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공격 지시한 김기춘도 특검수사 대상”
정윤회 문건 보도한 세계일보에 압수수색·세무조사·기자 사찰 정황… “당시 기자들, 미행도 당해”
김도연 기자 riverskim@mediatoday.co.kr 2016년 11월 16일 수요일
2014년 11월 ‘정윤회 문건’을 보도했던 세계일보에 대한 박근혜 정권의 압박은 신속하고 꼼꼼했다.
TV조선이 공개한 당시 김영한 민정수석(지난 8월 사망) 비망록을 보면, 보도가 나온 11월28일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세계일보 공격 방안”을 논의했고, 3일 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세계일보사를 압수수색 장소로 못 박았다.
11월28일은 정윤회 문건이 공개된 날로, 이날 오후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정호성 제1부속 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 비서관 등은 세계일보 사장, 편집국장, 기사를 작성한 평기자 등 6명에 대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 |
▲ TV조선 14일자 보도. (사진=TV조선 화면 캡처) |
예상과 다르게 압수수색은 이뤄지지 않았다. 비망록에서는 압수수색 외에 세무조사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의 반발이 거세자 압수수색을 피하는 대신 외부에 쉽게 드러나지 않는 세무조사로 대응 방향을 튼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세무당국은 세계일보 모체인 통일교 재단에 대한 세무조사에 들어갔다.
기자를 사찰한 흔적도 나타났다. 비망록에 따르면, ‘정윤회 문건’ 보도를 했던 조현일 세계일보 기자 등을 보도 6개월 전부터 주시한 정황도 기록돼 있다.
![]() |
▲ TV조선 14일자 보도. (사진=TV조선 화면 캡처) |
[관련기사 : “정윤회 문건보도, 가혹한 보복 뒤따랐다”]
조 전 사장이 지난해 2월 해임되는 등 세계일보는 정윤회 문건 보도 이후 사장과 회장이 교체되며 내홍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비망록에는 “세계일보 회장 교체 움직임”, “현 사장 지지세력 내분양상” 등의 문구도 있어 세계일보 경영진 교체에 청와대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세계일보의 한 관계자는 16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김기춘 전 비서실장은 세계일보 문제뿐 아니라 최순실 게이트 전반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최순실 게이트가 특검으로 가게 된 상황에서 기자 감시와 언론사 압박 등 김 전 실장이 관여한 모든 의혹에 대해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역시 성명을 내어 “비선 실세 의혹을 보도한 언론사를 청와대가 직접 ‘공격대상’으로 지목한 것은 경악을 금치 못할 일”이라며 “검찰은 ‘박근혜-언론 게이트’를 특검 수사대상으로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 |
▲ TV조선 14일자 보도. (사진=TV조선 화면 캡처) |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3349#csidxc4529b134b1ac2cb40bbead89a18ed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