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 인용문 첨가 재 게시의 글 > I. * a. 창조 이상은 '이미 설정 된 목표가 달성 되어 있는 상태' 를 말 하며 ~ b. 창조 목적은 그 '설정 된 목표' 만을 말한다. a. 창조 이상은 이미 말한 바와 같이 미래에 '하나님의 모습을 닮아 난 인간에 의해서 하나님의 사랑이 완전히 실현 된 상태' 이며, ~ b. 창조 목적은 '대상을 보고 기뻐하려는 것' 으로서, 앞으로 달성코자 하는 목표이다. 문법 상의 시제로 표현하면 b. 창조 목적은 미래형이요, a. 창조 이상은 미래 완료형이라고 할 수 있다. a. 결국 창조 이상은 '창조 목적이 달성 되어 있는 상태' 이다. 이것을 바꾸어 말 하면 b. 창조 목적은 창조 이상의 실현을 통해서 달성 된다. < 통일 사상. P. 156. 상. 12 초 ~ 하. 5 말. > II. ** 창조 이상이란 이와 같은 이상인간, 이상가정, 이상사회, 이상세계가 미래에 실현 된 상태를 말 하는 것으로서, b. 그러한 상태가 실제로 이루어졌을 때 즉 창조 이상이 실제로 실현 되었을 때 비로소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 다시 말해서 영원한 기쁨을 얻고자 하셨던 당초의 소원이 달성 되게 된다. < 통일 사상. P. 158. 상. 1 초 ~ 상. 5 말. > 2. 위 인용 본문의 문리적 분석과 해석. 위 인용 본문에 있어서 a. : 창조 이상 ( 목적이 실현 된 상태 )의 설명. b. : 창조 목적 ( 기쁨의 추구 )의 설명. ~ 으로 요약 될 수 있으며, 맨 마지막의 < b. 창조 목적은 창조 이상의 실현을 통해서 달성 된다. > ~ 와 < b. 창조 이상이 실제로 실현 되었을 때 비로소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 다시 말해서 영원한 기쁨을 얻고자 하셨던 당초의 소원이 달성 되게 된다. > 는 사족이 문제가 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은 창조 목적은 < 기쁨의 추구 >이다. b. ( 미래형 ). 창조 이상은 < 목적 실현 상태 >이다. a. ( 미래 완료형 ). 이상은 목적 실현 이후의 상태를 설명 하는 미래 완료형 개념어이다. ~ 고 요약 된다. 그러나 I 의 맨 마지막 문장과 II 의 문장은 위 설명 개념어를 거꾸로 뒤집어 버리는 개념 모순 상충의 설명으로 되어 버렸으므로 < 사족 : 蛇足 > 의 설명이 되어버렸다. < 목적 >이 선 달성 되어진 연후에서야 ( 미래 ) < 이상 >의 상태가 후 성취 된다는 것이 ( 미래 완료 ) 위 설명이고, 문법 상 時制에 적합 한 개념어 순서인 것을 반복적으로 잘 설명 해 두고 마지막에 < 미래 완료 >를 통해서 < 미래 >가 달성 된다고 하는 거꾸로 뒤집어버리는 모순과 상충의 결론 설명이 되고 말았다. 위 I 의 마지막 문장과 II 의 문장은, < 창조 이상은 창조 목적의 실현을 통해 달성 된다. > ~ 고 설명 해야 전후 문맥이 상통하고 시제 문법에 부합 하는 설명이 된다. < 창조 이상은 창조 목적의 실현을 통해 달성 된다. > 3. 결론. 위 인용 본문 I 의 마지막 문장 과 II 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수정 되어야 시제 문법 상으로나, 문맥 전후 설명으로나 합당 하다. < 창조 이상은 창조 목적의 실현을 통해 달성 된다.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