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2일 월요일

원리 강론,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 말씀의 오류와 원리적 이해.

 

​ 1. 원리 강론 인용. 



제 4절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 원리 강론.   P.220.  상.  1.   >


 



2.  위 인용 본문 원리적 이해.



위 인용 본문의


소제목인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의 개념은


모든 예정설 성구를 해명 한다는 내용을 설명 하고 있다.



그러나,


성서 중의 모든 예정설을 해명 할 필요는 없다.



원리 강론의 예정설 해명은


< 인간 책임 분담 개념 >을 도입 하여


다음과 같이 분리 하여 설명 하고 있다.



가. 하나님의 뜻에  대한 예정 : 절대적 예정.

나. 하나님 뜻 성사에 대한 예정 : 상대적 예정 ( 인간 책임 분담 개입 필연 요청 ).

다. 인간에 대한 예정 : 상대적 예정 ( 인간 책임 분담 개입 필연 요청 ).



원리 강론에서

위 소 제목 하의 모든 설명은

전부 다 < 절대 예정설을 뒷받침 하는 성구에 대한 해명 > 으로 일관하고 있다.


종래의 기성 기독교계가 신봉 하는

성서 내의 모든 예정설은

전부 다 < 절대 예정설 >로 기록 되어 있고,

< 절대 예정설 >을 설교 하고 신봉 하고 있다.


종래의 기성 기독교계는

< 인간 책임 분담 >에 관한 개념을 전혀 모르고 있으므로

모든 예정설을 < 절대 예정설 >로  설교 하고 신봉 하므로,


원리 강론은 

기성 기독교계의 < 절대 예정설 >을 해명 하여 논파 하고 있는

설명으로 일관 하고 있다.


따라서

위 인용 본문의 소 제목 < 제 4절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은

예정설의 모든 성구를 해명 한다는 설명의 소제목이 되고 있으나

실제의 설명에서는 < 절대 예정설 성구 >만을 해명 하는 사실과는 

배치 되므로,


위 인용 소제목은 오류를 내포 하고 있다.


위 인용 소 제목은

<< 절대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이라고 

고쳐 기록 해야 

그 아래에서 설명 하고 있는 사실에 부합 한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

소 제목 < 제 4 절 :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은


< 제 4 절 : 절대 예정설을 세워 주는 성구 해명 >이라고 

수정 해야


그 이하 설명 내용과 부합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