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통일 사상, 통일 논리학, 사고 과정의 2단계와 4위 기대 형성, 오성적 단계와 이성적 단계 : 설명 착오와 원리적 이해.

통일 사상, 통일 논리학, 사고 과정의 2단계와 4위 기대 형성, 오성적 단계와 이성적 단계 : 설명 착오와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A. 내적 4위 기대의 대상의 위치 즉 내적 형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4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형상을 이루게 된다. < 통일 사상. P.573. 상. 13 초 ~ 하. 9 말. > B.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수수 작용이 행해 지게 되는데, 이 때의 수수 작용은 대비형의 수수 작용이다. 주체인 영적 통각이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대비( 대조)하여 그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도표로 표시 하면 그림 9-3과 같다. < 통일 사상. P.573. 하. 8 초 ~ 하. 4 말. > C. 즉, 외계의 내용과 내계의 原型이 照合 되어서 ( 悟性的 : 필자 ) 인식이 일단 완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9 중 ~ 상. 10 중. > D. 그때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내적 완결적 ( 자동적 )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10 중 ~ 상. 11 말 . > E. 그림 9 ~ 2. 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外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內적 性相(主體) : 原型. * 內적 形狀 : 대상 (내용과 형식). * 결과 : 감성적 인식상( 감성적 내용과 형식). *** 命名 : 외적 自同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2. 상. > F. 그림 9 ~ 3.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內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주체( 내적 성상 ) : 영적 통각. * 대상( 내적 형상 ) : 원형, ( 전 단계의 : 필자 ) 감성적 인식상.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自同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4. 상. >​ 2. 인식 논리 구조의 원리적 이해와 인용문 비판. 가. 인식 논리 구조의 원리적 이해. * 中心 : 目的 ( 發展적 : 動적 4위 기대 ). * 性相( 主體 ~ 內界 ) : a. 內界의 영적 통각 ( 情 知 意 ). b. 內界의 原型 ( 原映像 + 思惟 형식 ). c. 內界 前 低 단계의 認識像 ( 認識像 + 思惟 形式 ). * 形狀 ( 對象 ) : 外界 認識의 對象 ( 內容 + 形象 ). * 結果 : 獨立體, 新生體, 繁殖體로서의 새로운 認識의 生成. 나. 인용문 비판. ​A. 내적 4위 기대의 대상의 위치 즉 내적 형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4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위 인용 본문에서 < 형상 : 대상 >의 위치에 원저자는, 전 단계의 감성적 인식상 ( 감성적 내용 + 형식 ) 및 원형 ( 원영상 + 사유 형식 )이 내적 형상 을 이룬다고 한다. 위 원 저자의 주장은 오류이다. 원리적인 내적 성상은 內界에 위치하는 a. 영적 통각 ( 정.지.의 ). b. 원형. c. 전 단계의 인식상 ( 내용과 형식 )이 내적 성상의 구성 요소이다. 필자의 생각으로 원저자를 이해 하려고 한다면, 원저자는 性相 ( 主體 )의 위치에 오로지 情,知,意 ( 靈적 統覺 )만이 위치 해야 할 자격이 있다고 오해 한 까닭으로 위 인용문과 같은 오류를 유발 한 것으로 이해 한다. B.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수수 작용이 행해 지게 되는데, 이 때의 수수 작용은 대비형의 수수 작용이다. 주체인 영적 통각이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대비( 대조)하여 그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별하기 대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도표로 표시 하면 그림 9-3과 같다. ​수수 작용은 주체 ( 성상 )와 대상 ( 형상 ) 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원리적인 이해이다. 원저자는 대상(형상) 내부의 두 요소 간에 수수 작용이 발생 한다고 설명 하고 있으므로 비 원리적인 오류를 범하고 있다. C. 외계의 내용과 내계의 原型이 照合 되어서 ( 悟性的 : 필자 ) 인식이 일단 완성 된다. ​외계의 내용 ( 형상 : 필자 )과 내계의 원형 ( 성상 : 필자 ) 즉 성상과 형상 간에 조합형 수수 작용이 발생한다고 설명 하는 것은 원리적인 설명이나, 원저자는 외계 내용과 내계의 원형이 모두 형상이라고 비 원리적으로 전제 하고 있으며, 원저자의 비원리적 주장을 따른다고 한다면, 형상( 대상 ) 내부의 두 요소 간에 수수 작용이 발생 한다고 하는, 즉 형상(대상)과 형상(대상)이 수수 작용 한다고 주장 하는 비 원리적인 주장의 오류를 범 하고 있는 것이다. D. 그때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내적 완결적 ( 자동적 )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결과적으로 獨立, 繁殖, 新生體를 生性 하므로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원리적으로 內적 動적 ( 發展적 ) 4위 기대를 형성 한다. E. 