統一 思想 4位 基臺 說明
(目標 中心-狀態-Logos)의
非 原理와
原理的 理解.
1. 統一 思想 引用.
이것을 바꾸어 말 하면,
內的 性相과 內的 形狀이
일정 한 목적을 중심 하고
통일 되어 있는 상태가 바로
'Logos의 二性 性相'인 것이다(A).
마치 하나님에 있어서,
본성상과 본형상이
中和(統一)을 이룬 상태가
神相인 것과 같다(B).
< 통일 사상. P. 66. 하. 1 초 ~ P. 67. 상. 3 중. >
2. 위 引用 本文의 分析 批判.
가. 4位 基臺의 原理的 種類.
A. 靜적, 自同적 4위 기대.
* 中心 : 心情.
* 主體 : 性相.
* 對象 : 形狀.
* 結果 : 合成體.
B. 動적, 發展적 4위 기대.
* 中心 : 目的.
* 主體 : 性相.
* 對象 : 形狀.
* 結果 : 新生體.
C. 內적 4위 기대.
* 主體 : 性相 내의 내적 性相(情,知,意) 또는 形狀 내의 內적 性相(.規定性, 꼴, 模樣).
* 對象 : 性相 내의 내적 形狀(觀念, 槪念, 原則, 數理) 또는 形狀 내의 內적 形狀(質料, 素材).
* 結果 : (性相)合成體 또는 Logos 및
(形狀)合成體 또는 Prime Force(原力).
D. 外적 4위 기대.
* 中心 : 心情 또는 目的.
* 主體 : 性相(合成體) 또는 Logos.
* 對象 : 形狀(合成體) 또는 Prime Force(原力) .
* 結果 : 하나님 또는 被造 世界(人間과 森羅萬象의 萬物).
나. 위 引用 本文의 誤謬.
A. 위 인용 본문의 再 인용.
< 內的 性相과 內的 形狀이
일정 한 목적을 중심 하고 통일 되어 있는 상태가 바로
'Logos의 二性 性相'인 것이다(A). >
위 인용 본문 < A >의 설명 誤謬.
중심이 < 目的 >을 취 하는 4위 기대는
결과로 < 新生體 >를 生成 한다.
위 인용 본문에서
결과로 < 통일 된 狀態 >가 되려면,
그 중심이 < 心情 >을 취 해야 한다.
중심이 < 目的 >을 취 할 때에는
그 결과물로 < 新生體 >를 生成 해야 한다.
B. 위 인용 본문 < B >의 재 인용.
< 마치 하나님에 있어서,
본성상과 본형상이
中和(統一)을 이룬 상태가
神相인 것과 같다(B). >
結果가
< 中和(統一)을 이룬 상태 >로 되기 위해서는
그 中心이 < 心情 >을 취 해야 한다.
中心이 < 目標 >를 취 할 때에는
그 結果로서 新生體( Logos나 原力 : Prime Force 또는 被造 世界 )를 生成 한다.
C. 批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위 인용 본문은,
靜적(自同적) 사위 기대와
動적(發展적) 사위 기대의
中心이
< 心情 >이냐 또는 < 目標 >를 취 하는가에 따르는
結果의 混同이 內包 된 事例를
例로 들어 說明 하는
誤謬가 發見 되었다.
위 인용 본문은
< 動적 : 發展적 > 사위 기대와
< 靜적 : 自同적 > 사위 기대의 설명에 있어서
그 結果로서
目的 中心의 新生體인가 또는
心情 中心의 合成體인가를
混同 하는 事例를 예로 들어 설명 하는
誤謬를 內包 하고 있다는 것이
立證 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