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理 講論,
모세 2차 出애급 노정 -
年數 表示의 非 原理와
그 原理的 理解.
1. 舊約 및 原理 講論 引用.
가. 출애굽기 12 : 40 ~ 41.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 거주 한지 사백 삼십 년 이라,
사백 삼십 년이 마치는 그날 에
여호와의 군대가 다 애굽 땅에서 나왔은 즉,
< 출애굽. 12 : 40 ~ 41. )
나. 원리 강론 - 모세 2차 출애굽기.
A. 제2차 믿음의 基臺 - 미디안 廣野 40 年.
이스라엘 민족의 불신으로 말미암아 제1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 노정이 실패로 돌아가자,
모세가 그의 '믿음의 기대'를 위하여 세웠던 '40년 기간'은 사탄의 침범을 당한 결과로 돌아가 버리고 말았다.
그러므로 모세가 제2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 노정을 출발 하기 위하여는
사탄 침범으로 말미암아 잃어 버린 바로 궁중 생활 40년 기간을
탕감 복귀 하는 기간을 다시 찾아 세워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던 것이다.
모세가 바로를 피하여 미디안 광야로 들어 가 다시 40년 기간을 보내게 되었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 . . .
모세는 미디안 광야 40년으로 '40일 사탄 분립 기대'를 새로이 세웠 기
때문에 제2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를 위한 '믿음의 기대'를 복귀 할 수 있게 되었었다.
< 원리 강론. 2006. 42쇄. P. 326. 하. 2 초 ~ P. 327. 상. 11 초 . >
B. 출애굽.
그리고 모세가 애급인을 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이유가 있었으니,
그것은 이스라엘 미족이 하나님께서 말씀 하신 대로
하브라함의 '상징 헌제' 실수로 인한 애급 고역 400년 탕감 기간을 다 채웠음에도 불구 하고
30년 이나 더 고역 을 당함으로서 (출 12 : 41 ),
그들의 탄식이 하나님에게 상달 되어
하나님의 긍훌을 자아내게 되었었다는 사실이다 (출 2 : 24 ~ 25 ).
< 원리 강론. 2006. 42쇄. P. 328. 하. 11 초 ~ 6 말. >
2. 위 인용 本文의 < 期間 >
混同과 原理的 理解.
가. 모세의 사탄 分立 基臺 40일.
A. 바로 宮中 40年.
모세의 바로 궁중 40년 기간은
아브라함의 상징 헌제 실수로,
믿음의 기대(노아 ~ 아브라함 : 10대 400년)에 침범 한
사탄을 분립 하는 민족적 고역 (노예 생활 ) 400년 기간을
개인적으로 탕감 복귀 하기 위한 바로 궁중 40년 기간으로서
< 제 1차 믿음의 기대 40년 > 기간이었다.
이스라엘 민족 고역 400년 기간이 종료 되는 시점에,
모세의 바로 궁중 < 40일 믿음의 기대>가 완성 되었다.
B. 미디안 廣野 40年 期間.
모세 중심의 제 1차 출애급 노정이 실패 하여
<믿음의 기대 40년>에 또 사탄이 침범 하였으므로,
모세는 미디안 광야에서 사탄 분립의 40년 기간으로 침범 한 사탄을 분립 하고
제 2차 < 믿음의 기대 >를 복귀 한 후
제 2차 민족적 출애급 노정 역사가 개시 되었었다.
모세 중심의 제 2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 노정 출발은,
이스라엘 민족 고역 400년 기간(모세 제 1차 믿음의 기대 40년 포함)을 지나고, 다시
모세 제 2차 믿음의 기대를 위하여 40년(미디안 광야)을 지났으므로
이스라엘 민족이 모세를 중심으로 제 2차 출애급 하는 때는
이스라엘 민족의 애급 고역 400년 후에
모세의 미디안 광야 40년이 경과 한 때로서
이스라엘 민족의 애급 고역 기간은
합계 440년이 되는 해이다( 위 인용 본문 < 나 A > ).
나. 年 數의 混同.
위 인용 본문 < 가 (출애급기) 및 나 B (원리 강론 모세 노정) >에서는
이스라엘 민족의 제 2차 출애급 노정 시에
이스라엘 민족의 애급 고역이 430년 기간이었다고
기록 되어 있다.
다. 原理的 理解.
탕감 복귀 원리의 섭리 원칙에 입각 하여 볼 때에,
민족적 탕감 기간 400년이 만료 된 이후에
모세의 제 2차 < 믿음의 기대를 위한 사탄 분립 40년 미디안 광야 > 기간의 경과는
이스라엘 민족이 통산 440년의 애급 고역 후에
제 2차 민족적 출애급 노정이 개시 되었다는 것이
복귀 원리의 관점이다( 위 인용 본문 < 나 A > ).
그러나 위 인용 본문 < 가 ( 출애굽기 12 : 41 ) 및 나 B (원리강론 모세 중심 복귀 섭리 ) >에서는
이스라엘 민족의 애급 고역 430년만에
출애급 섭리 노정이 개시 되었다고 기록 되어 있어서
탕감 복귀 원리 원칙과
상호 상충 하고 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구약 성서의 출애굽기 12 : 41 의 기록에 년수 착오 기록이 원인이 되어
그것을 인용 한 원리 강론에서도
자세한 연구 없이 성서 그 구절을 단순 인용 하였으므로
원리 강론 설명 기록에서
복귀 원리 원칙 설명과
그 후의 출애급 노정 기록에서의
상호 상충과 혼란을 초래 하게 된
결과에 이르게 되었다고
생각 하게 된다.
3. 結論.
원리 강론의 복귀 원리 설명에서 보이는 원칙과
구약 성서 출애굽기의 기록이 상충 혼란이 되어서
원리 강론 모세 중심 제 2차 출애급 노정 기록에도
결과적으로 년수 기록 착오의 혼란이
유래 하게 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