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17일 수요일

기쁨 발생과 획득에 관한 神性的 및 神相的 방법에 관한 고찰.

 


1.   원리 강론 및 통일 사상 인용.

 

 

 

 

A.   

기쁨은 독자적으로는 생기지 않는다.

무형이거나 실체거나

자기의 성상과 형상대로 전개 된 대상이 있어서, 

그것으로부터 오는 자극으로 말미암아

자체의 성상과 형상을 상대적으로 느낄 때

비로소 기쁨이 생기는 것이다.

 

< 원리 강론. P. 45.  하. 6 중 ~ 하. 3 말.   >

 

 

 

B.  

작가의 기쁨은 ~ 

그 대상으로부터 오는 자극으로 말미암아 

자기의 성상과 형상을 상대적으로 느낌으로서 

비로소 생기게 된다.

 

< 원리 강론. P.45. 하. 2 중 ~ P. 46. 상. 3 초.   >

 

 

 

C.   

이와 같이 개성을 완성한 인간은

하나님을 중심한 그 마음의 실체 대상이 되고,

따라서 하나님의 실체 새상이 된다. 

이에 그 마음이나 하나님은

이러한 실체 대상으로부터 오는 자극으로 말미암아

그 자체의 성상과 형상을 상대적으로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기쁨을 누리게 된다.

 

< 원리 강론. P. 46. 하. 5 중 ~ 하. 1 중.   >

 

 

 

D.

心情은 ~ 

사랑을 통해서 기쁘고자 하는 情的인 衝動이다.

< 통일 사상.  P. 58.  하. 8 초 ~ 하. 8 말.   >

 

정적인 충동이란

내부로부터 솟아 오르는 

抑制하기 어려운 소원 또는 욕망을 뜻 한다.

< 통일 사상. P.59.  상.  8 중 ~ 상. 9 말.   >

 

하나님은 심정, 즉 사랑을 통해서

기쁘고자 하는 정적인 충동을 지니고 있는 바, ~ 

< 통일 사상. P. 60.  상. 2 초 ~ 상. 3 초.   >

 

그런데 하나님에 있어서 이 기쁘고자 하는 정적인 충동은,

사랑하고자 하는 충동에 의해서 뒷받침 되고 있다. ~ 

그리하여 사랑의 충동은,

사랑하고 싶어서 견딜 수 없는 욕망을 뜻하게 된다 

사랑하고 싶어서 견딜 수 없다 함은,

사랑의 대상을 갖고 싶어서 견딜 수 없음을 또한 뜻한다.

< 통일 사상.  P. 60.  상.  9 초 ~ 하. 11 말.   >

 

 

 

 

 

2.   위 인용 본문 분석과 이해.

 

 

 

위 인용 A, B, C, 는

기쁨 발생 획득의 원인으로서

자기를 닮은 대상으로부터 

자기의 성상과 형상을 발견하고

그 상대적인 자극으로 말미암아

기쁨이 발생하고 획득한다는 < 원리 강론 >의 설명으로서

神相的 ( The Truth Of God )인 접근 방법이다.

 

 

위 인용 D. 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기쁨을 추구 하는 억제 할 수 없는 정적인 욕망을 소유하고 있는 바

기쁨은 사랑으로부터 획득 되어지므로  

사랑하고 싶고 사랑의 대상을 갖고 싶어서 견딜 수 없음을  뜻한다는 < 통일 사상 >의 설명으로서

기쁨 발생 획득에 관하여 

神性的 ( The Spirit Of God ) 인 접근 방법이다.

 

 

 

 

 

3. 결론.

 

 

 

인간은 선천적으로 기쁨을 추구 하는 

억제 하기 어려운 욕망을 소유 하는 바,

 

기쁨 발생 원인과

기쁨 획득 방법에의 설명에서 

 

자기를 닮은 대상으로부터 

본인의 성상과 형상을 상대적 자극으로 느낄 때

기쁨이 발생 되어 기쁨을 획득 한다고 하는

< 神相的 ( The Truth Of God. ) >  접근의 설명과

 

사랑의 대상을 사랑해서

기쁨이 생성 되고

기쁨이 획득 되어진다고 하는

 < 神性的 ( The Spirit Of God. ) >  접근의 설명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