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A. 피조 세계에 있어서, 주체와 대상의 관계에 있는 두 요소 또는 두 개체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수수 작용하면, 그 결과로서 합성체가 생김과 동시에 운동이 시작 된다. 이때의 중심인 목적은 존재자 (만물)가 아니며, 또 합성체는 수수 작용의 결과로서 생기는 상태에 불과하므로 ~ . . .
< 통일 사상. P. 204. 상. 3 초. ~ 상. 7 중. >
B. 그림 2 - 6. 수수 작용에 의한 원환 운동.
중심 : 목적. 결과 : 합성체.
< 통일 사상. P.204. 하. 3.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분석과 이해.
창조 원리에 의하면,
수수 작용에 있어서 그 중심이 <목적>을 가지면 그 결과로 < 독립체, 신생체, 번식체 >를 생성 한다.
또한 그 중심이 <심정>을 가지면 그 결과로 < 합성체, 중화체, 조화체, 통일체>를 형성 한다.
그런데 위 인용 본문과 그림은 그 중심에 <목적>을 가지면서 < 합성체 >가 생긴다고 설명 하여
위 창조 원리를 벗어난 비 원리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결과로서 < 합성체 >가 생기려면 그 중심에 < 심정 >을 가져야 하고,
중심에 < 목적 >을 가지면 그 결과로서 < 독립체, 신생체, 번식체 >를 생성 하는 것이 원리적인 설명에 부합 한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과 그림에서는
수수 작용의 중심에 < 목적 >을 가고 있으로 그 결과는 < 신생체, 독립체, 번식체 >를 생성 한다고 설명 해야
원리에 부합 한 설명이 된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