그림 9 ~ 2. 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外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內적 性相(主體) : 原型. * 內적 形狀 : 대상 (내용과 형식). * 결과 : 감성적 인식상( 감성적 내용과 형식). *** 命名 : 외적 自同적 4위 기대. 위 도표의 내적 성상(주체) 위치에 <원형> 뿐만이 아니라, < 영적 통각>과 전 단계의 ( 低級 ) 인식상이 포함 된다. 내적 형상 위치에 외적 인식의 대상인 내용과 형식이 위치 한다는 것은 원리적인 설명이다. 결과로서 < 감성적 인식상 > 이라고 하는 獨立, 繁殖, 新生체를 生成 하였으므로 <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라는 命名이 원리적인 이름이다. F. 그림 9 ~ 3.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內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주체( 내적 성상 ) : 영적 통각. * 대상( 내적 형상 ) : 원형, ( 전 단계의 : 필자 ) 감성적 인식상.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自同적 4위 기대. 위 그림의 주체(내적 성상) 위치에 <영적 통각>을 포함하여 < 원형 >과 < 前 단계의 底級 인식상 >이 포함 되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결과로서 < 悟性적 인식상 > 이라고 하는 獨立, 繁殖, 新生체를 生成 하였으므로 <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라는 命名이 원리적인 이름이다. G. ​위 그림 < 9 ~ 2 : 感性적 단계의 인식 > 도표와 < 9 ~ 3 : 悟性적 단계의 인식 > 도표 비교 분석 비판. 위 인용 그림 < 9 ~ 2 : 感性적 단계 인식 도표 >에서는 < 성상 : 주체 > 위치에 < 原型 >을 위치시키는 것은 원리적인 설명이며, < 원형 >에 더 하여 < 영적 통각 >과 < (전 단계의 저급 ) 인식상 >을 더 포함 하여 < 성상 : 주체 >가 된다는 것이 인식론의 논리적인 구조이다. 위 인용 그림 < 9 ~ 3 :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에서는 < 성상 : 주체 > 위치에 < 靈적 統覺 >을 위치시키는 것은 원리적인 설명이나, < 形狀 : 對象 >의 위치에 < 原型과 ( 전 단계 저급 ) 감성적 인식상 >을 위치 ( 이들도 원리적으로 < 성상 : 주체 >의 위치이다 )시키는 비 원리적 오류를 범하고, < 형상(대상)과 형상(대상) 간에 수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설명 되는 비 원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 수수 작용 >은 < 주체(성상) 과 대상(형상)> 간에 이루어 진다는 것이 원리적인 설명이다. 그림 9 ~ 2 : 감성적 단계의 인식 도표와 그림 9 ~ 3 : 오성적 단계의 인식 도표에서 대상 ( 형상 ) 위치에 < 감성적 인식 : 인식의 대상(내용과 형식) : 원리적인 설명 > 및 < 오성적 인식 :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 : 비 원리적 설명 >을 위치시켜서 상호 혼란, 모순, 상충 하는 비 원리적인 오류를 범 하고 있다. < 감성적 인식 구조 > 와 < 오성적 인식 구조 >의 < 대상 : 형상 >의 내용이 일치 하지 아니 하고 < 오성적 인식의 대상 (형상)>으로 설명 된 <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 >은 < 형상 : 대상 >이라는 설명은 비 원리적인 설명이며, < 주체( 영적 통각 >에 의하여 소환, 인출 되는 기억 속의 < 원형 >도 또한 < 주체( 영적 통각 ) >이 위치 하는 < 성상, 주체 >의 위치로 소환, 인출 되는 것이 원리이거늘, 원저자는 < 영적 통각 >에 의하여 기억 속에서 소환, 인출 되는 < 원형 >이 원리적인 위치인 < 성상( 형상 ) >의 상대편인 < 형상 (대상)>의 위치에 존재 한다는 비 원리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위 <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 >은 < 영적 통각 >과 더불어 < 성상 : 주체 >의 위치하는 것이 원리에 부합 하는 설명이다. 다.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A. 내적 4위 기대의 대상의 위치 즉 내적 형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4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형상을 이루게 된다. < 통일 사상. P.573. 상. 13 초 ~ 하. 9 말. > 내적 4위 기대의 性상의 위치 즉 내적 性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4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性相을 이루게 된다. < 통일 사상. P.573. 상. 13 초 ~ 하. 9 말. > B.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수수 작용이 행해 지게 되는데, 이 때의 수수 작용은 대비형의 수수 작용이다. 주체인 영적 통각이 원형과 감성적 인식상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대비( 대조)하여 그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도표로 표시 하면 그림 9-3과 같다. < 통일 사상. P.573. 하. 8 초 ~ 하. 4 말. > B.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수수 작용이 행해 지게 되는데, 이 때의 수수 작용은 대비형의 수수 작용이다. 