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성경 인용.
A. 보이지 않는 무형의 하나님이 ~
B.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과거사를 ~
C.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아기시대 ~
D. 무형의 창조주의 모습 ~
E. 무형의 내적인 모든 실상을 ~
< 천성경. P. 2340. 좌. 상. 6 초 ~ 좌. 하. 13 중.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창조 원리와 성서의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는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3. 하. 9 초 ~ 6 중. >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23. 하. 1 중 ~ P. 24. 상. 2 말. >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하나님, 내성, 마음, 천사 세계 ~ 등은
모두 모양, 형상, 꼴을 보유 하고 있으나
타락 인간의 영적 오관이 작동 불능로 되어
임시 과정적으로 인지 할 수 없을 뿐이며,
인간이 복귀 완성 된 후
이상 세계의 완성 인간은
영적 오관인 영적 감각 기관이 정상으로 작동 되게 되면
육계뿐만 아니라
하나님, 성상, 마음, 천사 세계 ~ 등
육계를 육적 오관으로 인지 하듯이
영계도 영적 오관으로 인지 하도록
피조 되었다는 것이
창조 원리와 성서의 증언이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의 설명은
복귀 과정의 타락 인간이
영적 오관인 영적 감관의 작동 불능으로
복귀 완성 시까지 과정적으로 잠시
인지 할 수 없을 뿐이라는 말씀이고,
복귀 완성 후 완성 인간의
영적 오관인 영적 감각 기관의 정상 작동이 되는
이상 세계의 인간은
하나님, 성상, 마음, 천사 세계 ~ 등을
육적 감관으로 유계의 존재를 인지 하듯이
영적 감관으로 인지 할 수 있다는 것이
창조 원리와 성서의 증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