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락은 하나님 중심삼고 . . .
천성경 인용 시작.
타락은 하나님을 중심삼고 아담과 해
와가 하나되어야 하는데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된 것을 말합니다.
< 천성경. P. 1119. 좌. 하. 7 초 ~ 3 말 >
(위 인용 본문 말씀은
천성경에 기록 된
<기호와 쉼표 및 띄어 쓰기 등>을
그대로
옮겨 기록 한
인용문이다. )
천성경 인용 종료.
2. 위 인용 본문의 위험성.
가. 위 인용 본문의 오해 소지.
위 인용 본문을 중간쯤 정도까지
초심자가 읽을 때에는
아래와 같이
개념 이해가 혼동 되게
되어 있다.
개념 이해가 혼동 되게
되어 있다.
타락은 하나님을 중심삼고 아담과 해와가 . . .
로 표현 되어서
원리를 모르는 초심자는
마음 속에
혼란이 유발 되게
된다.
끝까지 읽기 전에는
말씀의 원리적 개념을
파악 하기가 어려워지게
독자를 유도 하도록
편집이 되어
있다.
있다.
나. 위 인용 본문의 주어.
위 인용 본문의 주어는 . . . < 타락 >은 . . . 이다.
위 주어를 중심 한 문장은 아래와 같다.
< 타락은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다. 중간 삽입 문장.
위 주 문장 중간에
다른 보조 문장이
아래와 같이
삽입 되어
있다.
<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 . . >
라. 위 두 문장의 조합.
위 두 문장을 조합 하게 되면
아래와 같다.
< 타락은 <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
하나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하나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마. 위 두 문장의 정상적인 편집.
주 문장과
중간 보조 삽입 문장을
시각적으로 개념 구분이 되도록 공간 처리 하여,
독자로 하여금
오해가 없도록
편집 하는 것이
편집자의
책임이다.
바. 위 두 인용 본문의 정상적 편집.
< 타락은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를
< 타락은, (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라고 편집 하는 것이
독자의 이해를 돕는
정상 개념의
편집 태도이다.
인용 본문과의 다른 점은
아래와 같다.
a. 쉼표<,>를
주 문장과 보조 삽입 문장의
연결 부분
주 문장과 보조 삽입 문장의
연결 부분
두 군데 삽입 하여
주 문장과
중간 삽입 된
보조 문장을
시각적 공간 제공으로
구분 하였다.
시각적 공간 제공으로
구분 하였다.
b. 중간 삽입 보조 문장을
괄호 < ( ~ ) >로 구분 하였다.
3. 결론.
< 타락은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를
< 타락은, ( 하나님을 중심 삼고 아담과 해와가 하나 되어야 하는데, ) 하나님의 종인 천사장과 하나 된 것을 말 합니다. >
로
구어체 말씀을
문어체 문장으로
정리 하는 것이
올바른 편집의 태도라고
이해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