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18일 수요일

원리 강론, 통일 사상의 어휘 ( 무형의 성상, 무형의 원인 ) 개념 혼동과 원리적 이해.

 

1. 원리 강론, 통일 사상 인용.



A. 원리 강론.



​그리고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은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9 초 ~ 하. 6 중.  >






B. 원리 강론.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1 중 ~ P. 24. 상.2 말.   >








C. 원리 강론.






ㄱ) 무형의 내적 성상이 원인 되어 ~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4.   상.  11  초 ~ 상. 12  초.   >   



ㄴ) 이와 같이 어떠한 피조물에도 그 차원은 서로 다르나,

무형의 성상 즉 인간에 있어서의 마음과 같은 무형의 내적인 성상이 있어서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4.  하.  4 초 ~  하. 2 초.   >


 




D. 통일 사상. 



이것은 피조물의 무형적, 기능적 측면의 

궁극적 원인이 된다. 



< 통일 사상.  P.32.  상.  1 말 ~  2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가. 위 < A, B > 요약 : 내성과 마음은 < 꼴 >을 보유 한다.



​내성과 마음이 눈에 보이지는 아니 하나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닮아  난 외형과 몸이

어떠한 꼴로서 나타 난다.




 


나. 위 < C, D > 요약 :  내성과 마음은 < 꼴 >을 보유 하지 아니 한다. 



내성과 마음은  

무형으로서 꼴이 없다.







다.  위 두 개념의 상호 모순 상충.



< A. B > : 내성과 마음은 꼴 (형상, 모형) 보유.


< C, D > : 내성과 마음은 무형으로서 꼴 ( 형상, 모형 ) 무 보유.








라.  동일 한 원리 강론과 통일 사상 등 모든 원리 교재에 공통 된 오류.



성약 섭리 교육 교재의 모든 설명이

성상이나, 마음, 영적 세계, 하나님을 설명 할 때에

< 무형 >이라고 당연히, 아무 의심 없이 설명 하여

비 원리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위 인용 본문 < A. B >의 개념에 반 하는

비 원리적인 개념의 표현이다.






마. 비 원리적인 집단 오류로 집단 최면 상태.  



위 무의식적인 비 원리적 개념의 집단 오류로 

메시아로부터 모두가 

비 원리적 오류의 집단 최면에 

빠져 


하나님의 실존과

무형 실체 세계와

성상과 마음의 설명에


< 무형 >이라고 표현 하여서,


비 원리적인 개념으로 인한  집단 오류의  

비 원리적인 집단 최면상태에 

위치 하고  있다.








3. 결론.




 

위 무의식적인 비 원리 개념의 집단 오류로 

메시아로부터 모두가 


비 원리적 오류의 집단 최면에 

빠져서


비 원리적 집단 오류의 반복 교육과 

집단 최면 상태의


비 원리적인 위치에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