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리 강론 인용.
~ 무형 유형 두 세계를 총칭 하여 천주라고 하는데 ~ ,
< 원리 강론. 42쇄. 2006. P. 40. 하. 2중 ~ 하. 1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다음의 인용문에서 보듯이
A. 원리 강론.
그리고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은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9 초 ~ 하. 6 중. >
B. 원리 강론.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1 중 ~ P. 24. 상.2 말. >
C. 성서 인용.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복귀 과정의 타락 인간은 영적 오관이 작동 불능으로 되어서
영적 실체를 육적 오관으로 인지 할 수 없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인식 기관이 망가져서 작동 불능으로 되어 실체를 인지 할 수 없다고 하여 실체 세계 존재 자체를 부정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육적 오관 인식 불능의 타락 인간이 육적 오관으로 인지 못 한다고 하여 영적 실체 세계를 부정 하는 것은
비 원리적인 태도이다.
3. 결론.
육적 오관 인식 불능의 타락 인간이 육적 오관으로 인지 못 한다고 하여 영적 실체 세계를 부정 하는 것은
비 원리적인 태도이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