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18일 화요일

통일 사상의 설명 오류 ( 성상 목적과 형상 목적의 개념 정의 혼동 ) 와 창조 원리적 이해.

 


1.  창조 원리와 통일 사상 인용. 



A. 원리 강론 인용.


그리고

성상적인 목적은 전체를 위한 것이고

형상적인 목적은 그 자체를 위한 것이어서, ~   .   .   .   .


< 원리 강론.  2006. 42쇄.  P.45.  상.  8 초 ~ 상. 9 중.  >



B. 통일 사상 인용.


이것은

성상 ( 生心 )도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이라는 이중 목적을 지니고 있고,

형상 ( 肉心 )도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을 지니고 있음을 뜻 한다.

이것은

성상적 목적 ( 생심의 목적 )에도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이 있고,

형상적 목적 ( 육심의 목적 )에도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이 있음을 뜻 한다.


< 통일 사상.  P.296.  하. 3 말 ~ P. 297. 상. 2 말.   >






2.   위 인용 본문의 분석과 대조 평가.




A. 위 인용 본문의 요약.



가. 성상적 목적과 개체 목적( 창조 목적 ).


* 성상(생심)적 목적 : 전체 목적.

* 형상(육심)적 목적 : 개체 목적.



나. 성상적 목적과 개체 목적 ( 통일 사상 ).


* 성상(생심)의 목적 :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

* 형상(육심)의 목적 :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





B. 위 요약의 대비.



가. 창조 목적.


전체 목적은 성상 ( 생심 )의 목적이고,

개체 목적은 형상 ( 육심 )의 목적이다.


그러나 


나. 통일 사상.


전체 목적은 성상 ( 생심 )에도  있고, 형상 ( 육심 )에도 있으며,

개체 목적도 성상 ( 생심 )에 있고, 형상 ( 육심 )에 있다.




C. 통일 사상의 개념 혼동은 창조 원리와 상충 된다.



원리 강론 (창조 목적)은

전체 목적을 성상 ( 생심 )의 목적이라고 그 개념을 정의 하였고

개체 목적을 형상 ( 육심 )의 목적이라고 개념을 정의 하였다.


그러나, 통일 사상에서는

전체 목적에 성상 ( 생심 )의 목적과 형상 ( 육심 )의 목적이 공존 한다고 설명 하며,

개체 목적에도 성상 ( 생심 )의 목적과 형상 ( 육심 )의 목적이 공존 한다고 설명 하여서


전체 목적과 개체 목적은

성상 ( 생심 ) 목적과 형상 ( 육심 ) 목적이 공통으로 공존 한다고 설명 하였으므로,


성상 ( 생심 ) 목적의 개념과

형상 ( 육심 ) 목적의 개념이

동일 하게  정의 되어서

그 개념의 정의에 혼동을 유발 하고 

창조 원리 ( 원리 강론 )의 개념과 상충 하고 있다.



따라서

위 혼동 된 오류의 개념 정의를 요약 한 

 < 그림 4 - 1. 욕망. 목적. 가치의 이중성 ( 통일 사상. P. 299.  )   >의 내용도

동일 한 오류의 개념이므로

수정 되어야 한다.





3. 결론.



전체 목적은 

성상 ( 생심 )의 목적이고,


개체 목적은

형상 ( 육심 )의 목적이라는


창조 원리의 목적에 관한 정의가

원리에 부합 하는 개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