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그림 11-8. 변증법인가 수수법인가?
목적 ~
주체, 대상 ~
합성체 ( 번식체 )
< 자연은 授受法의 檢證이다. >
< 통일 사상. P. 689. 상. 9 초 ~ 하. 6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사위 기대의 중심에
< 目的 >이 오게 될 경우에는
그 결과로
< 新生體, 獨立體, 繁殖體, 生性體 > 를 생성 하게 된다.
그런데
위 인용 본문에서는
원형 안에
< 목적, 주체, 대상, 합성체 >라고 기재 하고
원형 안에 < 合性體 >라고 기재 후,
그 옆 괄호 안에 ( 繁殖體 )라고 기재 하여
< 目的 > 을 중심에 두고
수수 작용으로 사위 기대를 완성 하면
그 결과로 < 合性體 >를 이룬다는 설명이
주를 이루고,
부가적으로 ( 번식체 )라고 면피성 기재를 하여
혼동을 유발하게 된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의
< 목적 > 중심의 사위 기대에 있어서
그 < 결과 >로 가져 오게 된다는
< 합성체 >는 오류이고,
< 목적 > 중심의
사위 기대는
그 결과로 < 신생, 번식, 독립, 생성체 >를
생성 하게 된다는 것이
창조 원리적인 설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