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사상 인용.
A.
그와 같이 성상과 형상은 전혀 이질적인 것이 아니다.
양자 모두 공통 ( 同質 : 絶對 同一 本質 : 필자 가필 )적으로 심적 요소와 에너지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 통일 사상. P. 40. 하. 2 초 ~ P. 41. 상. 5 말. >
B.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성상, 형상의 이성 성상도
하나님의 절대 속성의, 즉 동질적 요소의
두 가지 표현태인 것이다.
~ 별개가 아니라
본래 하나이다.
이 절대 속성이 창조 과정에서 분화 된 것이
하나님의 마음으로서의 성상과
하나님의 몸으로서의 형상이다.
< 통일 사상. P. 40. 하. 7 초 ~ 하. 3 말. >
C.
원상에 있어서의 성상과 형상은 하나로 통일 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절대 속성에서
성상과 형상의 차이가 생기고,
창조를 통하여 그 속성이 피조물이 되어서
피조 세계에 나타날 때 이질의 두 요소가 되는 것이다.
< 통일 사상. P. 41. 하. 4 중 ~ P. 42. 상. 2 초. >
D.
~ 통일 사상의 성상과 형상의 개념, 즉
" 본성상과 본형상은 동일한 본질적 요소의 두 가지의 표현태다 " ~.
< 통일 사상. P. 44. 하. 8 중 ~ 하. 6 초. >
E.
~ 성상, 형상은
양성, 음성이 '의거하는 근거' 로서의 실체이며, ~
< 통일 사상. P. 52. 상. 10 초 ~ 상. 11 초 >
F.
~ 피조물에 있어서 성상과 형상은 각각 개체의 구성 부분이 되고 있어서,
성상이나 형상 그 자체도 또한 실체 (피조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마치 자동차도 제작물(실체 )이며, 자동차의 구성 부분인 부품 ( 예: 타이어, 트랜스미션 등)도 제작물 (실체)인 것과 같다.
따라서 인간의 성상과 형상도 통일 사상에 있어서는 각각 실체의 개념에 포함 된다.
그런데 피조 세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상도 형상도 모두 실체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양성과 음성은 모두 실체로서의 성상, 형상,( 또는 그 합성체인 개체 )의 속성이 되고 있다.
< 통일 사상. P. 46. 상. 11 중 ~ 하. 4 초.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 위 인용 본문 A~D : 성상, 형상은 속성.
* 위 인용 본문 E~F : 성상, 형상은 실체.
창조 원리에 의하면
본성상, 본형상은
하나님의 속성이다.
성상, 형상 및 양성, 음성은
하나님 < 절대 속성 >인 < 절대 동일 본질 동질성 >이
창조 행위 과정에서
나타 나 < 표현 되는 양태 >, < 표현 형태 >에 불과할 뿐이다.
3. 결론.
창조 원리에 의하면
성상, 형상은
하나님 본체의 < 절대 동일 본질 동질성 >이
창조 행위 과정에서
나타 나 < 표현 되는 두 가지의 양태 >, < 표현 형태 >로서
< 절대 속성 > 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