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12일 화요일

< 기쁨 발생의 原因 >에 관한 原理講論과 統一思想 相異한 설명의 원리적 이해.

 

 

1.   원리 강론과 통일 사상 인용.

 

 

 

 

A. 원리 강론 인용.

 

 

* 기쁨은 ~  . . .  무형이거나 실체거나 자기의 성상과 형상 대로 전개 된 대상이 있어서,

그것으로부터 오는 자극으로 말미암아 자체의 성상과 형상을 상대적으로 느낄 때

비로소 기쁨이 생기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45. 하. 6 중 ~  하. 3 말.   >

 

 

 

 

* 하나님의 창조 목적은 ~   .  .  .  기쁨을 누리시려는 데 있었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44.  하. 3 중 ~ P.45.  상.  1 말.   >

 

 

 

 

 

 

B. 통일 사상 인용.

 

 

* 하나님은 心情, 즉

사랑( 의 실현 : 필자 )을 통해서 기쁘고자 하는 

情的 衝動, ( 欲望, 願望 )을 지니고 있는 바 ~  .  .  .  

 

 

< 통일 사상.  P. 60.  상.  2 초 ~ 2 말.  >

 

 

 

 

* 그런데 하나님에 있어서 이 기쁘고자 하는 정적인 충동은,

사랑하고자 하는 충동에 의해서 뒷받침 되고 있다.

즉 참기쁨은 참사랑을 통해서만 얻어지기 때문에 ~ . . . 

 

 

<  통일 사상.   P. 60.  상.  9 초 ~  상. 11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 위 인용 본문 요약.

 

 

A.  원리 강론 :  자기 성상과 형상을 닮은 대상으로부터

자기의 성상과 형상이 상대적인 자극을 느낄 때 비로소

기쁨이 발생 한다.

 

 

B.  통일 사상 :  참기쁨은 참사랑의 실현을 통해서 획득 된다.

 

 

 

* 위 두 인용 본문에서

 

원리 강론은

二性性相의 存在論的인 접근으로 

기쁨 발생 원인을 해명 하고 있고,

 

통일 사상은

心情의 先驗的인 기쁨 欲望 追求의 억제 할 수 없는 衝動이

사랑의 실현으로 달성 된다고 설명 하고 있다.

 

원리 강론은 神相的 관점의 설명이고,

통일 사상은 神性的 관점의 접근이라고

정리 할 수 있다.

 

 

 

 

 

 

3.  結論.

 

 

원리 강론은

神相的인 관점에서

기쁨 발생의 원인을 설명 하고 있으며,

 

통일 사상은

神性的인 관점으로

기쁨 발생의 원인에 접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