주체인 영적 통각이 내적 원형 및 감성적 인식상과 외적 인식의 재료( 내용과 형식)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대비( 대조)하여 그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도표로 표시 하면 그림 9-3과 같다. < 통일 사상. P.573. 하. 8 초 ~ 하. 4 말. >  C. 즉, 외계의 내용과 내계의 原型이 照合 되어서 ( 悟性的 : 필자 ) 인식이 일단 완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9 중 ~ 상. 10 중. > C. 즉, 외계의 내용과 내계의 原型이 照合 되어서 ( 悟性的 : 필자 ) 인식이 일단 완성 된다. 이 부분의 설명은 원리에 부합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9 중 ~ 상. 10 중. > D. 그때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내적 완결적 ( 자동적 )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10 중 ~ 상. 11 말 . > D. 그때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내적 動적 ( 發展적 )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10 중 ~ 상. 11 말 . >  E. 그림 9 ~ 2. 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外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內적 性相(主體) : 原型. * 內적 形狀 : 대상 (내용과 형식). * 결과 : 감성적 인식상( 감성적 내용과 형식). *** 命名 : 외적 自同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2. 상. > E. 그림 9 ~ 2. 감성적 단계의 인식 도표( 외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內적 性相(主體) : 原型. * 內적 形狀 : 대상 (내용과 형식). * 결과 : 감성적 인식상( 감성적 내용과 형식). *** 命名 : 외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2. 상. > F. 그림 9 ~ 3.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內적 自同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주체( 내적 성상 ) : 영적 통각. * 대상( 내적 형상 ) : 원형, ( 전 단계의 : 필자 ) 감성적 인식상.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自同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4. 상. > F. 그림 9 ~ 3.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內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주체( 내적 성상 ) : 내계의 영적 통각. 원형, ( 전 단계의 : 필자 ) 감성적 인식상. * 대상( 내적 형상 ) : 외계의 인식 대상의 재료 ( 내용과 형식 ).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4. 상. >​ 3. 結論. 위 논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된다. A. 내적 4위 기대의 性상의 위치 즉 내적 性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4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性相을 이루게 된다. < 통일 사상. P.573. 상. 13 초 ~ 하. 9 말. > B.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수수 작용이 행해 지게 되는데, 이 때의 수수 작용은 대비형의 수수 작용이다. 주체인 영적 통각이 내적 원형 및 감성적 인식상 ( 주체, 성상 : 필자 )과 외적 인식의 재료( 내용과 형식 ) ( 대상, 형상 : 필자 )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대비( 대조)하여 그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도표로 표시 하면 그림 9-3과 같다. < 통일 사상. P.573. 하. 8 초 ~ 하. 4 말. > C. 즉, 외계의 내용과 내계의 原型이 照合 되어서 ( 悟性的 : 필자 ) 인식이 일단 완성 된다. 이 부분의 설명은 원리에 부합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9 중 ~ 상. 10 중. > D. 그때 인식 구조 또는 논리 구조로서 내적 動적 ( 發展적 ) 4위 기대가 형성 된다. < 통일 사상. P.635. 상. 10 중 ~ 상. 11 말 . > E. 그림 9 ~ 2. 감성적 단계의 인식 도표( 외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內적 性相(主體) : 原型. * 內적 形狀 : 대상 (내용과 형식). * 결과 : 감성적 인식상( 감성적 내용과 형식). *** 命名 : 외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2. 상. > F. 그림 9 ~ 3. 悟性적 단계의 인식 도표 ( 內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 중심 : 목적. * 주체( 내계 성상 ) : 내계의 영적 통각. 원형, ( 전 단계의 低級 : 필자 ) 감성적 인식상. * 대상( 외계 형상 ) : 외계 인식의 재료 ( 내용과 형식 ). * 결과 : 悟性적 인식. *** 命名 : 내적 發展적, 動적 4위 기대. < 통일 사상. P.574. 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