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26일 토요일

통일 사상 인식론 ( 자동적 사위 기대 및 오성적 단계 인식 설명 ) 오류와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A. 감성적 단계의 인식.


이것은 인식 과정의 소생적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먼저

외적 자동적 ( 自同的) 사위 기대가 이루어진다.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주체(인간)와 대상(만물) 간의 수수 작용이 행해지고,

대상의 내용과 형식이 주체의 감각 중추에 반영 되어서 영상 또는 표상을 형성 한다.

이것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인데,

이것을 감성적 인식상이라고 한다.


< 통일 사상.  P.571.  하. 6 초 ~ 하. 1 말.   >




B.  감성적 단계 인식의 대상.


내적 사위 기대의 대상의 위치 즉 내적 형상에는,

먼저 감성적 단계의 외적 사위 기대에서 형성 된

감성적 인식상 즉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이 이 단계로 옮겨져 온다. 

그러면 이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에 대응 하는 원영상과 사유 형식 즉 원형이

영적 통각에 의해 기억 속에서 인출 된다.

이 두 가지 요소 즉 

감성적 인식상과 원형이 함께 내적 형상을 이루게 된다.


< 통일 사상.  P.573. 상. 13 초 ~ 하.  9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A. 위 인용 A의 원리적 분석.


창조 원리에 의하면

4위 기대 수수 작용에 있어서,


a. 중심에 목적을 두면

動的, 發展的 4위 기대이다.


 b. 결과로

독립체, 신생체, 번식체를 생성 하여 출현시키면 역시

動的, 發展的 4위 기대라고 개념을 정의 하고 있다.



그런데 위 인용 본문의 사위 기대 설명을 보면,


a. 중심에 목적을 두고,

b. 결과로 영상과 표상 (감성적 내용과 감성적 형식)을 형성 하는데,

이것을 감성적 인식상이라고 개념 정의 한다.

즉 그 결과로 감성적 인식상이라는

새로운 독립 된 신생 개념이 탄생, 번식 한다고 

설명 하고 있다.


위 설명은

창조 원리에서 정의 한 개념과 같이 

명백 한 動的, 發展的 4위 기대의 개념과 일치 한다.


이러한데도

통일 사상에서는

위 사위 기대를

自同的, 靜的 4위 기대라고 설명 하여


창조 원리에서 정의 한 

4위 기대의 개념에 위반 하는 설명이 된다.





B. 통일 사상의 感性的 및 悟性的 단계의 인식을 위한 4위 기대를 모두

自同的 靜的4위 기대라고 설명 한다.



통일 사상의 感性的 및 悟性的 단계의 인식 형성을 위한 4위 기대를 모두

自同的 靜的4위 기대라고 설명 

하고 있는데,


위 설명도 

창조 원리의 4위 기대 개념 정의와

상반 되는 설명이다.


위 단계의 인식을 위한 4위 기대도 모두

목적을 중심으로 하는 동적, 발전적 4위 기대이다.


理性的 단계의 인식을 위한 4위 기대는

動的, 發展的 4위 기대라고 하여 

이 설명은

창조 원리에서 정의 한 개념에 

부합 하는 설명이 된다.





C. 위 인용 B 의 감성적 인식상과 함께 원형이 

내적 형상을 이룬다는 오류의 창조 원리적 분석.




인식과정의 이성적 인식을 위한 발전 단계에서,


감성적 인식상이

오성적 인식의 4위 기대에서

대상 ( 형상 )을 이루는 것은 

창조 원리 개념에 부합 하나,


원형 ( 원영상과 사유 형식 )이

오성적 인식을 위한 4위 기대의

형상을 이룬다는 설명 ( 그림 9-3 )은 

오류이다.


원형 ( 원영상과 사유 형식 )은

항상 성상 ( 주체 )에 속한다는 것이


창조 원리의 개념에 부합 하는 설명이 된다.





D. 통일 사상에서의 인식을 위한 대상 (형상) 구성의 두 종류.



통일 사상에서는


a. 인식의 완성 ( 감성 - 오성 -  이성적 인식 형성 )을 위한 발전 ( 推論 )의 4위 기대 즉


소생적 감성 단계의 인식에서

장성적 오성 단계의 인식으로 발전 하고,


장성적  오성 단계의 인식에서

완성적 이성 단계의 인식으로 발전 하는 과정에서,


전단계의 인식상은 

다음 단계의 더 발전 된 인식 사위 기대의 

대상 ( 형상 )의 위치에서 작용 하게 된다 ( 그림 9-5 ).



b.  완성 단계 이성적 인식 완성 후 

새로운 인식 대상과의 새로운 인식 과정의 實踐을 위한  4위 기대에서는


새로운 대상과의 인식 실천 과정에서

이전 이성 단계에서 완성 된 인식은


주체 ( 성상 )의 위치에서

발전, 확장 된 복합 원형에 포함 하게 된다 ( 그림 9-6).



c.  위와 같이


감성 - 오성 - 이성 단계 인식의 완성 과정 ( 推論 포함 )에서는

전단계 인식이

후단계 인식의 < 대상 ( 형상 ) > 의 위치를 점유  하게 되고 ( 그림 9-5 ),


이성 단계의 인식 완성 후에

새로운 만물과 더불어 새로운 인식의 實踐에서는

전단계 인식 과정에서 완성 된 이성적 인식상이

후단계 새로운 인식 과정 實踐의 4위 기대 형성에

< 주체 ( 성상 ) >의 위치를 점유 한다는 개념 인식 ( 그림 6 )에서


개념의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3. 결론.




A.  감성적 단계의 인식을 형성 하기 위한 4위 기대나

오성적 단계의 인식을 형성 하기 위한 4위 기대도

이성적 단계의 인식을 형성 하기 위한 4위 기대와 같이

動的, 發展的 4위 기대이다.



B.  인식 완성 단계 ( 推論 )의 인식 과정에서

전단계에서 형성 된 인식상은

다음 발전 된 인식 형성을 위한 4위 기대의

대상 ( 형상 )의 위치를 점유 하고,


이성적 인식의 완성 후

새로운 만물을 대상으로 하여 신인식을 형성 하기 위한 새로운 4위 기대에서는

전단계 완성 된 이성 단계의 인식상은 

새로운 인식 實踐 단계의 신인식 형성을 위한 새로운 4위 기대에서

주체 ( 성상 )의 위치를 점유 하여 

복합 원형 의 발전 된 성상의 일부로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