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4일 목요일

통일 思想, 原相論, 對比型 授受 작용에 관한 고찰 ( II ).

 

1.   통일 사상 인용.

 

 

 

 

A.

즉 인간의 경우

마음 ( 性相 ) 내부의 靈的 統覺 ( 내적 성상 ), 즉 情,知,意의 통일체가 주체가 되어서

내적 형상 속에 있는, 그리고 경험에서 얻어진 여러 관념 ( 영상) 들을 ( 대상으로 세워서 ~ : 필자 가필 )

먼저 對比 또는 對照한다.

이 대비 작용 자체도 좁은 의미의 대비형 수수 작용이다. 

 

< 통일 사상.  P.116.  하. 8 중. ~ 하. 4 초.  >

 

 

 

 

B. 

대상의 두 요소 중  하나를 주체로, 

다른 하나를 대상으로 삼고

兩者를 대비 하는 것으로서,

대비는 비록 영적 통각이 하는 것이지만,

영적 통각의 관심이 양자 사이를 왕래 하기 때문에

내적 형상 내에서 대비 되는 임의의 두 요소 사이의 작용도

일종의 수수 작용이다. 좁은 의미의 對比型 授受 작용인 것이다.

 

< 통일 사상.  P. 116. 하. 4 초 ~ P. 117.  상. 1 말.   >

 

 

 

 

C. 

<  그림. 1 - 12. 觀念의 操作.   >

중심 : 目的.

주체 : 內 性.

대상 : 內 形.

결과 : 新生體.

 

( 내성과 외형 간의 수수 작용 두 화살표 를 연결 하는 외부로부터의 두 점선과 < 觀念의 操作 > 설명글 연결 : A. 설명. )

( 내적 형상 내부의 두 요소 간의 수수 작용 두 화살표 : B. 설명. )

 

< 통일 사상.  P. 115.  상. 4 초 이하 ~ 페이지 중간.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고찰.

 

 

 

 

위 인용 본문에는 다음과 같은 Issue 가 존재 한다.

 

내적 형상 속에는

* 관념. 개념.

* 원칙. 법칙. 규칙.

* 수리.

* 개별상. 보편상. ~  . . . 등이 있고,

 

관념 속에는

* 선험적 관념.

* 경험에 의해서 추가 된 후천적 관념 ~ . . . 이 있다.

 

경험에 의해 추가 되는 후천적 관념에는

세월에 따라서 무수한 많은 경험적 관념들이 추가 퇴적 되고

 

이 모든 관념들이 복합 관념으로 형성 되어

내적 형상을 이룬다.

 

위 인용 본문 B 에서는

< 내적 형상 > 중에서 

하나의 요소를 < 주체 >로 삼고

< 내적 형상 >의 다른 또 하나 요소를 < 대상 >으로 삼아서

내적 형상 내의 수수 작용을 한다고 설명 하고 있고

 

이 설명은

통일 사상 原想論 , 내적 수수 작용 설명에서

몇 차례 더 설명 하고 있다.

즉 실수가 아니고

통일 사상 저자의 확고한 확신으로 마음에 위치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창조 원리에 의하면

< 주체와 주체 > 사이의 수수 작용이나

< 대상과 대상 > 사이의 수수 작용은

상충, 배척, 반발 하고 서로 밀어내어서

 

창조 원리적인 수수 작용

즉, < 주체와 대상 > 사이의 수수 작용이나,

<대상과 주체 > 사이의 수수 작용을 도와서

강화, 촉진, 협조 하게 된다는 것이

창조 원리의 설명이다.

 

즉 

위 인용 본문 B 와 같이

대상 내의 다른 요소 간에

 

대상 내의 하나의 요소 a. 를 < 주체 >로 삼고

< 동일 대상 > 내의 많은 요소 중 하나의 다른 요소 b.를 < 대상 >으로 삼아

동일 대상 내의 a 요소 와

동일 대상 내의 b 요소 사이에서

 

동일 대상 내의 a 요소와 b 요소가

동일 대상끼리 수수 작용을 하는 것이

대비형 수수 작용이라고 설명 하고 있으므로,

 

이는 창조 원리에 부합 되지 아니 하는 설명이다.

 

위 경우에

요소는 a 와 b 로 서로 다를지라도

 <  동일 대상 >이므로,

 

대상과 대상 사이의 수수 작용이 되는 경우에 해당 되므로

이는 창조 원리에 부합 되지 아니 하는

설명이다.

 

 

<주체>와 <대상 a 요소> 간의 수수 작용 <결과>와

별도의 또 다른

<주체>와 <대상 b 요소> 간의 수수 작용의 <결과>를

서로 비교, 대비, 대조 하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 되어야

 

창조 원리에 부합 하는 대비형 수수 작용에 있어서

관념의 조작이 된다고 이해 한다.

 

위 인용 본문 < C. 그림 1-12. 觀念의 操作. >에서

 

( 내성과 외형 간의 수수 작용 표시 두 화살표 를 연결 하는

외부로부터의 대각선 두 점선과

< 觀念의 操作 > 설명글 연결 : A. 설명. )

 

 

위 그림이야말로

원리적인 도형이다.

 

 

( 내적 형상 내부의 두 요소 간의 수수 작용 표시 작은 상하 두 화살표 : B. 설명. )

 

위 설명은 

비 원리적인 상상의 설명이다. 

 

따라서

( 내적 형상 내부의 두 요소 간의 수수 작용 두 상하 화살표 : B. 설명. )의 그림과

위 인용 본문 B. 는 비 원리적인 글과 그림이므로

수정 되어야 한다.

 

 

 

 

 

3. 결론.

 

 

 

< 주체와 주체 > 간의 수수 작용은 발생하지 아니 하며,

< 대상과 대상 > 사이의 수수 작용도 발생 하지 아니 한다는 원칙이

창조 원리이다.

 

< 주체 >와 < 대상a요소 > 와의 수수 작용 < 결과 >와

또 다른 수수 작용,

<주체>와 < 대상b요소 > 사이의 수수 작용 < 결과 >를

 

두 수수 작용의 < 결과 a. b. >를 비교, 대조, 대비 하는 

새로운 대비형 수수 작용의 설명으로 되어야,

 

* 주체의 위치에  < 내적 성상 : 영적 통각 : 정.지.의. >

* 대상의 위치에 

< 대상 a요소와의 수수 작용 < 결과 >와

대상 b 요소와의 수수 작용 < 결과 >를 

동시에 동일 비중의 관심 위치로 두고, >

 

* 새로운 대비형의 수수 작용으로

대상 두 요소 간의 < 관념의 조작 >이 

발생 하여 < 대비, 대조, 비교 , ~  > 작용이 발생한다고

설명 해야

 

창조 원리에 부합 하는 수수 작용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