* 완성 인간은 형상적 개성 신령 완성 실체 ( 形象的 個性 神靈 完成 實體 : The Individual Spirit Perfect Embodiment in Image ) 이고 형상적 개성 진리 완성 실체 ( 형상적 개성 眞理 완성 실체 : The Individual Truth Perfect Embodiment in Image ) 이다.
* 만물은 상징적 개성 신령 완성 실체 ( 象徵的 個性 神靈 完成 實體 : The Individual Spirit Perfect Embodiment in Symbol ) 이고 상징적 개성 진리 완성 실체 ( 상징적 개성 眞理 완성 실체 : The Individual Truth Perfect Embodiment in Symbol ) 이다.
그러므로
완성 아담은 하나님의 本性相이 形象的으로 피조 전개 된 하나님의 형상적 실체 對象의 아들이고, 완성 해와는 하나님의 本形狀이 形象的으로 피조 전개 된 하나님의 형상적 실체 對象의 딸이었다.
따라서
완성 아담 해와는 하나님 自身의 本體가 아니고, 하나님 자신 본체의 形象的 實體對象으로서의 아들 딸의 위치에 존재 한다.
그리하여 창조 원리적인 기독론의 관점에서는,
위 인용 본문은 < 하나님 자신 (또는 본체 ) 의 결혼식 > 이 될 수가 없고,
< 形象的인 하나님의 結婚式 > 또는 < 하나님의 形象的인 結婚式 > 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리 하여 위 인용 본문은 비유, 또는 상징적인 개념의 말씀이라고 이해 하는 것이 창조 원리에 부합하는 이해라고 할 수 있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은 창조 원리적인 기독론의 관점에서 < 아담과 해와의 실체 결혼식은 하나님 자신 (또는 본체 ) 의 결혼식 > 이 될 수가 없고, 아담과 해와의 실체 결혼식은 < 形象的인 하나님의 結婚式 > 또는 < 하나님의 形象的인 結婚式 > 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리 하여 위 인용 본문은 비유, 또는 상징적인 개념의 말씀이라고 이해 하는 것이 창조 원리에 부합하는 이해라고 할 수 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