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30일 수요일

원리 강론과 통일 사상, 천성경, 평화 훈경 : 실체의 개념 혼동과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통일 사상의 실체는 물론

통일 원리의 실체의 뜻에서 유래 한다.

통일 원리에는 실체 기대, 실체 헌제, 실체 성전, 실체 세계, 실체상, 실체 대상, 실체 노정 등 

실체와 관련 된 용어가 자주 쓰여지고 있는데,

여기의 실체 實體는 

피조물, 개체, 육신을 쓴 인간, 물질적 존재 등의 뜻을 지닌 용어이다.



< 통일 사상.  P. 46.  상. 4 말 ~ 상. 9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위 인용 본문을 요약 하면,

실체는 주로

육신 인간 등 물질적 존재를 대체적으로 표현 한다.


위 경향은

천성경, 평화 훈경, 원리 강론, 통일 사상 등

원리 교재 전반에 걸쳐서 공통으로 사용 되는 공통 개념어로

인식, 사용 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적 세계도 실체 세계이고,

육신 벗은 인간 즉 영인체도 실체 인간이다.








3. 결론.



영적 세계도 실체 세계이고,

영적 인간도 실체 인간이다.


따라서

통일가의 전반적인 교육 교재에 사용 되어지고 있는

< 실체 >의 개념은


개념의 혼동으로

모호하게 사용 되어지고 있다.

통일 사상, Logos의 개념 혼동과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A. 

~  내적 성상과 내적 형상

일정한 목적을 중심하고 

통일 되어 있는 상태가 바로 

Logos 의 이성 성상인 것이다.

 

<  통일 사상.  P. 66.  하. 1 중 ~ P. 66.  상. 2 초.   >

 

 

 

B.

통일 사상은

현실 문제 해결에 직접 관련 되는 신성으로서

심정, 로고스, 창조성의 세 가지를 꼽고 있다.

 

< 통일 사상.  P.58.  상.  8 초 ~ 상. 9 중.  >

 

 

 

 

 

2.   Logos 개념에 관한 통일 사상 관점의 고찰.

 

 

 

 

가.  위 인용문 A. B. 요약.

 

 

원상 原相 ( 하나님의 속성 )에는

신상 神相과 신성 神性이 있다. 

 

그리고

신상에는

성상 性相 과 형상 形狀 이 있다.

 

위 인용문.

 

A :  Logos는 (내적) 성상과 (내적) 형상의 통일체 ( 즉 하나님의 신상 ).

B :  Logos는 ( 하나님 )의 신성.

 

 

 

나.  위 인용문의 통일 사상적 이해.

 

통일 사상에 의하면,

 

내적 성상 ( 정, 지, 의   ) 와

내적 형상 ( 관념, 개념, 원칙, 법칙, 규칙, 규정성, 수리, . . .  ) 이

목적을 중심하고 동動적, 발전적 사위 기대를 형성 하면

그 결과로 Logos라는 신생체, 독립체, 결과물을 생성 하게 되는데, 이 생성 된 결과물을

Logos 라고 한다.

 

 

 

 

다.  종합적 이해.

 

내적 성상과 내적 형상은 모두

신상 神相의 내적 요소이므로

그 결과물인 Logos도 당연히

신상 神相 에 귀속 된다.

 

따라서

 

위 인용 A. ( Logos는 신상 神相 )는 통일 사상에 합당 한 개념이고,

위 인용 B. ( Logos는 신성 神性 )는  통일 사상에 위배 되는 개념이다.

 

즉,

Logos는 

신상 神相에 귀속 된다.

 

 

 

 

 

 

 

3. 결론.

 

 

Logos는

신상 神相에 귀속 한다.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4.

 



 

後編

* 제 1章 : 復歸 基臺 攝理 時代.

* 제 3節 : 아브라함 家庭을 중심 한 復歸 攝理.

* I : 믿음의 기대.

* 2 :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하기 위한 條件物.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4.

* 後篇.​

* 제 1章 : 復歸 基臺 攝理 時代.

* 제 3節 : 아브라함 家庭을 중심 한 復歸 攝理.

* I : 믿음의 기대.

* 2 :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하기 위한 條件物.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4.​​

*   이제 우리는

아브라함이

이 '상징 헌제' 를 

어떻게 드렸는가 하는 것을

알아야겠다.

​*   Let us study

how Abraham made

the symbolic offering.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 을

다음에 게시한다.

​​

* 독자 중에서,

필자 보다도 더 좋은 英譯이나 Syntax diagram 을

주저하지 마시고 例示 해 준다면

필자는 受容 할 것이고,

혹시

이해하는 데에 說明이 필요 한 부분에 관하여

댓글창이나 별도의 제목으로 質問의 글을 남겨 주시면

필자가 아는 한 정성을 다 하여 說明 할 것이며,

필자와 討論을 통 하여

英語 能力의 深化와 高度化의 目標를 成就 할 수 있기를

企待 한다.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3.

 



後編

* 제 1章 : 復歸 基臺 攝理 時代.

* 제 3節 : 아브라함 家庭을 중심 한 復歸 攝理.

* I : 믿음의 기대.

* 2 :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하기 위한 條件物.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3.

* 後篇.​

* 제 1章 : 復歸 基臺 攝理 時代.

* 제 3節 : 아브라함 家庭을 중심 한 復歸 攝理.

* I : 믿음의 기대.

* 2 :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하기 위한 條件物.

* ( 1 ) : 아브라함의 象徵 獻祭.

* Line : 43.​​

*    따라서 이 헌제는

사탄이 침범 하였던

3수로 표시 된 모든 조건들을

일시에 탕감 복귀 하므로서

전 복귀 섭리를

단번에 이루시려는 뜻을 

상징적으로 표시 한 것이었다.

​*  Thus,

this  sacrifice of Abraham reveled symbolically

God's Will to fulfill at once all of  the entire Providence of Restoration

with through

Abraham could restore through indemnity all of the defiled conditions containing in the number three

with this one offering.

 

* 위 영문의

Syntax diagram 을

다음에 게시한다.

​​

* 독자 중에서,

필자 보다도 더 좋은 英譯이나 Syntax diagram 을

주저하지 마시고 例示 해 준다면

필자는 受容 할 것이고,

혹시

이해하는 데에 說明이 필요 한 부분에 관하여

댓글창이나 별도의 제목으로 質問의 글을 남겨 주시면

필자가 아는 한 정성을 다 하여 說明 할 것이며,

필자와 討論을 통 하여

英語 能力의 深化와 高度化의 目標를 成就 할 수 있기를

企待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