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21일 목요일

천성경 말씀 ( 아담은 하나님의 몸, 해와는 하나님의 부인 ) 의 창조 원리적 이해.

 

1.   천성경 인용.

 

 

그래서 아담은 하나님의 몸입니다.

또한 해와는 하나님의 부인이요, 몸입니다.

아담은 하나님의 몸에 상대 되는 영적 상대요 

해와는 육적 상대입니다.

.     .     .     .     .     .

하나님하고 사랑 하는 것입니다.

 

< 천성경.  P. 333.  우. 상. 1 초 ~ 상. 8 말 .   >

 

 

 

 

 

 

2.   위 인용 본문의 창조 원리적 이해.

 

 

 

창조 원리적인 개념에서,

 

하나님은 < 本體, 眞體, 自體, 聖體 > 로서 

창조주체 <創造 主體 >이시고, 

인류에 대하여서는

부모 < 父母 >의 위 位에 계신다.

 

완성 인간은

하나님의 形象的 對象으로서

피조 객체 < 被造 客體 >이고

자녀 < 子女 >의 위에 존재 한다.

 

 

 

 

그래서 아담은 하나님의 몸입니다.

또한 해와는 하나님의 부인이요, 몸입니다.

아담은 하나님의 몸에 상대 되는 영적 상대요 

해와는 육적 상대입니다.

.     .     .     .     .     .

하나님하고 사랑 하는 것입니다.

 

위 인용 본문에서 설명 되는 표현과 같이

아담 해와가 하나님의 몸이라면,

 

< 피조 > 대상이

< 창조 > 주체로 된다는 것이고,

 

< 자녀 >가 

< 부모 >의 位를 점유 한다는 표현이 된다.

 

하나님 우편에 앉으셔서 기도 하시고

십자가 위에서 최후의 기도를 하시는 < 후아담 >은

하나님이 자기 자신을 위해 기도 하신다는 설명의 표현이 된다.

 

< 후아담 >이 광야에서 사탄의 시험을 받으시는 것은

하나님이 사탄의 시험을 당하셨다는 표현이 되고,

 

< 후 아담 > 이 십자가에 돌아 가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돌아가신다는 설명의 표현이 된다.

 

위 설명의 예에서나

이전 글에서 설명 한 다른 여러 가지 관점에서도,

위 인용 본문은

창조 원리에 부합 되는 설명의 표현이 되지 아니 한다.

 

따라서

위 인용 본문은 

다음과 같이 < 비유 >의 부가 개념을 포함 한 표현의 설명으로 이해 해야 

창조 원리에 부합 하게 된다.

 

그래서 아담은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몸입니다.

또한 해와는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부인이요, 몸입니다.

아담은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몸에 상대 되는 영적 상대요 

해와는 육적 상대입니다.

.     .     .     .     .     .

형상적 >인 하나님하고 사랑 하는 것입니다.

 

 

 

 

 

3. 결론.

 

 

 

위 인용 본문은 

다음과 같이 < 비유 >의 부가 개념을 포함 한 표현의 설명으로 이해 해야 

창조 원리에 부합 하게 된다.

 

그래서 아담은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몸입니다.

또한 해와는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부인이요, 몸입니다.

아담은 < 형상적 >인 하나님의 몸에 상대 되는 영적 상대요 

해와는 육적 상대입니다.

.     .     .     .     .     .

형상적 >인 하나님하고 사랑 하는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