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 17일 수요일

통일 사상, 내적 발전적 4위기대 설명 오류와 원리적 이해.

 


 

1.   통일 사상 인용.

 

 

그리고

여기의 융액 ( 영적 융액 )에 해당 하는 것이

' 전에너지'인 본형상이다.

 

 

< 통일 사상.   P. 124. 하.  10 말 ~ 하. 9 말.   >

 

 

 

 

 

2.   위 인용 본문의 원리적 이해.

 

 

 

A.  위 윈용 원문이 존재 하는 원상론에서의 위치.

 

 

위 인용 본문의 설명은

하나님의 원상(Original Image : 본성상과 본형상 ) 의 상세 설명 부분으로서

 

본성상 중에서

내적 성상 ( 영적 통각 : 정, 지, 의의 통일 합성 조화 중화체 )과

내적 형상 ( 관념, 개념, 원칙, 법칙, 수리, 개별상, 보편상 )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위 인용 본문은

하나님의 창조 과정 설명 가운데

영적 주형 ( 鑄型 )으로서 < 내적 형상 >을 먼저 거론 하고

위 영적 주형에 채워질 

영적 융액을 설명 하면서

 

영적 융액이

< 본형상 : Pre-energy >라고

설명 하고 있다.

 

 

 

 

 

B.  위 설명의 비 원리성.

 

 

위 설명은

원상(주체) 내의

내적 성상(영적 통각 : 정, 지, 의 )과

내적 형상( 관념, 개념, 원칙, 법칙, 수리, 개별상, 보편상 등) 의 

창조 과정에서의 상관 관계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내적 형상 ( 대상 : 관념이 대표 )이 영적 주형이라면, 

그 성상 위치에 존재 하는 

내적 성상 ( 주체, 영적 통각 : 정, 지, 의의 합성 조화 통일 중화체 )이

그 융액의 역할을 한다고 설명 하는 것이

 

성상(주체)과 형상(대상)의 수수 작용 격위가

동일, 대등 한 상대적 관계의 원리적

설정이다.

 

그러나

위 설명에서는

성상 내부의 내적 형상(대상)과

본형상 (대상 :  Pre-Energy )과의 상대적 관계를 설정 하고

창조 과정으로 설명 하고 있다.

 

내적 형상(주체)과

외적 형상(대상)이 

상대 기준 조성으로 

수수 작용 한다는 설명은

 

논리 개념의 비약이고

비 원리적인 설정이다.

 

 

 

 

 

 

C. 위 설명의 원리적 이해.

 

 

본형상(대상)은

본성상(주체)과 상대 기준을 조성 하여

수수 작용 하고

창조의 과정으로 전개 되는 것이

창조 원리의 설명이다.

 

또한

본성상(주체) 내부의

내적 형상(대상)과 

상대 기준을 조성 하는 원리적인 상대 요소는

내적 성상(추체)이므로

 

내적 형상(대상)은

내적 성상(주체)과 상대 기준 조성의

원리적인 격위로서의 적합한 원리적인 요소이다.

 

내적 형상(대상)이

더군다나 외적 형상(대상, 본형상 : Pre-Energy)과

상대 기준을 조성 하여

수수 작용 한다는 것은

비 원리적인 설명이다.

 

내적 형상(대상)은

내적 성상(주체)과 

상대 기준 조성 하여 

수수 작용 한다.

 

본성상(주체)은

본형상(대상)과 

상대 기준 조성 하여 

수수 작용 한다.

 

성상(주체)과 형상(대상)이 

상대 기준 조성 하는 것이 

원리적인 상대 관계이다.

 

성상( 주체 )과 성상( 주체 ), 또는

형상( 대상 )과 형상( 대상 )은

상대 기준 조성 하지 아니  하고

도리어 반발 작용을 하는 것이

창조 원리의 설명이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에서

영적 주형으로서 

본성상 내부의

내적 형상( 대상,  대표 : 관념 )에

 

그 융핵으로서 

내적 성상 ( 주체, 영적 통각 : 정, 지, 의 )이

채워지는 과정 ( 수수 작용 )이

 

창조의 과정이라는 것이

원리적인 관점이다.

 

내적 형상( 대상 )에

본형상( 대상 )이 채워질 수는 없다.

 

내적 형상( 대상 )은

내적 성상( 주체 )과,

 

본성상( 주체 )은

본형상( 대상 )과

 

상대 기준을 조성 하고

수수 작용 하여 

 

창조의 신비가 

전개 된다는 것이

 

창조 원리의 설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