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서 및 원리 강론 인용.
A. 창세기. <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 ( 창 1 : 26 )
하나님이 자기의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 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 창 1 : 27 ) >
B. 원리 강론 I. 그리고 그 보이는 외형은 보이지 않는 그 내성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그 내성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닮아 난 그 외형이 눈에 보이는 그 어떠한 꼴로서 나타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P. 23. 하. 9 초 ~ 하. 6 중. >
C. 원리 강론 II. 그리고 나타나 보이는 몸은 보이지 않는 그 마음을 닮아 난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어떠한 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을 닮아 난 몸도 어떠한 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원리 강론. P. 23. 하. 1 중 ~ P. 24. 상. 2 말. >
D. 원리 강론 III.
무형의 마음을 닮게 하여 그의 실체 대상으로 창조 된 것이 몸인 것과 같이, 무형의 하나님을 닮게 하여 그의 실체 대상으로 창조 된 것이 인간이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224. 상. 2 말 ~ 상. 5 초.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위 인용 본문 중에서 창세기, 원리 강론 I. II. 는 < 하나님과 성상과 마음 >이 타락 인간의 고장 난 영적 오관으로 보이지 아니 하여 무형인 것처럼 보여도
< 반드시 어떠한 꼴 ( 형상 )을 가지고 있다 >는 개념이다.
그러나 위 인용 본문의 원리 강론 III . 은 하나님도 무형이고 마음도 무형이라고 설명 하고 있다.
이 인용 본문 ( 원리 강론 III. ) 도
위 인용 본문 중의 창세기, 원리 강론 I. II. 와 같이 < 하나님과 성상과 마음 >이 타락 인간의 고장 난 영적 오관으로 보이지 아니 하여 무형인 것처럼 보여도
< 반드시 어떠한 꼴 ( 형상 )을 가지고 있다 >는 개념에 일치 하는 개념이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 중의
* 창세기, * 원리 강론 I. II. 와 같이
* 원리 강론 III. 도
< 하나님과 성상과 마음 >이 타락 인간의 고장 난 영적 오관으로 보이지 아니 하여 무형인 것처럼 보여도
< 반드시 어떠한 꼴 ( 형상 )을 가지고 있다 >는 개념과 일치 한다고 이해 하는 것이 창조 원리에 부합 하는 관점이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